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the Fracture Risk by a Fracture Risk Factor in the FRAX Tool

FRAX Tool에서 골절위험인자에 따른 골절위험도의 변화

  • Song, Hyeon-S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Hyo-Y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un, Jong-J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Hwa-J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Moo-S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Sae-Y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Jeong, Ji-Wo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송현석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효영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윤종준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화진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무석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박세윤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정지욱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09.08.08
  • Accepted : 2009.08.31
  • Published : 2009.10.10

Abstract

Purpose: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announced the FRAX Tool(fracture risk assessment) of new software in the beginning of 2008. FRAX Tool was considered various risk factor, being different from existing fracture risk. In this study, we wanted to know the fracture risk of following the changing of the risk factor of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0 women aged 50~60 were studied. We measured BMD at the part of femur neck which was based on the age, weight, height of individual with GE, Lunar-prodigy. The control group is fracture risk without considering fracture risk factor. The experimental group is previous fracture, parent fracture, current smoking, glucocorticoid, rheumatoid arthritis, secondary osteoporosis, alcohol. if each items makes one 'existence', others are all 'nothing'. and the results produced major osteoporotic region and hip fracture risk in 10-years. Statistics used t-test of SPSS 12.0. Results: The average rate of increment of major osteoporotic region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previous fracture-74% increase, parent fracture-96% increase, current smoking-2% increase, glucocorticoid-61% increase, rheumatoid arthritis-29% increase, alcohol-20% increase, secondary osteoporosis-0.18% decrease. The average rate of increment of hip region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previous fracture-84% increase, parent fracture-5% increase, current smoking-72% increase, glucocorticoid-84% increase, rheumatoid arthritis-40% increase, alcohol-52% increase, secondary osteoporosis-1.69% decrease. Conclusions: Each fracture risk factor has different rate of increment between major osteoporotic and hip region while in occasion of the second osteoporosis it has little relation because of low P-value. We could know that a contribution of the risk factor is different between major osteoporotic and hip region.

목적: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10년 내 골절 위험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을 2008년 초에 발표하였다. FRAX에서는 기존의 골절위험도와는 달리 여러 가지 위험인자가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골절 위험인자 변화에 따른 골절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50~60세의 여성 수검자 50명을 대상으로, GE사의 Lunar-prodigy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개인의 연령, 체중, 키를 바탕으로 대퇴경부의 T-score를 산출하였다. 골절 위험인자를 고려하지 않은 T-Score에서의 골절위험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골절의 경험유무, 골절의 가족력(부모에 한함), 현재의 흡연 여부,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사용유무, 류마티스 관절염의 유무, 이차성 골다공증의 유무, 알콜의 평균섭취량의 7가지 항목을 실험군으로 하여 각각의 항목을 하나가 '유'이면 나머지는 모두 '무'로 하여 골절위험도를 비교하였으며, 골절위험도는 신체 주요부위 골절과 대퇴경부의 골절로 나누어 결과를 산출하였다. 통계는 SPSS 12.0의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골절위험도의 평균증가율은 먼저 신체 주요부위와 실험군을 알아보면 골절의 경험 -74% 증가, 골절의 가족력 -96% 증가, 흡연 -2% 증가, 당질코르티코이드 사용 -61% 증가, 류마티스 관절염 -29% 증가, 이차성 골다공증 -0.18% 감소, 알콜의 섭취 -20% 증가하였다. 대퇴골 경부와 실험군은 골절의 경험-84% 증가, 골절의 가족력 -5% 증가, 흡연 -72% 증가,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사용-84% 증가, 류마티스관절염 -40% 증가, 이차성 골다공증 -1.69% 감소, 알콜의 섭취 -52%가 증가하였다. 결론: 신체 주요부위와 대퇴골 경부에서 위험인자 항목마다 골절위험도의 각기 다른 증가율을 보였으나 이차성 골다공증의 경우에는 유의확률이 낮아 연관성이 다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인자가 신체 주요부위에서의 골절위험도를 높이는 비중과 대퇴골경부에서의 골절위험도를 높이는 비중에서 기여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