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황점볼락 생식주기에 따른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의 혈중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Testosterone 농도는 배란기(12월)에서만 유의하게 높은 평균 3,091 pg/mL의 혈중 농도를 보이나 나머지 발생 단계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내면서 각 발생단계 상호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혈중 $E_2$, 농도는 난황형성기 (9월)에 가장 높은 평균 농도(531.8 pg/mL)를 나타낸 후 배란기까지 다른 발생 단계의 혈중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배 발생기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러한 난청형성기간 동안 높았다가 임신기에 낮아지는 $E_2$의 농도는 난생 어류에서와 같이 난 태생어류에서도 난모세포의 성숙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DHP의 농도는 난황형성기와 배란기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배발생, 산출 후, 미성숙시기의 혈중농도는 발생단계에 상관없이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01). DHP는 난청형성기에 높은 혈중 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난황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혈중 VTG 농도를 난소발달 즉 미성숙(8월), 난황 형성기(10월), 배란기(12월) 산출 후(3월) 등 4단계로 나뉘어 조사한 결과, 혈중 VTC농도는 미성숙 시기(8월)와 산출 후(3월)의 혈중농도가 나머지 발생단계에 비해 유의하게 낮지만 이들 발생 단계간의 농도 차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난청형성기와 배 발생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이나, 양 발생 단계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난황단백전구체가 10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배란기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산출 후에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은 난모세포의 성장과 난황형성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steroidogenic activities and plasma vitellogenin (VTG) profiles according to the reproductive phases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e examined changes in sex steroid hormones and plasma vitellogenin. Plasma levels of testosterone (T) w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only ovulation stage (P<0.05). In vitellogenesis, plasma estradiol-$17{\beta}$ ($E_2$) had a high level in August which was a similar higher level until ovulation than other ovarian development stages (P<0.05). However, $E_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mbryo stage (P<0.05). This indicates that variability in $E_2$ at different stage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oocytes. Plasma levels of $1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were significantly high at the stages of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P<0.001). It is assumed that DHP plays an important role in vitellogenesis. Also, We determined the plasma levels of vitellogenin (VTG)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 into four steps: immaturation,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and parturition. A significant lower levels of VTG were shown in immaturation and parturition (P<0.05), which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them. However, in vitellogenesis and ovulation were shown in a remarkable higher levels of VTG(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Consequently, plasma VTG levels were considerably increased after October and maintained a higher concentration until ovulation,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ovulation. It is suggested that VTG plays also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vitellogenesis and oo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