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oem 'Kyungjusipiyung(慶州十二詠)' written by Seo, Geo-jeong(徐居正) describes sentiments felt for the ruine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Silla's capital city, Kyungju.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Eight Sceneries(八景)' as it conveys the strong metaphorical aesthetics of ruins as the episodes and figures are sung, as well as the myths and stories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 holy places of the Silla culture: Gyelim(鷄林), Banwolseong(半月城), Najeong(蘿井), Oneung(五陵), Geumosan(金鰲山), the scenic beauty of deep placeness, Poseokjeong(鮑石亭), Mooncheon(蚊川), Cheomseongdae(瞻星臺), Boonhwangsa(芬皇寺), Youngmyosa(靈妙寺) and Grave of the General Kim Yu-Sin(金庾信墓). Compared with the former "Eight Sceneries" Poems, including Seo Geojeong's 'Kyungjusipiyung',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heme recitation, as well as in structure and form, especially with the deep impression of the classical features of the meanings and acts. The sequence of theme recitation seems to be composed of more than two visual corridors visited during trips that last longer than two days. The dominant emotions expresses in this poem, through written in the spring, are regret and sadness such as 'worn', 'broken and ruined', 'old and sad', without touching on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taste for life that is found in most of the Eight Sceneries Poems. Thus, the feelings of the reciter himself, Seo, Geo-jeong, about the described sceneries and their symbolism are more greatly emphasized than the beauty of fo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his experiences of ruins expressed from 'Kyungjusipiyung' is that the experiences were, first of all, qualitative of the aura conveyed; that is, the quality omnipresent throughout the culture of Silla as reflected in the twel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this poem, the cultural ruins of the invisible dimension such as the myths and legends are described by repetition, parallelism, juxtaposition, reflection and admiration from the antiphrases, as well as the civilized ruins of the visible dimension such as the various sceneries and features of Kyungju. This seems to be characteristic of the methods by which Seo, Geo-jeong appreciates 'Silla' in the poem 'Kyungjusipiyung'. Ruins as an Aesthetic Object imply the noble pride of Seo, Geo-jeong in identifying himself with the great nature of ruins. In 'Kyungjusipiyung', the images of the ruins of Silla and Kyungju are interspersed in spite of his positive recognition of 'the village of Kyungju' based on his records. However, though the concept of ruins has a pessimistic tone connoting the road of extinction and downfall, the aspect here seems to ambivalently contain the desire to recover and revive Kyungju through the Chosun Dynasty as adominant influence on the earlier Chosun's literary tide. The aesthetics of the scenery found in Seo, Geo-jeong's 'Kyungjusipiyung' contain the strongest of metaphor and symbolism by convert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adoxical ruins into the value of reflective experiences.
팔경시 '경주십이영'을 통해 서거정은 고도 경주의 폐허화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감회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신라문화의 대표적 성지인 계림, 반월성, 나정, 오릉 그리고 장소성 깊은 승경인 금오산(남산), 포석정, 문천, 첨성대, 분황사, 영묘사, 김유신묘 등을 중심으로 거기에 깃든 신화와 설화는 물론 관련된 사건과 인물을 회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기존 '팔경'과는 다른 폐허미학적 메타포가 강하게 전달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서거정의 팔경시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팔경시와 비교할 때, 제영 구조와 형식은 물론 내용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의미와 행위를 부각시킨 인문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경주십이영'의 제영 순서를 추적할 때 2일 이상의 유람시간을 통해 2개 이상의 시각회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봄철에 지어진 시임에도 불구하고 시 속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활의 풍류' 그리고 '번성과 풍요'는 배제되고 대부분 오래 되고, 부서져 허물어지고, 늙고, 슬프고 등의 아쉬움과 슬픔의 정조가 지배적이다. 서거정은 '경주십이영'을 통해 경주의 다양한 경승과 경물 등 가시 영역의 문명적 폐허 뿐만 아니라 신화와 전설 등 비가시 영역의 문화적 폐허를 반복, 병렬, 병치 그리고 대조의 수사학적 표현으로 회고와 영탄의 폐허미를 읊고 있다. 이는 서거정이 '경주'를 바라보는 사유방식이자 표현방식이며 기존 회고시의 전형적 특성으로 서거정이 '경주십이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폐허 경험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전하는 아우라, 즉 12가지 역사문화경관에 담긴 총체적 신라문화에 편재한 질에 대한 정성적 경험이었다는데 그 특징이 읽혀진다. 기문 등을 근거로 '고도 경주'에 대한 서거정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경주십이영'에 담긴 신라와 경주의 이미지는 폐허로 점철되고 있다. 그러나 폐허가 소멸과 몰락의 길을 가리키는 비관주의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폐허의 양상은 조선 전기의 문풍을 좌우했던 인물로서 조선 왕조를 통해 경주를 다시 상승 부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포괄하는 양가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서거정의 '경주십이영'에서 발견되는 풍경의 미학은 가장 은유적이면서도 문화적 상징성이 강한 것으로 폐허성을 반성적 경험의 가치로 전환하기 위한 역설적 폐허미학의 소통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