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Lee, Sook-Jae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Bong-Su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jou University)
  • 이숙재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봉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Published : 2009.04.0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economic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The model was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research concerning teac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consultations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and testing and modifying the program. The goals of the model program were: teaching children to understand basic economic concepts, helping children to develop an economic attitude that emphasizes interdependence, and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economic values. The model includes three educational areas and 21 content areas including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xchange, sharing and cooperation, and circulation with nature. This study also developed 37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xperiencing nature, virtual experience, real life experience, and traditional games experienc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Ⅰ.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Ⅱ. 건강생활·사회생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명자(1989). 한국세시풍속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현(1997). 유아경제교육 활동이 경제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상규(2002). 민속놀이를 이용한 경제교육방안. 초등교육연구논총, 18(1), 17-36
  6. 김상규(2003). 논어·맹자에 나타난 상생경제교육의 현대적 조명. 경제교육연구, 10(1), 97-122
  7. 김상규(2007). 패러다임의 변화와 퓨전형 경제교육방법의 모색. 경제교육연구, 14(2), 143-173
  8. 김성희(2004), 자연친화적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13, 61-85
  9. 김영옥, 지성애, 홍혜경, 한경희(1998). 유아 기본 생활 습관교육 활동 자료. 서울: 교육부
  10. 김영옥, 최윤정, 최수경(2005). 유아 금융 교실. 서울: 금융감독원
  11. 김영옥, 홍혜경(1998). 유아의 소비생활 인식과 경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색.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1-62
  12. 김영중, 진보경(2005), 생태유아교육이론에 기초한 유치원교육계획.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11, 75-87
  13. 김온기, 이영(2001). 과학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25-49
  14. 김정숙(2005). 체험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정숙, 조은진(2008). 체험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4), 43-63
  16. 김정원(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종대(1996). 열두달 풍속놀이. 서울: 도서출판 산하
  18. 김종숙, 조은진(2008). 체험 중심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4), 43-63
  19. 김현정(2008).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세시풍속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김희은(2000). 생태지향적 경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모색.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미자(2008). 유아경제개념 검사도구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박선희(2003). 유아의 창의적 극놀이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29, 65-93
  23. 박형준(1999). 학교 경제윤리교육의 교수학습모형 설계. 경제교육연구, 5(1), 97-121
  24. 변길희, 심성경(2006),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 개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2), 47-68
  25. 서금택(2003). 효과적인 경제교육지도 방안 - 유아를 중심으로 -.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소병철(2005). 경제와 윤리의 충돌에 관한 고찰. 범한철학, 36, 5-36
  27. 손희정, 정계숙(2006).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연구. 유아교육논총, 15(2), 61-80
  28. 심상선, 이재민(2002). 어린이 경제교육에서 우리 전래동화의 활용가능성 연구. 경제교육연구, 9(1), 123-162
  29. 오춘자(2002).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한 유아 전통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유안진(1990). 한국전통 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1. 윤선영(2007). 비판적 사고 교수 접근에 기초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2. 이기숙(1998). 유아를 위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33. 이기춘(1995). 어린이와 소비자 교육. 삼성복지재단 제 6회 학술대회: 유능한 어린이로 키우기, 7-24
  34. 이성호(2004).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서울: 양서원
  35. 이세원(2006). 경제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와 토의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숙재, 이봉선(2004). 창의적 극놀이 활동을 통한 유아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21-144
  37. 이숙재, 이봉선, 김종선, 이방실(2006). 연극놀이를 통한 유아경제교육. 서울: 창지사
  38. 이원영(1998). 어린이를 위한 가정에서의 소비자교육. 삼성복지재단 제 6회 학술대회: 유능한 어린이로 키우기, 25-46
  39. 이주민(1997). 생태학적 위기 극복을 위한 책임윤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임동권(1985). 한국세시풍속연구. 서울: 집문당
  41. 임재택, 심미연, 조순영(199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 적용 사례와 교육적 가치. 영유아보육연구, 5(1), 51-68
  42. 전경화(1999). 세계화에 대비한 유아기 전통교육에 대한 고찰. 부천대학논문집, 20, 195-211
  43. 정숙주(2000). 세시풍속 교육과 관한 부모와 유아교육 현장의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제미경, 김영옥(2002). 유아의 경제개념에 따른 유아소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소비문화연구, 5(2), 159-178
  45. 조병철(1992). 경제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산경연구, 3(1), 165-182
  46. 최미현, 서현아, 좌승화(2008). 유아경제교육을 위한 동화의 다면적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79-105
  47. 최병두(2000). 자본주의 소비문화와 환경 위기. 서울: 환경과 생명
  48. 최종덕(2007).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 시민교육연구, 39(4), 135-161
  49. 최종선(2005). 전통문화 속에 담긴 조상들의 환경지혜를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편해문(2007). 유아교육기관의 세시풍속 수용 양상과 한계넘어서기. 한국민속학, 46, 105-136
  51. 하정연(2003). 생태유아교육에서 본 아이들의 건강교육. 영유아보육연구, 9, 1-19
  52. Bonnie, D.(1992). Money skills: 101 Activities to teach your child about money. Hawthorne, NJ: The Career Press
  53. Burris, V. L.(1983). Stage i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concepts. Human Relations, 36(9), 791-812 https://doi.org/10.1177/001872678303600901
  54. Colby, M. E.(1990). Environmental management in development. World Bank, 39, 36-39
  55. Davis, M.(1982). Working, earning, and learning: Creative economic education K-2. ERIC, ED222251
  56. Edward, C. P.(1986). Promoting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creative approaches for classroo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7. Hayek, F.(1989). The fatal conceit; the errors of socialism.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Kourilsky, M. L.(1977). The Kinder-economy: A Case study of kindergarten pupil's acquisition of economic concept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7(3), 182-191 https://doi.org/10.1086/461045
  59. Laney, J. D., Frerich, D. K., Frerich, L. P., & Pak, L. K.(1995). The effect of cooperative and mastery leaning methods on primary grade student learning and retention of economic concepts. ERIC, ED401221
  60. Lash. S., & Urry, J.(1998). 기호와 공간의 경제. 박형준, 권기돈(공역). 서울: 현대미학사. (1994년 원저발간)
  61. NCEE (1997). 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s in Economics. New York: National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
  62. Phipps, B., Hopkins, M, C., & Littrell, R. L.(2005). Master curriculum guide in economics: Teaching strategies K-2. New York: National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
  63. Saunders, P., Bach, G. L., Calderwood, J., & Hansen, W. L.(1984). A framework for teaching the basic concepts. New York: Joint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
  64. Seefeldt, C., & Galper, A.(2000). Active experiences for active children: Social studie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65. Wentland, D.(2004). A guide for determining which teaching methodology to utilize in economic education: Trying to improve how economic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o students. Education, 124(4), 640-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