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Types and Life-form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in South Korea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생활형 조성

  • Received : 2009.07.22
  • Accepted : 2009.08.13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of 58 site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were classified by apply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life-form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types analyzed and documented.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including four groups of Carex humilis var nana type and one group of Abies koreana-Sasa borealis type. Compositae was the most diverse family (26 species), Liliaceae (21 species), Rosaceae (18 species) and Betulaceae (11 species) whereas 27 families were represented by only one species. Taxonomically, Compositae was the most diverse (17 genera), Liliaceae and Rosaceae(12 genera) whereas 41 families were represented by only one genus. The Fagaceae was the most important family in total coverage (19.0) and followed Pinaceae (16.7) and Ericaceae (15.1). Five families such as Compositae, Liliaceae, Rosaceae, Betulaceae, and Umbelliferae contributed little to total coverage, although represented by numerous speci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life forms, the species richn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growth and disseminule forms. In genera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ife forms represented lower values than those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life-forms.

백두대간 마루금일대에 잔존하고 있는 소나무림 58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TWINSPAN 집락 분석을 통하여 식생형 그 식물상 조성 및 생활형 특성 등이 분석되었다. 식생형은 크게 가는잎그늘사초형에 속하는 4개 그룹과 구상나무-조릿대형에 속하는 1개 그룹 등 모두 5개 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종풍부도는 국화과(26종)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백합과(21종), 장미과(18종), 자작나무과(11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27개 과는 1종만 출현하였다. 속풍부도의 경우도 종풍부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41개 과는 1속만 출현하였다. 총피도 기여율은 참나무과(19.0), 소나무과(16.7), 진달래과(15.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화과, 백합과, 장미과, 자작나무과, 산형과 등은 종풍부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총피도 기여율이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종풍부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생활형은 생육형과 산포기관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생활형 분류군 사이의 상관관계는 종풍부도와 생활형 사이의 그것에 비해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민. 1980. 한국의 환경변천과 농경의 기원. 한국생태학회지 3: 40-51
  2. 배병호, 이호준. 1999.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1): 21-29
  3. 산림청. 1997. 백두대간의 실태조사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4. 산림청. 2004. 국가표준식물목록(http://www.koreaplants. go.kr:9101/)
  5. 윤종화, 김주천. 1994. 소나무림의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254-261
  6. 이우철, 이철환. 1989.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2: 257-284
  7. 이창석. 1995.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교란 후 재생과정. 한국생태학회지 18(1): 189-201
  8. 임업연구원. 2003. 백두대간의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설정.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198호. pp. 420
  9. 전영문, 이호준, Ichiroku Hayashi. 2007. 한국 소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 257- 277
  10. 吉剛邦二. 1958. 日本U松林の生態學的硏究. 日本林業技術協會. 198p
  11. 豊原源太. 1973. マツ林の植物社, 佐木好之編 生態講座4, 植物社. 共立出版 pp.48-53
  12.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3. de Bello, F., Lepes, J. and Sebastia, M.T. 2006. Variations in species and functional plant diversity along climatic and grazing gradients. Ecography 29: 801-810 https://doi.org/10.1111/j.2006.0906-7590.04683.x
  14. Hill, M.O. 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15.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pp.525
  16. Saha, S. 2003. Patterns in woody species diversity, richness and partitioning of diversity in forest communities of tropical deciduous forest biome. Ecography 26: 80-86 https://doi.org/10.1034/j.1600-0587.2003.03411.x
  17. Yim, Y.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 77-88
  18. Zar, J.H. 1984. Biostatistical analysis. 2nd edition. Prentice- Hall , New Jersey. pp. 15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