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yal and Sajik Tree of Joseon Dynasty, the Culturo-social Forestr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 Yi, Cheong-Ho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Ecology, Korea University) ;
  • Chun, Young 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College of Forestry, Kookmin University)
  • 이정호 (고려대 환경생태연구소) ;
  • 전영우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8.12.29
  • Accepted : 2009.02.04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From a new perspective of "humans and the culture of forming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can be reformulated under the concept of "cultural sustainability". Cultural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emphasis of the high contribution to sustainability of the culture of forming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is study extracts the implications to cultural sustainability for the modern world by investigating a historical case of the culturo-social pine forestry in the Joseon period of Korea. In the legendary and recorded acts by the first king Taejo, Seonggye Yi,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was the "Royal tree" of Joseon and also the "Sajik tree" related intimately with the Great Sajik Ritual valued as the top rank within the national ritual regime that sustained the Royal Virtue Politics in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to the Neo-Confucian faith and royal rituals of Joseon, elements of geomancy (Feng shui), folk religion, and Buddhism had been amalgamated. The deities worshipped or revered at the Sajik shrine were Earth-god (Sa) and crop-god (Jik). And it is the Earth god and the concrete entity, Sajik tree, that contains the legacy of sylvan religion descended from the ancient times and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nfucian faith and ritual regime. Korean red pine as the Royal-Sajik tree played a critical role of sustaining the religio-political justification for the rule of the Joseon's Royalty. The religio-political symbolism of Korean red pine was represented in diverse ways. The same pine was used as the timber material of shrine buildings established for the national rituals under Neo-Confucian faith by the royal court of Joseon kingdom before the modern Korea. The symbolic role of pine had also been expressed in the forms of royal tomb forests, the Imposition Forest (Bongsan) for royal coffin timber (Whangjangmok), and the creation, protection, conservation and bureaucratic management of the pine forests in the Inner-four and Outer-four mountains for the capital fortress at Seoul, where the king and his family inhabit. The religio-political management system of pine forests parallels well with the kingdom's economic forest management system, called "Pine Policy", with an array of pine cultivation forests and Prohibition Forests (Geumsan) in the earlier period, and that of Imposition Forests in the later period. The royal pine culture with the economic forest management system had influenced on the public consciousness and the common people seem to have coined Malrimgat, a pure Korean word that is interchangeable with the Chinesecharacter words of prohibition-cultivation land or forest (禁養地, 禁養林) practiced in the royal tomb forests, and Prohibition and Imposition Forests, which contained prohibition landmarks (Geumpyo) made of stone and rock on the boundaries. A culturo-social forestry, in which Sajik altar, royal tomb forests, Whangjang pine Prohibition and Imposition forests and the capital Inner-four and Outer-four mountain forests consist, was being put into practice in Joseon. In Joseon dynastry, the Neo-Confucian faith and royal rituals with geomancy, folk religion, and Buddhism incorporated has also played a critical humanistic role for the culturo-social pine forestry, the one higher in values than that of the economic pine forestry. The implication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historical case study on the Royal-Sajik tree and culturo-social forestry of Joseon : Cultural sustainability,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maintains a long-term culturo-natural equilibrium or balance for many generations, emphasizes the importance that the modern humans who form and conserve environment need to rediscover and transform their culturo-natural legacy into conservation for many generations and produce knowledge of sustainability science, the transdisciplinary knowledg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s, which fulfills the cultural, social and spiritual needs.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인간과 문화'의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숲 관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문화의 높은 기여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세조선의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현대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함의들을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의 첫 번째 왕이었던 태조와 관련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조선의 왕목이었고 왕도정치의 이념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 체제 속에서도 가장 상위에 속하는 사직제례와 관련 있는 사직수(社稷樹)였다. 사직 제례의 숭배대상은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인데 고대 사회의 수목신앙을 이으면서 유교적 신앙 및 예제에 편입된 것이 토지신이며 토지신의 구체적 모습이 사직수이다. 왕목과 사직수로서의 소나무는 조선 왕실 통치의 종교-정치적 정통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소나무의 종교-정치적 상징성은 여러 측면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는 조선 조정이 주관하는 예제가 봉행되는 신전과 사당을 위해서도 물적 기반으로도 쓰였다. 소나무의 이런 역할은 왕실 능원림, 왕실 관곽재를 위한 황장봉산의 소나무 숲, 왕의 거처 도성 내외사산 소나무 숲의 조성, 방제, 보전, 관료적 관리로 확대 표현되었다.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인 이러한 소나무 숲의 종교-정치적 관리 체계는 조선의 경제적인 숲 관리 체계인 송정이나 조선 전기의 의송처와 금산의 소나무 숲 및 조선 후기의 봉산 체계의 소나무 숲의 경영과도 비교가 가능하고 공통성과 고유성을 함께 보여준다. 왕실의 소나무 문화는 대중적 의식에도 영향을 끼쳐 백성들이 금표가 있는 능원림, 금산, 봉산에서 시행된 금양(禁養)된 토지 또는 숲과 바꾸어 쓸 수도 있는 '말림갓'이라는 순한국어 단어를 형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은 사직단, 능원림, 황장금산 및 황장봉산, 도성내외 사산의 소나무숲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사회적 임업을 실행하였다. 조선 시대 소나무 숲의 보전과 경영에는 풍수지리, 민속신앙, 불교적 요소가 통합된 조선의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가 경제적 목적보다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여러 세대를 걸쳐 장기적인 문화-자연적 평형이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인데, 숲과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현대인이 문화-자연 유산을 발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보전으로 변환하며,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하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학제적 지식인 지속가능성 과학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근세조선의 사례 연구의 함의로 추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자. 기원전 7세기. 논어 (論語) [김용옥. 2001. 도올 논어2. 통나무]
  2.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ok.history.go.kr (2008.10.19~12.01)
  3. 금장태. 2004. 유교사상과 종교적 세계. 한국학술정보
  4. 김기덕, 이재현. 2003.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읍치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2(1): 43-58
  5. 김부식. 1145. 삼국사기(三國史記). [이재호 옮김. 1997. 솔]
  6. 김태영. 1973. 조선초기 사전(祀典) 성립에 대하여. 역사학보 58: 105-135
  7. 김학범, 장동수. 1994. 마을숲 : 한국 전통 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열화당
  8. 박봉우. 1992. 소나무, 황장목, 황장금표. 숲과 문화 1(2):12-15
  9. 박봉우. 1993. 삼국유사에 나오는 나무이야기: 1. 신단수와 단수. 숲과 문화 2(1): 12-22
  10. 박봉우. 1996a. 황장금표에 관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85(3): 426-438
  11. 박봉우. 1996b. 봉산고(封山考). 산림경제연구 4(1): 1-20
  12. 박종채. 2000. 조선후기 금송계의 유형. pp.192-204. 배상원 엮음, 숲과 임업. 수문출판사
  13. 배재수. 1995. 조선후기 봉산의 위치 및 기능에 관한 연구: 만기요람과 동여도를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3(1):29-44
  14. 배재수. 1998. 일제하 관습적 산림이용권의 해체과정. 한국임학회지 87(3): 372-382
  15. 배재수. 2000. 조선후기 영선목재의 조달체계와 산림관리: 창덕궁 인정전 중수를 중심으로. pp. 171-187, 배상원 엮음, 숲과 임업. 수문출판사
  16. 배재수. 2002. 조선후기 송정의 체계와 변천과정. 산림경제연구 10(2): 22-50
  17. 변영섭. 1997. 동아시아의 미술가: 진경산수화의 대가 정선. 미술사 논단. 5:139-164
  18. 세계환경발전위원회 지음, 조형준, 홍성태 옮김. 2005. 우리 공동의 미래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향하여. 새물결
  19. [Bruntland, G.H. 1987. Our Common Future : The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 오병훈. 2001.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수목. pp.94-109. 송형섭 엮음, 숲과 미술. 수문출판사
  21. 이기봉. 2002. 조선후기 봉산의 등장배경과 그 분포. 문화역사지리 14(3): 1-18
  22. 이도원 엮음. 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3. 이 선. 2001. 진경산수화속의 생태읽기. pp. 88-93, 송형섭 엮음, 숲과 미술. 수문출판사
  24. 이승환. 2001. 유가(儒家) 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학교 출판부
  25. 이우균. 1995. 보속성 원칙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산림 6월호: 110-121
  26. 이정호. 2005. 숲과 문화 연구회 : 포지티브 방식의 환경 및 문화 운동 단체, 문학과 환경 4: 247-250
  27. 로버트 웬키 지음, 안승모, 김승옥 옮김. 2003. 선사문화의 패턴. 서경
  28. [Robert J. Wenke, 1999. Patterns in Prehistory, 4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K]
  29. 전영우. 1993. 조선시대 소나무 시책: 송정 또는 송금. 숲과 문화 2(1): 12-22
  30. 전영우. 1995. 숲에 대한 문화적 인식. 과학사상 15:131-135
  31. 전영우. 숲에 대한 문화적 인식. [숲과 문화 (1996) 5(1): 12-15]
  32. 전영우. 1997. 산림문화론. 국민대학교 출판부
  33. 전영우. 1999. 숲과 한국 문화. 수문출판사
  34. 전영우.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 현암사
  35. 전영우. 2005. 풍수사상에 원용된 소나무의 역할과 의미. pp.87-105, 2005년 숲과 문화 연구회 학술토론회 '숲과 철학' 자료집. 2005년 9월 10-11일, 하나은행 한마음 연수원, 경기도 신갈
  36. 정경희. 2005. 한국의 제천전통에서 바라본 정조대 제천 기능의 회복. 조선시대사학보 34: 159-200
  37. 채미하. 2003. 신라선덕왕대 사직단 설치와 사전의 정비. 한국고대사연구 30: 113-142
  38. 최광식. 1996. 신라와 당의 대사, 중사, 소사 비교연구. 한국사연구 95: 1-21
  39. 최광식. 2007. 한국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출판부
  40. 최덕수, 박경석, 이구. 1997. 조선후기 봉산제 성립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5(1): 49-63
  41. 존 펄린 지음, 송명규 옮김, 2002. 숲의 서사시. 따님
  42. [Johhn Perlin, 1989. A Forest Journey,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S.A.]
  43. 한동환. 1992. 조선후기 한양금산의 범위와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한형주. 2002. 조선 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45. Agnoletti, M. 2006. Man, forestry, and forest landscapes: trends and perspectives in the evolution of forestry and woodland history research. Schweiz. Z. Forstwes. 157: 384-392 https://doi.org/10.3188/szf.2006.0384
  46. Chun, Y.W. and Tak, K.I. 2006. The role of pine forests for shapi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 In : Parrotta, J., Agnolettie, M., Johann, E. (Eds.), Cultural Heritage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Role of Traditional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8-11 June 2006, Florence, Italy, Ministerial Conference on the Protection of Forest in Europe, Liason Unit, Warsaw, Poland. pp.177-18
  47. Clark, W.C. and Dickson, N.M. 2003. Sustainability science: the emerging research program. Proc. Natl. Acad. Sci. USA 100(14): 8059-8061 https://doi.org/10.1073/pnas.1231333100
  48. du Pasani, J.A. 2005. Sustainable development: historical roots and evolution of the concept. pp.28-37. In: Agnoletti, M., Aermiero, M., Barca, S., Cornona, G. (eds.) History and Sustainability.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istory, February 16-19, 2005, Florence, Italy
  49. Harrison, R.P. 1992. Forests: the Shadow of Civiliz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S.A
  50. Maser, C. 1994. Sustainable Forestry: Philosophy, Science, and Economics. St. Lucie Press, Delray Beach, FL, U.S.A
  51. Menzies N.K. 1994. Part 3: Forestry. pp. 540-667, In:Needham, J. ed.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6. Bi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52. Oliver, C.D. 2003. Sustainable forestry: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Journal of Forestry 101(Jul/Aug): 8-14
  53. Parrotta, J.A. and Agnoletti, M. 2007. Traditional forest knowledge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est Ecol. Manag. 249: 1-4 https://doi.org/10.1016/j.foreco.2007.05.022
  54. Sample, V.A. and Cheng, A.S. 2004. Current issues in U.S. forest policy, pp.23-116, Forest Conservation Policy:A Reference Handbook. ABC Clio, Santa Barbara, CA, USA
  55. Swamy, P.S., Kumar, M. and Sundarapandian, S.M. 2003. Spirituality and ecology of sacred groves in Tamil Nadu, India. Unasylva 54: 53-58
  56. United Nations. 1992.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io De Janeiro, 3-14 June 1992) Annex III Non-legally Binding Statement of Principles for a Global Consensus on the Manage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All Types of Forests
  57. Yi, C.-H. 2006. Koguryo civilisation sustained by forest culture in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In : Parrotta J., Agnolettie M. and Johann E. eds. Cultural Heritage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Role of Traditional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8-11 June 2006, Florence, Italy. Ministerial Conference on the Protection of Forest in Europe, iason Unit, Warsaw, Poland. pp.102-108
  58. Young, O.R., Berkhour, F., Gallopin, G.C., Janssen, M. A., Ostrom, E. and ven der Leeuw, S. 2006. The globalisation of socio-ecological systems: an agenda for scientific research. Global Environ. Change 16: 304-316 https://doi.org/10.1016/j.gloenvcha.2006.0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