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생의 주거 환경과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 Social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세희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 곽경숙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Kim, See-Hee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
  • Kwark, Kyung-Soo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0.01.04
  • 심사 : 2010.02.17
  • 발행 : 2010.02.28

초록

This study had the purpose of present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solution as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grow soundly and to achieve proper self-realization while providing basic materials to build up a sui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at relationships exist between different home backgrounds,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matur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Feb. 11, 2008 to Feb. 13, 2008.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601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located in Gyunggi-do. The data analyzed used the SPSS 11.5 version.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home backgrou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the greater the students' social maturity. Second, in terms of home environment, the more spacious the living space, the better the water and sewage system and rest room, the more convenient the air conditioner and kitchen system, the better the lighting, ventilation, soundproofness, insulation, the less the danger in relation to fire, crime, traffic accidents, disaster, the greater the students' social maturity. Third, in terms of the home environment rela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maturity, all areas such as housing facilities, housing structural environment and housing safety showed static correlations and proved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social maturity. Accordingly, in order to build up an ideal residential environment, we should make efforts to expand and improve better facilities at home considering privacy, lighting, ventilation, soundproofness, heating etc. and remove unsound factors that obstruct students social maturity and build up clean and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good relations with their neighb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송희. (1990). 중고등학생들의 주거 환경에 대한 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석봉. (2000). 청소년의 주거 환경과 심리 사회적 성숙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연수. (1992). 주거 환경이 어린이의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문정. (1997). 유아의 사회 성숙도와 인기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옥. (2000). 주거 환경에 따른 청소년 형태의 특성.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 (1985). 주거 환경이 아동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 병용 주거와 전용주거와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현. (1992). 환경과학. 서울: 동화기술사.
  8. 김정희. (2002). 청소년의 생활양식, 주거만족도, 주거가치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지현. (2005).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주거만족도와 미래 주거 선호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진영. (2001). 중학생의 주거환경과 인성특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영, 곽경숙. (2001). 중학생의 주거환경이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13(3), 161-175
  12. 김홍규, 박정희. (2000). 부모 자녀간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 관계 연구. 인하교육연구 논문집, 제6호, 223-260.
  13. 대한건축학회. (2003). 주거론. 서울: 기문당.
  14. 민경희. (1997). 청소년의 주거 환경과 인성 및 가족과 공유 시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박정희. (1994). 가정 분위기가 자녀의 사회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정희. (2002). 부모의 가정교육방향 및 양육행동이 자녀의 심리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배수경. (1987). 주거환경에 따른 아동의 인성발달에 관한 연구 - 단독주택과 아파트 중심으로.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경주. (1998). 주거학. 서울: 수학사.
  19. 오금연. (2004). 청소년의 주거환경과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우재현. (1995). 교류분석에 의한 청소년 인성개발 프로그램. 서울: 정암서원.
  21. 이윤희. (1996). 주거형태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비교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임진희. (1999). 주거 환경이 아동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