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Creativity of Preschool Children

유아 창의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이채호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 최인수 (성균관대학교 인재개발학과 및 아동학과)
  • Received : 2009.02.24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creativity of preschool children, 98 volumes with articles on the creativity of preschool children were selected from 6 reliable Korean academic journals. Analysis was for year, content, research methods, research design, and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1) the changes by year were that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es increased from 4 articles in 1998 to 24 articles in 2006. (2) The greatest amount of research content concerned educational methods for the generation of creativity. (3) Most research methods were empirical studies. (4) The most used measurement scale was the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Jeon, 2000). (5) Most data analyses were by t-test.

Keywords

References

  1. 김보선(1999). TTCT에 대한 미국인과 한국인의 반응 결과의 차이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인숙.신인숙(2008). 구성주의에 기초한 미술도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37-161.
  3. 김판희(2001). 유아기 창의성에 관한 연구의 최근동향. 한국아동교육학회지, 10(2), 105-122.
  4. 김 호.노영희(2007).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5-278.
  5. 노영희.김경철.김 호(2006).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 개발. 열린유아교육, 11(1), 23-44.
  6. 박영기.강현숙(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7. 변윤희.현은자(2005).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5.
  8. 백지혜.김수영(2007). 유아 정서 창의성 평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7(6), 125-141.
  9. 손혜숙(2007). 교사의 동화 제시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28.
  10. 이순복.전귀연(2006). 부모 및 가족 특성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4), 283-310.
  11. 이 영.김수연.신혜원(2002).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85-97.
  12. 이정희.김판희(2006).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309-331.
  13. 윤정진(2008). 유아의 정보처리유형과 창의성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29(1), 293-303.
  14. 전경남(1999). 창의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전경원(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 학문사.
  16. 전윤숙(2007). 어머니의 창의성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353-376.
  17. 정정희.박윤배.전명남(2004). 유아를 위한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01-222.
  18. 최연욱.최미숙(2006). 광고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35-48.
  19. 최인수(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20. 황윤세(2008). 부모와 교사가 평가한 유아 창의성 차이 및 마음이론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47-172.
  21. 황정숙(2007).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황희숙.손원경(2006). 5세 유아의 창의성과 심리사회적 특성간의 관계 :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405-420.
  23.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 Westview.
  24. Csi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 Harper Collins.
  25. Dacey, J. S. (199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 cross the lifespan. In Puccio, G. J., & Murdock, M. C.(Ed.). Creativity assesment : Reading and resources(323-345). Buffalo, NY : CEF Press.
  26. Holtzman, W. H. (1982). Divergent thinking as a function of the degree of bilingualism of Mexican-American and Anglo fourth-grade students. ERIC Document No ED216827.
  27. Runco, M. A. (1996). Personal creativity : Definition and developmental issues. In M. A. Runco(Ed.),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 The developmental issues. San Francisoco : Jossey-Bass.
  28. Sikka, A. (1992). Responses of African-American students on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ERIC Document No ED353314.
  29. Torrance, E. P. (1975).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 Still alive. In I. A. Taylor & J. W. Cetzel(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Hawthorne, NY : Creati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