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es and Dyeing in Korea, from 1876 to 1910

개화기의 염료와 염색업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8.09
  • Accepted : 2010.10.27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t was the era, from 1876 to 1910, that some dramatic changes, including an influx of foreign dyes an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dyeing manufacture, happened in Korea. This paper explores what dyes were sold in the market in this period, who was the main seller of the goods, and how the dyers produced their products. A wide range of natural dye stuffs coexisted with the various kinds of aniline dyes, alizarin dye and synthetic indigo in the market. Coloring materials had been sold by hwapi-jeon, a group of official merchants who acquired a privilege of monopoly from the government. However, the dyes were also traded by sang-jeon and yakguk mercha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Most of the synthetic dyes sold in Korea were produced in Germany or in Japan later, and imported in large amount by Chinese, Japanese and German merchants. Yet there also existed Korean merchants and peddlers who sold the goods to the local consumers. Dyers were male and female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 They received the orders and payments from the government or merchants. Not only did they dye textiles, threads, cotton, paper and leather, but they also redyed clothes. Indigo dyers were differentiated from other dyers. Modern dyeing manufacture, which was presumably forced to keep pace with the productivity of the weaving process, appeared in the 1900s. It was a branch of the modern weaving manufacture.

Keywords

References

  1. 이헌창 (2007). 탁지준절 제본의 해제와 경제정보. 고문서연구, 31, pp. 193-194.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 12-13.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京都大學所藏韓國古文書 綿紬廛關係文書 會計關契資料. 會計關契資料二辛巳 (1881), 會計關契資料三壬午(1882), 會計關契資料五甲申(1884), 會計關契資料六甲申(1884), 會計關契資料七甲午(1894). 자료검색일 2010. 6. 20, 자료출 처 http://db.history.go.kr
  4. 度支準折. 入染物種.
  5. 林園經濟志. 展功志, 권2, 東染.
  6. 尙方定例. 권1, 凡例, 入染式.
  7. 규합총서. 염색졔법.
  8. 조경래 (2007). 규합총서에 나타난 전통염색법 해설. 파주: 한국학술정보, p. 146.
  9. 김순영 (2008). 조선후기 남염법의 변천. 한국의류학회지, 32(8), pp. 1290-1295.
  10. 이희승 (1994).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1. 諸橋轍次(1985). 大漢和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12. 日本色彩硏究所편 (1954). 色名大辭典. 東京: 創元社, p. 91.
  13. 度支準折. 彩色. "洋綠一兩價錢八戔洋靑一兩價錢八 戔(彩色所用) 一兩價錢七兩(入染所用)"
  14.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서울: 학연문화사, p. 234.
  15. 뎡유(1897)염료발긔.
  16. Soviet Union Ministerstvo finansov (1900). Opisanie Korei. 김병린 역 (1983). 구한말의 사회와 경제. 서울: 유풍출판사, p. 184.
  1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中韓大辭典.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8. 자료검색일 2010. 7. 20,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
  19. Nieto-Galan, A. (2001). Coloring Textil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196.
  20. Dronsfield, A., & Edmonds, J. (2001). The Transition from Natural to Synthetic Dyes. High Eycombe: John Edmonds, p. 100.
  21. 한국콘텐츠진흥원 & Jds infotech, Ltd. & 중앙대학교 문화컨텐츠 연구소. 기산 김준근 그림의 제작과 유통. Culture Content. 자료검색일 2009. 2. 1, 자료출처 http://kisan.culturecontent.com
  22. 朝鮮國海關稅目. 輸入部, 第二染料及顔料.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search.i815.or.kr
  23. 韓國官報. 융희2년(1908년) 9월 19일, 융희3년(1909) 년 11월 20일. 附錄, 告示, 第二類染料, 顔料及媒染料.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kyujanggak.snu.ac.kr
  24. 林園經濟志. 晩學志, 권5, 蓼藍.
  25. 和田三造(1931). 色名總鑑. 東京: 春秋社, p. 169.
  26. 러시아 국립해군성문서 I. 1884년 6월 25일. 과세세율, 수입상품. "양홍(洋紅, Carmine) 종가세10, 양홍(洋紅, Cochineal) 종가세20, 염료, 유질염료(油質染料) 및 기타, 염료원료 종가세7.5"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db.history.go.kr
  27. Bird, Isabella L. (1898). Korea and her neighbours. 이인화 역 (1994). 백년 전 한국의 모든 것, 한국과 이웃나라들. 서울: 살림, p. 32.
  28. Nieto-Galan, A. (2001). Coloring Textil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192.
  29. 固城府叢瑣錄. 1894년 3월. "近數百人皆以洋紅洋靑爲 衣爲雨沾渝染見其貌樣奇怪難狀也"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db.history.go.kr
  30.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서울: 학연문화사, p. 230.
  31. 萬機要覽. 財用編, 5, 有分各廛, 樺皮廛. "賣各樣彩色等物" 자료검색일 2010. 6. 20, 자료출처 http://db.itkc.or.kr
  32. 承政院日記. 고종 1년 5월 1일.
  33.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p. 39.
  34.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p. 36.
  35. 高宗實錄. 고종 30년 12월 28일.
  3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06.
  37. 高宗實錄. 고종 11년 5월 5일. "敎曰 近日洋靑洋紅 旣係洋貨 且色甚不正 嚴禁可也"
  38. 고동환 (2008).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면주전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p. 125.
  39. Soviet Union Ministerstvo finansov (1900). Opisanie Korei. 김병린 역 (1983). 구한말의 사회와 경제. 서울: 유풍출판사, p. 178.
  40. Soviet Union Ministerstvo finansov (1900). Opisanie Korei. 김병린 역 (1983). 구한말의 사회와 경제. 서울: 유풍출판사, p. 181.
  41. 農商務省(1906). 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京畿道, 忠淸道, 江原道, p. 569. 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慶尙道, 全羅道, p. 474.
  42. 大韓每日申報. 1909년 10월 19일 雜報. 皇城新聞. 1910 년 6월 24일 雜報.
  43. 송규진 (2003). 개항기 조선과 서양의 경제교류. 민족문화논총, 28, pp. 330-331.
  44.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03-404.
  45. 이헌창 (2000). 1882-1910년간 서울시장의 변동.(이태진 외 (2000). 서울상업사. 서울: 태학사, p. 384.
  46. 萬歲報. 1906년 11월 6일 雜報.
  4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02-403.
  48. 朝鮮總督府官報. 1910년 12월 27일, 淸津港通過貿易 상황, 9․10월 通過重要品價額.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db.history.go.kr
  49. Soviet Union Ministerstvo finansov (1900). Opisanie Korei. 김병린 역 (1983). 구한말의 사회와 경제. 서울: 유풍출판사, p. 262.
  50. Foreign Office and The Board of Trade (1915). Corea, Report for the years 1914 on the trade of Corea. London: Harrison and Sons.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db.history.go.kr
  51. 한국콘텐츠진흥원 & Jds infotech, Ltd. & 중앙대학교 문화컨텐츠 연구소. 기산 풍속도 디지털 화첩. Culture Content. 자료검색일 2009. 2. 1, 자료출처 http://kisan.culturecontent.com
  52. 度支準折. 入染磨鍊.
  53. Bourdaret, Emile (1904). En Coree. 정진국 역 (2009).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파주: 글항아리, pp. 142-143.
  54. 漢京識略. 2, 市廛. "又染靛局則諸處有之門外壁上以 靛花搨掌爲表"
  55. 자료검색일 2010. 7. 31, 자료출처 http://kyujanggak.snu.ac.kr
  56. 김영호 (1974). 조선후기 수공업의 발전과 새로운 경영형태. 대동문화연구, p. 175.
  57. 度支準折. 匹緞綾綃絹, 紬紵木布綿, 各色絲繭, 入染磨 鍊, 皮物.
  58. 經國大典. 吏典, 京官職, 正三品衙門, 濟用監.
  59. 高宗實錄. 고종 31년 7월 22일. "尙衣院掌供御衣襨濟 用竝"
  60. 萬機要覽. 戶曹貢物, 別貿一年貢價, 正宗戊戌年乙巳年 戊午年丁卯年各司有元貢別貿各司無元貢別貿. 度支 準折. 入染物種.
  61. 備邊司謄錄. 헌종 14년 1월 20일, 철종 1년 2월 12일, 철종 5년 4월 2일.
  62.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p. 125.
  63. 고동환 (2008).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면주전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p. 135-136.
  64. 변광석 (2001).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서울: 혜안, p. 109.
  65.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24-425.
  6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25.
  67. 皇城新聞. 1900년 7월 14일 雜報.
  68. 大韓每日申報. 1906년 3월 13일 雜報.
  69. 이한구 (1993). 염직계의 시조, 김덕창 연구-동양염직주식회사를 중심으로. 경영사학, 8, p. 235.
  70. 大韓每日申報. 1910년 7월 7일 雜報
  71. 皇城新聞. 1909년 3월 20일 雜報.
  72.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04.
  7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서울상공업사.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 430.
  74. 朝鮮工場名簿. 1932년. 中村資良(1921). 朝鮮銀行會 社要錄. 東洋經濟新報社, p. 56.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db.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