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Biochemical Variable Markers in Adults

생화학적 표식자에 따른 성인들의 골밀도 분석

  • Kim, Sun-Geun (Department of Radiology, Woosuk University Hospital) ;
  • Kweon, Dae-Cheol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Shin Heung College University) ;
  • Song, Woon-Heung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hin Heung College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We evaluated the BMD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s of 998(male 568, female 430) persons who took a regular health screening in Woosu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7 to March 2008 by dual energy bone mineral densitometry. Results of BMD are different in terms of biochemical markers. Especially aged people showed osteoporotic change progressively. Degree of osteoporosis increases with age. A steep decrease of BMD can be found in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low level of female hormone. More persistent effort is need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an reduce BMD values for prevention of problems by osteoporosis. In essence,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other biochemical markers must be studied continuously.

성인들의 생화학적 표식자를 검사해 골밀도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적 또는 생화학적 인자들을 규명하고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등과의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2007년 9월 12일부터 2008년 3월 18일까지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남성 568명 여성 430명으로 총 998명 수진자를 대상으로 양 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에 직접 관여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표식자는 인, 칼슘, 관절염, 헤모글로빈, 글루코오스, 간 기능검사의 GOT, GPT, $\gamma$-GTP를 측정하여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생화학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남성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은 대퇴경부의 골밀도가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나 척추는 40대에서 골밀도가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들 중 폐경 후의 여성들보다 폐경 전의 여성들이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생화학적 표식자 인에서 정상 기준치 이상 군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았으며 여성은 정상치군일 때가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골밀도는 낮아지고 체중이 높아지면 골밀도는 높아졌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형무, 정병준, 배도환 : 우리나라 고령 여성인구의 분포 현황, 대한산부인과회지, 36(1), 3605-3612, 1993
  2. 김정구, 김재원, 김석현, 최영민, 신창재, 문신용 등 : 일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한 폐경과 호르몬 대치요법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폐경학회잡지, 1(1), 1, 42-50, 1995
  3. 장준섭, 강군순, 박희완, 한명훈 :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요추부의 골밀도 측정,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5(1), 262-269, 1990
  4. Kelly PJ, Hopper J, Makaskill GT, Pocock NA, Sambrook PN, Eisman JA : Genetic factors in bone turnover. J Clin Endocrinol Metab, 72(4), 808-13, 1991 https://doi.org/10.1210/jcem-72-4-808
  5. Tokita A, Kelly PJ, Nguyen TV, Qi JC, Morrison NA, Risteli L : Genetic influence on type I collagen synthesis and degradation: Further evidence for genetic regulation of bone turnover, J Clin Endocrinol Metab, 78, 1461-6, 1994 https://doi.org/10.1210/jc.78.6.1461
  6. Dequeker J, Nijs J, Verstaeten A, Geusens P, Gevers G: Genetic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contents of the spine and radius : A twin study, Bone, 8, 207-9, 1987 https://doi.org/10.1016/8756-3282(87)90166-9
  7. Slemenda CW, Christian JC, Williams CJ Norton JA, Johnston CC Jr : Genetic determinants of bone mass in adult women : a reevaluation of the twin model and the potential importance of gene interaction on heritability estimates, J Bone Miner Res, 5, 561-7, 1991
  8. Tylavsky PA, Bortz AD, Hancock RL, Anderson JJ : Familial resemblance of the radial bone mass between premenopausal mothers and their college age daughters : Calcif Tissue Int, 45, 265-71, 1989 https://doi.org/10.1007/BF02556017
  9. Krall EA, Dawson-Hughes B : Heritable and life style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J Bone Miner Res, 8, 1-9, 1993 https://doi.org/10.1002/jbmr.5650080102
  10. Cho WK, Ahn SA, Park SH, Hahn SH, Jung MH, Suh BK : The Auxological and Hormonal Differences in Girls with Atypical Thelarche and Central Precocious Puberty,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14(1), 60-67, 2009
  11. Chi GH, Lee JN, Chung WY : Study on the diagnostic utility of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n growth hormone deficiency, Korean J Pediatr, 51(12), 1329-1335, 2008 https://doi.org/10.3345/kjp.2008.51.12.1329
  12.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Diagnosi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 J. Med, 94(6), 646-650, 1993 https://doi.org/10.1016/0002-9343(93)90218-E
  13. 민용기, 정호연, 장학철, 한인권 :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로 측정한 한국인 여성의 측면 요추 골밀도, 대한골대사학회지, 1(1), 70-76, 1994
  14. 고석봉, 이광희, 곽양수, 이두진, 박윤기, 이승호: 폐경기 증상과 양측 난소제거술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학회지, 37(10), 2037-2046, 1994
  15. Hansen MA, Overgaard K, Riis BJ, Christiansen C : Potential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examined over a 12-year period, Osteoporosis Int, 1(2), 95-102, 1991 https://doi.org/10.1007/BF01880450
  16. Kanis JA, Melton LJ, Christiansen C, Johnston Cc, Khaltaev N :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Bone Mineral Res, 9(8), 1137-1140, 1994 https://doi.org/10.1002/jbmr.5650090802
  17. 김현경, 배강민, 임훈, 오철용 : 남원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연령 및 폐경전후 체중에 따른 비교, 가정의학회지, 22(2), 171-177, 2001
  18. 조수현, 조삼현, 최환석, 옥선명 : 태권도와 유도선수에 있어서 부위별 골밀도의 차이연구, 가정의학회지, 19(8), 642-651, 1998
  19. 김순근 :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29(3), 177-184, 2006
  20. 김순근, 권대철, 오찬호 : 20-30대 여성의 골밀도 영향 인자에 대한 출산 후 여성과 일반여성과의 비교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30(1), 25-3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