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il Organic Amendment and Water-Absorbing Polyme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Poa pratensis L.

Poa pratensis L. 에서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수분 중합체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 Kim, Kyoung-Nam (Dept. of Horticultur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Sahmyook University)
  • 김경남 (삼육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원예학과)
  • Received : 2009.09.10
  • Accepted : 2009.11.27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germination vigor, number of leaves, plant height and turfgrass density. A total of 18 treatment combinations were used in the study. Treatments were made of soil organic amendment(SOA), sand, and water-absorbing polymer. Germination vigor,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turfgrass density were evaluated in Kentucky bluegrass(KB)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ermination vigor,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turfgrass density among 18 mixtures of SOA and polymer.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associated with mixture of SOA 20% + sand 80% + polymer 0%, resulting in 56.3% for KB. Number of leaves at 60 DAS(days after seeding) were greater with KB over PR, while plant height higher with PR over KB. Leaf number increased with SOA, being SOA 20% > SOA 100% > SOA 10% and with polymer from 0 to 12%. Plant height was greatest with SOA 20% and lowest with SOA 100%. Greater density was observed with PR rather than KB due to longer plant height. Turf density was best under SOA 10% and poorest under SOA 100% in KB. A further research would be required for investigating the individual effect of K-SAM, Ca, perlite on the turf growth characteristics.

본 실험을 통해 고품질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및 중합체 혼합율에 따라 잔디생존력, 지상부 생장, 초장 및 잔디품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Table 5).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발아율은 혼합 처리구에 따라 최소 0%~최대 56.3%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고 발아율 56.3%는 SOA 20% 및 중합체 0% 혼합된 처리구 13(SOA 20%+sand 80%+polymer 0%)에서 나타났다. 잔디생존력에서 유기질개량재 효과는 SOA 10% 및 20% 처리구가 SOA 100% 보다 더 양호하였다. 잔디발아 측면에서 중합체 혼합비율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였으며, 특히 중합체 3% 이상은 발아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지상부 엽생장의 생장지표인 전체엽수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2.2~4.0엽 사이였고,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0% > SOA 10%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잔디엽수 생장을 고려 시 중합체 혼합비율은 12% 이하가 적절하였다. 3. 초장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20% > SOA 10% > SOA 100% 순서로 나타났으며, 중합체 혼합 시 처리구 14(SOA 20%+sand 80%+polymer 3%)를 제외하고는 3~15% 사이에서 잔디 초장 차이는 없었다. 4. 잔디밀도는 파종 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유기질개량재 SOA 및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유기질개량재 SOA 효과는 SOA 10% 및 20% 혼합구가 SOA 100% 에 비해 좀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5. 향후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모래 혼합구에서 중합체 K-36의 구성요소인 K-SAM, Ca, perlite, Kitosan 등 개별 요인에 대한 추가 생육검정을 통해 이들 소재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적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6. 본 실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수는 정상적인 엽수보다 1엽 정도 적은 2.5~4.0엽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토심이 좀 더 깊은 포트 또는 포장에서 실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7. 또한 수분 흡수 중합체는 식물 생장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잔디밭에서 파종 후 발아과정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 및 저장함으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 및 조합비율에 대한 조정과 함께 종자파종 잔디밭과 함께 뗏장 이식 후 잔디밭에서 비교검토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구, 태현숙, 류창현. 2006. 동물성 유기질 개량재가 들잔디 및 켄터키 블루그래스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지 20(1):33-40
  2. 김경남. 2005. STM 총서 I-잔디학개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3. 김경남. 2006. STM 총서 II-잔디관리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4. 김경남. 2007. STM 총서 III-잔디조성론. 삼육대학교 출판부
  5. 김경남. 2009.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에서 유기질 토양개량재 및 수분 중합체 혼합이 잔디생육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논문집 44:00-00. (in press)
  6. 김경남, 남상용. 2003. 생육환경에 따라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및 Festuca arudinacea Schreb.의 초종 및 품종별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17(1):1-12
  7. 김경남, 정기완. 2009. ISTA 변온조건에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신품종 8종류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3):72-82
  8. 김인철, 주영규, 이정호. 2002. 올림픽 주경 기장 지반 상토층의 토양물리성과 잔디 생육의 상관관계. 한국잔디학회지 16(1):31-40
  9. 조성진 외 10인. 1993. 토양학. 향문사
  10.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8. 잔디구장의 조성과 관리. 동원사
  11. Alderson, J. and W.C. Sharp. 1995. Grass varieties in the United States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CRC Press, Inc., New York, NY, USA
  12. Anonymous. 1964. Rules for testing seed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Seed Analysts 54(2):1-112
  13. Bandaranayake, W., Y.L. Qian, W.J. Parton, D.S. Ojima, and R.F. Follett. 2003.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changes in turfgrass systems using the CENTURY model, Agron. J. 95(3):558-563 https://doi.org/10.2134/agronj2003.0558
  14.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USA
  15. Beard, J.B. and H.J. Beard. 2005. Beard's Turfgrass Encyclopedia for Golf Courses, Grounds, Lawns and Sports Field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East Lansing, USA
  16. Hanson, A.A., F.V. Juska, and G.W. Burton. 1969. Species and varieties. Agron. Monogr. 14:370-409. In A.A. Hanson and F.V. Juska (ed.), Turfgrass Science. ASA, Madison, WI, USA
  17. Kerek, M. 2003. Labile soil organic matter as a potential nitrogen source in golf greens. Soil Biology & Biochemistry. 35(12):1643-1649 https://doi.org/10.1016/j.soilbio.2003.08.011
  18. Krans, J.P., Puhalla, J., and Goatley, M. 1999. Sports Fields: A manual f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19. Li, D., Y.K. Joo, N.E. Christian, and D.D. Miner. 2000. Inorganic soil amendment effects on sand-based sports turf media. Crop Sci. 40(4):1121-1125 https://doi.org/10.2135/cropsci2000.4041121x
  20. Madison, J.H. 1966. Optimum rates of seeding turfgrasses. Agron. J. 58:442~443
  21. SAS Institute, Inc. 199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SAS Inst., Inc., Cary, NC, USA
  22. The Lawn Institute. 1991. Seed. LISTS 69-112. In E.C. Roberts and B.C. Roberts (ed.), Lawn Institute Special Topic Sheets, Tennessee Cumberland Printing Corp., Crossville, TN, USA
  23. Thorogood, D. 2003.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pp. 75-105. In M.D. Casler, A.A. and R. R. Duncan (ed.), Turfgrass Biology, Genetics, and Breeding.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J, USA
  24. Turgeon, A.J. 2005. Turfgrass Management. Fourth ed.,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USA
  25. Waddington, D.V. 1992. Soils, soil mixtures, and soil amendments. Agron. Monogr. 32:129-174. In D.V. Waddington, R.N. Carrow and R.C. Shearman. (ed.), Turfgrass. ASA-CSSA-SSSA, Madison, WI, USA
  26. Watschke, T.L. and R.E. Schmidt. 1992. Ecological aspects of turf communities. Agron. Monogr. 32:331-383. In D.V. Waddington, R.N. Carrow and R.C. Shearman. (ed.), Turfgrass. ASA-CSSA-SSSA, Madison, WI,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