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Song, Jeong Hee (Department of Fore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Won Sop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eoun, Poung Sik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Meong Do (Environmental Educator, Korean National Arboretum)
  • 송정희 (충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신원섭 (충북대학교 농업환경대학 산림학과) ;
  • 연평식 (충북대학교 농업환경대학 산림학과) ;
  • 최명도 (국립수목원 산림환경교육교사)
  • Received : 2009.01.07
  • Accepted : 2009.02.02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erapeutic uses of forest are recently discussed as an alternative clinical or psychological program for diverse population. This study was t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herapeutic forest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From April to July of 2008, total 24 programs were performed to 70 unmarried women in Unmarried Mothers' House in Kyunggi-do.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depression and self-esteem level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산림의 건강 기능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산림의 건강 기능을 활용한 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 해소와 자존감의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E시설에 입소하여 보호를 받고 있는 미혼모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5명과 비교집단 35명을 나누어 수집되었다. 2008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24회의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산림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미혼모들에게서 큰 폭의 우울증 감소와 자존감의 향상이 있었다.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치 않은 비교집단 미혼모들에게서는 이러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희. 2008. 음악치료가 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혜숙. 2001. 집단미술치료가 미혼모의 자기존중감,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박영숙. 2006.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MBSR) 응용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서울 불교 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배미영. 2000. 미혼모 발생 요인 분석: 미혼모 집단과 비교집단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배영미, 이형실. 2002. 청소년 미혼모와 일반 청소년의 자아상태, 인생태도 및 가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39-50
  6. 보건복지가족부. 2008. 가족통계현황
  7. 신원섭. 2004. 산림의 건강기능을 이용한 임상 프로그램 개발. 농림부 농특과제 최종보고서
  8. 신원섭, 오홍근. 1996. 山林프로그램 參與 經驗이 憂鬱症 水準에 미치는 影響, 한국임학회지 85(4): 586-595
  9. 신원섭, 김시경. 2007. 산림 경험이 알코올 의존자의 우울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6(2): 203-207
  10.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김시경, 주진순. 2007. 산림경험이 참여자의 불안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1): 27-32
  11. 이상익, 신원섭, 권영문, 권헌교. 2003). 산림 방향 물질이 불안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4): 25-29
  12. 정성애. 2004. 심리적 적응단계에 따른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심리, 신체적 재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최양자, 김귀분. 2004. 미혼모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4): 333-337
  14. 한국녹색문화재단. 2006. 숲 체험을 통한 참가자의 정서적 치유효과의 평가 연구
  15. 황란희. 2005. 보호시설 미혼모의 태아애착행위와 상태 불안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3): 218-224
  16. Cockrell, D. 1990. Change in self-efficacy through outdoor skills instruction. In: The use of wilderness for personal growth, therapy, and education.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ort RM-193. Rocky Mountains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Fort collins, CO
  17. Collingwood, T.R. 1972. Survival camping with problem youth. Rehabilitation Record 13: 22-25
  18. Hobbs, T.R. and Radka, J.E., 1975. A short term therapeutic camping program for emotionally disturbed adolescent boys. ADOLESCENCE 10: 447-455
  19. Stoudenmire, J. and Comola, J. 1973. Evaluating Camp Climb-up : a two-week therapeutic camp. Exceptional Children 39: 573-574
  20. Susan W.D., Lela B.C. and Emily J.M.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Longman Publishers. NY: New York
  21. Vogel, R.M. 1979. The effects of Project USE Training (adventure training).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