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의정연구)
- Volume 15 Issue 2
- /
- Pages.67-88
- /
- 2009
An Analysis on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based on the Whole Reform Bill on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Self-Governing
국회의원 투표 행태 분석: 지방교육자치 관련 법안을 중심으로
- Ka, Sang-Joon (Dankook University)
- 가상준 (단국대학교)
- Received : 2009.10.12
- Accepted : 2009.11.30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In particular, the study closely investigates the Whole Reform Bill on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Self-Governing because the bill attracts a lot of attentions. Above all, the bill contains 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s of educational affairs and members of a board of education. Likewise, the education committee is converted into a standing committee of the local assembly due to the passage of the bill. The reason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bill is because in general, bills on the floor are approved with significant high in favor; however, the bill was passed with opposition. The study examines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legislators' voting decision.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ruling par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ssing the bill. Also, the results exhibit that legislators with high careers and proportional members were in favor of the bill compared with other legislators. Although the study examined only particular bill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t gave an opportunity to look at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Hopefully,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본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국회의 표결에 있어 국회의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이 관심을 끄는 것은 교육감과 교육위원에 대한 직접 선거 및 교육위원회 시·도의회 상임위원회 전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법안은 위원회 이름으로 발의된 법안이며 특정 정당 및 지역의 반대가 있었던 법안이 아님에도 이에 대한 수정안이 제출되었고, 국회에서 통과된 다른 법안과 달리 반대표가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의원들의 투표는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투표행태 분석을 통해 법안의 통과에 있어 중요한 것은 교섭단체 간 합의며, 특히 국회 다수당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을 통해 의정경험이 많은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들은 교섭단체 간 합의된 법안에 좀 더 순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자투표제 실시 이후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