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the Broadcasting Makeup and Image Representation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ra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방송 분장 변화에 관한 연구

  • 방기정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경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주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학)
  • Received : 2010.08.09
  • Accepted : 2010.12.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of multi-media came to have significance more than what we imagine. In accordance with high resolution of HDTV in digital media era, the cautious awareness is required for skin color by the immediate color such as replica of TV color, lighting and clothing. As for the broadcasting makeup expression technique caused by a change in broadcast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media era, the first, There is necessity for natural makeup technique, and for expressing the whole makeup evenly and very delicately. The makeup work gets much more delicate. For the delicate expression, more time is being required than the existing makeup time. Second, Lots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for elaborate real-object processing on all the production fields such as background set, stage properties, and makeup. Third, Realistic expression is available on the screen. Importance of basic makeup is highlighted. Thus, even the skin care shop came to be prevalent. Development in only HD cosmetics is needed for foundation with fine particle in new material and with diverse colors hereafter. The video-media field is a method that is ignored a sense of distance through vehicles such as camera, picture tube, and several kinds of broadcasting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hat is delivered vividly to viewers through screen, unlike the stage makeup, thereby being needed the makeup technology proper for HDTV according to the changing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media. The video machinery and equipment are proceeding with being gradually high-tech and precise. Thus, an expert in makeup needs to know common sense on the video machinery and equipment before makeup, and needs to make an effort according to it. And, a follow-up research can be said to be necessary on the advance in makeup method and on more diverse dedicated cosmetics along with a research on color tone proper for HDTV.

Keywords

References

  1. 강근영, 김미선 (2002). 색체와 뷰티코디네이션. 서울: 고문사.
  2. 강대영 (2005). 한국분장예술. 서울: 지인당.
  3. 권수미 (2000). 디지털 언론 디지털 포토그래프. 서울: 나남출판.
  4. 권중문 (2004). "아날로그 TV와 HDTV 드라마 영상표현의 비교." 언론과학연구 4권 3호.
  5. 권중문 (2005). "TV 드라마의 영상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AURA 12권.
  6. 김봉천 (2004).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분장의 변화." 영상포럼 통권 24호.
  7. 김영용 (2004). HDTV-프레젠스 미디어의 해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8. 김창유 (2001). "사용자 입장에서의 HDTV 제작 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전망." 조형연구소 논문집 6호.
  9. 김태완 (2003). "디지털 방송 도입에 따른 HDTV 프로그램 제작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저 (1999). 백욱인 역, Being Dgital.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1. 방기정, 이인애 (2009). "디지털 미디어 변화에 따른 방송 진행자의 분장 변화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권 3호.
  12. 방기정, 김경희, 김주덕 (2009). "매스미디어 시대의 메이크업에 나타난 동안경향 연구: 트렌드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15권 2호.
  13. 방기정, 이인애, 김주덕 (2009). "방송 진행자의 피부건강 관리태도 및 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8권 3호.
  14. 서분경 (2006). "방송시스템 발달에 따른 TV 분장 기법 변화에 대한 고찰."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원숙 (2006). "베이스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경규 (2003). "정보화 시대의 컨버젼스 현상에 따른 제품조형의 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손용 (1986). 텔레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 세영사.
  18. 안진정 (2006). "디지털시대의 안면분장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오종환 (2001). "HDTV 방송 프로그램 제작의 활성화 방안." 커뮤니케이션과학 통권 20권.
  20. 이민정 (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옥기, 이인희 (2006). "HDTV의 사실성이 프레즌스 경험과 각성, 감동에 미치는 영향 실험연구." 한국방송학보 20권 2호.
  22. 이환봉 (2005). "TV쇼프로그램의 HD영상제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연수 (2005). "HDTV 에서의 의상에 대한 연구." 영상포럼 통권 25호.
  24. 정우근, 고창균 (2001). "HDTV 방송 프로그램 제작 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 4권.
  25. BAZZAR, Oct.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