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dea Classification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 디자인 전개 프로세스 연구

  • Received : 2010.07.27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llowing thinking about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more towards the visual and percep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form structure by more diverse methods by typology of idea generation. To accomplish such goal, researches in the psychology, pedagogy, engineering, and consilient studies as well as related precedent researches and reference data in architecture, promotion, industrial design, and other art fields and fashion design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see the study trend. In addition, i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such, the idea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types in consideration of relevancy, usefulness, and suitability with fashion. First, a concentrated thinking of a limited space is a method of leading an optimal design by focusing on solving the cause of a problem within a space which generates the problem. Second, plan thinking per section of structure decomposition is a method of dismantling the design problems per organization, thinking type, factor, and characteristic into sub-modules to re-interpret and re-organize th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Third, an associated thinking through interpreting relationships among vocabularies is a method of selecting the marginal languages that allow a person to come up with concrete forms and the key words related to fashion to import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the marginal languages and th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rms to search the relevancy. Lastly, the free integrated thinking of language extension is a method of groping integration between other fields and fashion by free integration among the extended terms by extending the vocabularies through inferring metaphorical expressions founded upon individual's memories or knowledge concepts regarding theme words that do not allow concrete forms to come up.

Keywords

References

  1. '有'에서 '새로운 有'를 만들어 내는 것이 창조성이다 (2008. 1. 10). 조선일보, p. 63.
  2. 하주현 (2006). 눈이 번쩍 띄는 창의력.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pp. 13-18.
  3. 김광규 (2005). 창의력이 모든 것을 이긴다. 서울: 길벗, pp. 14-412
  4. de Bono, E. (1999). Six Thinking Hats. 송광한, 양성진 역 (2007). 여섯색깔 생각의 모자. 서울: 한울, pp. 22- 25.
  5. Garchik, Morton (1981). Creative visual thinking-How to think up ideas fast-. 정경선 역 (1999). 창의적 시 각 발상법. 서울: 예경, pp. 9-99.
  6. 박지원, 윤석호, 추봉조, 한만덕, 홍기헌 (2003). 창조적 아이디어 발상 및 전개. 서울: 학문사, pp. 167-218.
  7. Felipe, F. A. (1998). Ideas that changed the world. 안정희 역 (2004). 세계를 바꾼 아이디어.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8-391.
  8. 가재창 (1992). 패션디자인발상트레닝 2. 서울: 정은도서, pp. 5-152.
  9. 김미지자 (1998). 21세기 디자이너를 위한 감성공학. 서울: 디자인오피스, pp. 146-201.
  10. 한국패션문화협회 (2009). FashionArt. 서울: 교문사, pp. 31-339.
  11. 이경희, 이은령 (2008).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서울: 교문사, pp. 46-67.
  12.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9), pp. 444-454.
  13.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p. 112.
  14. 신현암 (1999). 기업희생의 원천-유레카 상품-.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189호.
  15. Torrance, E. P.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Stern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43-7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유혜경 (1998). 예술교육. 서울: 학연사. p. 43.
  17.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17.
  18. 유혜경 (1998). 예술교육. 서울: 학연사. pp. 42-43.
  19. Csikszentmihalyi, M. (1997).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Perennial.
  20. Sawyer, R. K. (2006).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35-36.
  21. 이경희, 이은령 (2008).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서울: 교문사, pp. 2-3.
  22. Watkins, Susan M. (1988). Using the design process to teach functional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pp. 10-14.
  23. 오나령, 이승희 (2007). 창조적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1(2), pp. 129-144.
  24. 이수용, 이상준 (2006).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나타난 형태생성방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6(2), pp. 9-16.
  25. 홍정표, 최은희 (2007). 유추적 연합과 형태요소 재구성에 의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법. 감성과학, 10(3), pp. 443-450.
  26. 최인수 (1998).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질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pp. 25-47.
  27. 송인섭, 김혜숙 (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3), pp. 93-117.
  28. 최일호, 최인수 (2001).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접근. 한국심리학회지, 20(2), pp. 111-142.
  29. 조연수, 최경희, 채제숙, 성진숙, 서예원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연구-과학의 내용지식, 과정지식, 창의적 사고기능의 융 합. 초등교육연구, 13(2), pp. 5-28.
  30. 김경자 (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모형. 초등교육연구, 13(2), pp.135-152.
  31. 정금희 (2006).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21(0), pp. 105-117.
  32. 정미경 (2001). 의생활교육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적용이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5(9), pp. 1563-1570.
  33. 전경원 (1997).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1(2), pp. 223-253.
  34. 강승희 (2001). 언어 영재와 일반 아동의 작문에 나타나는 이야기 구조와 언어적 창의성의 발달 및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3-127.
  35. 차주연 (2005).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을 적용한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언어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1-53.
  36. 강정란 (2008). 명사-명사 결합개념을 이용한 글쓰기 활동이 아동의 언어 창의성 및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3-87.
  37. 김은주, 홍찬석, 홍정표 (2007).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과 TTCT창의성과의 관계-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개발을 위한 평가법에 관한 기초연구-. 감성과학, 10(3), pp. 433-441.
  38. 허성철 (2003). 경험적 감성 정보에 의한 직관적인 아이디어 발상 기법. 한국감성과학회지, 6(1), pp. 1-10.
  39. 조용호 (1999). 기업에서의 디자인 방법론의 도입실태와 전망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디자인과학연구, 3(0), pp. 1-5.
  40. 이승영 (2005). 혁신적 디자인 사고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2), pp. 114-125.
  41. 박선영 (2005). 브레인 스토밍기법을 적용한 무용교육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4), pp. 337-344.
  42. 강덕구 (2005). 디자인의 창의적 발상을 위한 검사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기초조형학연구, 6(2), pp. 135-147.
  43. 최자영, 이현주, 오대욱, 임춘성, 이병도, 정경연 (1998). 직물디자인의 감성 공학적 분석 방법론 연구. 한국감성과학회지, 1(2), pp. 43-53.
  44. 홍정표, 정수경 (2006). 창조적 디자인 발상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 감성과학, 9(4), pp. 385-394.
  45. 조부연 (2007). 산업도자기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7(4), pp. 287-297.
  46. 정재훈, 김영선 (2005). 설계VE시 브레인스토밍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아이디어 창출기법. 자연과문명의조화, 53(12), pp. 68-74.
  47. 조광수 (2008). 디자인 심미성 요소들의 관계정림과 성공적 디자인프로세스 제시-테니스화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11(1), pp. 91-104.
  48. 홍정표, 최은희 (2007). 유추적 연합과 형태요소 재구성에 의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법. 감성과학, 10(3), pp. 443-450.
  49. 최은희, 최윤아 (2007). 유추적 사고에 의한 디자인 문제해결의 유형-연상된 단어와 스케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2). pp. 63-70.
  50. 이윤정, 금기숙 (1996). 의상디자인 발상 및 전개 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 29, pp. 53-69.
  51. 조진숙 (2004). 조형예술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20세기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몬드리안의 기학추상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4), pp. 663-675.
  52. 성유정, 유영선 (2002).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표현 방법 연구-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복식, 52(7), pp. 13-25.
  53. 김하림, 유영선 (2002).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표현방법 연구-창의적 발상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8), pp. 1153-1164.
  54. 도규희 (1996). 형태분석법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전개과정의 방법론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pp. 401-413.
  55. 공미선, 채금석 (2005). 크리에이티브 패션 디자인의 전개 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p. 45-57.
  56. 이영교 (2005). 체크리스트 방법으로 분석한 의상 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6.
  57. 공미란 (2008). 의상디자인 발상을 위한 구성선의 응용과 전개방법.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6), pp. 848-856.
  58. 정은경, 심한수 (2007). 웹 디자인 프로세스의 정립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10(4), pp. 115-122.
  59. 이근 (2004). 자동차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경험적 창의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5(1), pp. 75-83.
  60. 배리사, 이인성 (2004). 디지털 시대의 의상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4(4), pp. 63-74.
  61. Weisberg, Robert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pp. 11-12.
  62. 한병기, 지해성 (2006).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공학교육연구, 9(4), pp. 19-27.
  63. Horowitz, Roni, 김준식 역 (2008). 누구나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창의적인 사고기법-ASIT. 서울: FKI미디어, pp. 15-70.
  64. Altschuller, G. S. (1985). Creativity as an exact science. New York: Gordon and Breach.
  65. 김정탁, 염성원 (2000). 기호의 광고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p. 218-219.
  66. 김영채 (2001).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pp. 64-65.
  67. 이영만, 박해진 (1994). CoRT 사고교육 프로그램이창의성과 사고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4, pp. 107-148.
  68. Simon, H. A. (1996).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3rd Ed. Cambridge, MA: The MIT Press.
  69. Ullman, D. G. (2003). The Mechanical Design Process, 3rd Ed. McGraw-Hill.
  70. 홍정표, 정수경 (2008). 창의적 디자인의 디자인 구성요소와 심미성요소 분석. 감성과학, 11(3), pp. 387-397.
  71. Michalko, Michael (2001). Cracking creativity-The secrets of creative genius. California: Ten Speed Press, p. 42.
  72. Ward, T. B., Smith, S. M., & Vaid, J. (1997).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ecess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27.
  73. Costello, F. J., & Keane, M. T. (2000). Efficient creativity: Constraint guided conceptual combination. Cognitive Science, 24(2), pp. 299-349.
  74. Gagne, C. L., & Shoben, E. J. (1997). Influence of the matic relations on the comprehension of modifier-noun combin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3 (10), pp. 71-87.
  75. Wisniewski. E. J. (1997). Conceptual Combination: Possibilities and Esthetics. In Ward, T. B., Smith, S. M., & Vaid, J.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ecesses (pp. 51-8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6. 김철민 (2001). 광고아이디어 발상과정에 대한 체계적 접근 모형: 개인수준의 아이디어 발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1), pp. 69-85.
  77. Leach, H., & Graham, R. (2007).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reative writing. 윤재원 역 (2009). 창의적인 글쓰기의 모든 것. 서울: 베이직북스, pp. 295-296.
  78. 김동하 (2004). 아이디어 발생에 관란 연구-메타포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5(2), pp. 149-158.
  79. Gentner, D. (1983). Structure 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 pp. 155-170.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702_3
  80. Halford, G. S. (1993). Children'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1-31.
  81. Mason, J. (1989). Mathematical abstraction as the result of a delicate shift of attention.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9(2), pp.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