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e of Regional Industries for Daejeon.Choongchung Area and the Measurement of Regional Innovation Ability

대전.충청지역 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지역별 혁신역량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09.08.31
  • Accepted : 2009.09.16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regional industries in Daejeon, including Choongchung area and the measurement of Regional Innovation Ability Index.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nvironment of the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in terms of Regional Location Quotient Index.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four types of innovation ability indexes, i.e., human resource,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transfer and application, and innovation supporting finance output market. The findings indicate that Daejeon showed the highest index 2.977, and Seoul recorded 2.650 as the second rank. The indexes of Choongnam and Choongbuk were 2.034 and 2.082, respectively, which reached to 76%~78% of that of Seoul. The indexes of the other cities accounted for only 50%~60% of that of Deajeon c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regional difference particularly in the knowledge creation area.

본 연구는 대전 충청지역의 산업구조와 특성을 분석한 후 지역경제의 혁신여건과 지역별(광역자치단체중심) 혁신역량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지역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혁신역량을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혁신역량지수는 유럽연합(EU)의 분류에 따라 인적자원부문, 지식창출부문,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 그리고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9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측정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총합혁신역량지수는 대전이 2.977로 가장 높고 다음이 서울로 2.650을 보임으로서 대전과 서울에 혁신활동이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충남과 충북의 혁신역량지수도 비교적 높은 서울의 76~78%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여타 지역의 혁신역량지수는 서울이나 대전의 50~60%에 그치고 있어 지역 간 격차가 뚜렷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심한 영역은 지식창출부문으로서 대전은 0.866인데 비하여 부산은 0.085로 무려 10배나 차이가 나고 있으며, 다음은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과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인적자원부문의 혁신지수는 지역 간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지역의 산업분야별 혁신역량 분석 및 지표개발 ('01-'03), 2005.
  2. 김해동,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3. 이무근,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제5차 KRIVET HRD 정책포럼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4. 장재홍, 지역혁신지수의 산출 및 지역 간 비교분석, 산업연구원, 2006.
  5. N. Bontis, "Intellectual capital: an exploratory study that develops measures and models," Management Decision, 36(2). pp.63-76, 1998. https://doi.org/10.1108/00251749810204142
  6.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Commission Staff Working Paper, 2001, 2002, 2003, 2004, 2005.
  7. S. Kline and N. Rosenberg, "An Overview of Innovation," in R. Landau(ed.), The Positive Sum Strategy: Harnessing Technology for Economic Growth,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pp.275-306, 1986.
  8. J.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78.
  9. S. Stern, M. Porter, and J. L. Furman,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Innovative Capacity," Working Paper, No.7876, NBER, 2000.
  10. J. A. Schumpeter,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 (original German edition published in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