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 Culture Production of Game-Focus on 'Machinima'

게임의 가상문화생산 - '머시니마'를 중심으로

  • Han, Se-Young (Dept. of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 ;
  • Sung, Jung-Hwan (Dept. of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
  • 한세영 (숭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
  • 성정환 (숭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 Published : 2010.02.20

Abstract

Game industry has been grown up with invigorating online game since 1990s and increased in the spending side by focusing on commercial business. Game, however, has displayed a role that can producing cyber culture with Machinima that is a kind of movie made by a game engine. It should be discussed that non-linear activity of game is disclosed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 of online space. Accordingly, there are three ways for this study.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game environment taken non-linear effect related to hypertext space is researched. The second, Machinima is discussed as expansion of hypertext literature. And the last, considering game as consumption of just playing, game is able to become the subject role that can create virtual culture with making a variety of Machinima. consequently, through dichotomy and a liner form between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hypertext space leaded to non-liner situation, positive and active features of game that has taken the activity of virtual reality into the multimedia literature would be delivered.

1990년대 이후 온라인 게임의 활성화와 함께 게임산업이 크게 성장하였고, 상업적 목적으로 인해 컴퓨터 게임의 소비적인 측면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게임의 엔진으로 만들어지는 영상인 '머시니마(Machinima)'의 활성화로 하여금 가상문화를 생산하는 역할을 드러내고 있다. 이렇게 게임이 가상공간의 환경과 밀접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비선형적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하이퍼텍스트 공간에서 비선형구조화 되는 게임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을 연구한다. 둘째,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확장으로서 '머시니마'를 논의한다. 셋째, 소비의 측면으로 여겨졌던 게임이 머시니마의 출현과 함께 문화생산의 주체로 역할을 드러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비의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는 하이퍼텍스트 공간의 비선형 현상과 함께, 게임이 가상현실을 멀티미디어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제기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ohan Huizinga(김윤수 역), 호모루덴스, 까치글방, 1998
  2. 김종회 편, 사이버 문화, 하이퍼텍스트 문학, 국학자료원, p.40, 2005
  3. 김종회 편, 사이버 문화, 하이퍼텍스트 문학, 국학자료원 p.99 2005
  4. 류현주, 하이퍼텍스트문학, 김영사, pp.170-172, 2000
  5. Valis Deux(남도현 옮김), 그림으로 이해하는 현대사상, 개마고원, p.28, 2002
  6. Pierre Levy(김동윤 역), 사이버문화, 문예출판사, 2000 pp.38-40
  7. Johan Huizinga(김윤수 역), 사이버문화, 문예출판사, 2000 pp.38-40
  8. Pierre Levy(김동윤 역), 사이버문화, 문예출판사, 2000 pp.17
  9. 황성준, 가상현실환경에서 입체영상컨텐츠 프로토 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 pp.41-47, 2008
  10. 유대훈, "신개념 게임UCC, '머시니마'가 뜬다!", 게임메카 뉴스(온라인), 2007-04-13 18:31
  11. Jeannie Novak(김재하 역), "신개념 게임UCC, `머시니마`가 뜬다!", 게임메카 뉴스(온라인), 2007-04-13 18:31
  12. Janet H Murray(한용환, 변지연 역),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사이버서사의 미래, 안그라픽스, 2001
  13. Henri-Louis Bergson(박종원 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p230, 2005
  14. 김종회 편, 물질과 기억, 아카넷, p230, 2005
  15. Jeannie Novak(김재하 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p.139, 2005
  16. Johan Huizinga(김윤수 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p.76, 2005
  17. 강지웅 외, 게임과 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8. 정재철, 웹 2.0 시대 디지털 기술 문화에 대한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8권, 4호, pp.557-591, 2008.12
  19.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