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and Boosting Policies Focusing on Mortgage Loans: Using System Dynamics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에 따른 부동산시장 영향 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currently is experiencing a slowdown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which has resulted from subprime mortgage lending practices.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has enforced various policies, based on intend to deregulate real estate speculation, such as increasing the Loan to value ratio (LTV) in order to stimulate housing supply, demand and accompanying housing transactions. However, these policies have appeared to result in deep confusion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Furthermore, analyses for housing market forecasting particularly those which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on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have been partial and fragmentary. Therefor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al approach is required to analyze the real estate financial market and the causal nexus between market determining factors. Thus,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applying a system dynamics methodology, this paper proposes Korean Real Estate and Mortgage Market dynamics model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ousing markets, which are determined by supply and demand. As well,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Korean government's deregulation policies are considered by focusing on the main factor of these policies: the mortgage loan.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주택담보대출시장 비우량대출 부실로 인한 세계 금융위기에 따라, 우리나라 주택시장 또한 침체를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는 주택 수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규제 완화 정책을 시도 하고 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와 같은 주택담보대출 기준의 완화를 통해 주택수요 및 주택 거래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으며, 2차 주택담보대출시장을 활성화하여 주택 수요의 지속적인 발생을 유도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비우량 대출 부실로 시작된 세계 금융위기에 역행하는 시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에 대한 예측은 대부분 단편적인 시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주택시장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예측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시장 및 주택담보대출시장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통합된 관점의 주택시장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모형을 작성한다. 또한, 연구 모형을 통해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완화가 시장 참여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는 수요 자극을 통해 침체된 주택시장의 주택거래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제 2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형성 및 부실 파생상품 생성 가능성을 높일 위험을 갖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은행 (2006), "2006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 KB국민은행연구소, pp15-35
  2.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08),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해제, 오늘부터 효력 개시" (2009.11.07).
  3. 김형선 (2005). 부동산정책론, 부연사. pp.41-45
  4. 박문서 외 (2006). "주택시장의 활성화, 통제 및 대안:831 주택정책의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8), pp.159-169
  5. 박문서 외 (2009).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분양 제도 변화에 따른 주택 시장 영향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0(3), pp.42-42
  6. 임재현 (2008). 주택정책론, 부연사, pp.346-348
  7. 전광섭 (2007). 주택금융론 -주택금융의 이해와 실제-, 부연사, pp.46-57, 78-79
  8. Ahmad, S. and Simonovic, S. (2000). "System Dynamics Modeling of Reservoir Operations for Flood Management.",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14, pp.191
  9. Cho, D. and Ma, S. (2006).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Values and Interest Rate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The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e and Economics, v. 32, pp.180-183
  10. Chomsisengphet, S. and Pennington-Cross, A. (2006). "The Evolution of the Subprime Mortgage Market",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view , 88(1), pp. 31-38.
  11. Clauretie, T. and Sirmans, G (2003). Real Estate Finance: Theory and Practice, 4th Ed., South-Western/Thomson Learning, pp.188-195
  12. Fisher, J. (2005). Real Estate Finance and Investment, McGraw-Hill/Irwin, pp. 81-83, 432, 526-540
  13. Kim, C. & Kim, K. (1999). "Expectation and Housing Price Dynamics Following Deregulation in Korea.", International Real Estate Review, 2(1), pp.126-142
  14. Lander, G., et al. (2009). "Subprime Mortgage Tremors: An International Issue", International Advances in Economic Research, 15(1), pp. 1-14, 715-716 https://doi.org/10.1007/s11294-008-9177-4
  15. Park, M. and Pena-mora, F. (2004). "Reliability Buffering fo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of Management, v.130, pp.627-630
  16. Sterman, J.D. (2000). Business Dynamics, Boston: Irwin Mcgraw-Hill, pp.191-232

Cited by

  1. A Dynamic Approach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Boosting Pocliies for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vol.17, pp.1,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