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xtent of National Forest-official's Recognition on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업무담당자의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 Park, Kyung Seok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eong Youn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i, Soo Im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Moon, Guen Young (Graduate School of Fore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eong, Se Myong (Graduate School of Fore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i Wan (Division of Forestry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경석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이성연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최수임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문근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정세명 (전남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안기완 (전남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Received : 2009.08.11
  • Accepted : 2009.08.3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Forest Management Agency System, Cooperative Forest Program and People's Forest Program with Public Participation and to boost the program. To carry out a quantitative survey among selected 5 Regional Forest Service and 27 National Forest Office, we investigated the activity-awareness concepts of officers on Importanc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program. As a results,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n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involved with the results of agreement achieved. Also most serious problem of Forest Management Agency System were the shortage of participation will and the limitation of security benefit. The prime reason for the program problem is lack of investment in People's Forest Program. The final results on survey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 followed. It indicated that I(Keep Up Good Work) have 5 Factors, II(Concentrate Here) have 2 Factors, III(Low Priority) have 6 Factors, and IV(Possible Overkill) have 2 Factors. Base on above investigation, we finally suggest that new organization exclusive responsible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and encouragement of Build Transfer Operate.

본 연구는 다양한 국유림 제도 가운데에서도 2004년도부터 도입된 다자참여가 가능한 산림경영대행제도, 공동산림사업, 국민의숲 제도에 대해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5개 지방산림청과 27개 국유림관리소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제도에 대한 문제점 및 업무 추진에 있어서 중요도와 만족도를 도출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그 결과,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업무의 중요 정도 인식은 협약실적에 따라 그 중요성을 다소 달리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경영대행제도에 대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해당 대상자의 참여 의지 부족(4.13), 공동산림사업 제도에서는 참여자의 수익보장에 대한 한계성(3.69), 국민의숲 제도에서는 참여자의 참여투자 의지 부족(3.90)요인을 지적하였다.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I사면(현 상태 지속적 유지관리)은 5개요인(의사결정자의 업무추진 의지 외), II사면(최우선 투자와 관리)은 2개 요인(참여기회 및 범위확대 외), III사면(현시점에서 고려 대상이 아님)은 6개요인(협약 종료 후 사후관리 규정 마련 외), IV사면(지원 투입자체가 요구됨)은 2개 요인(신규제도 도입에 따른 업무부담 해소 외)으로 분석되었다. 국유림 경영제도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규정의 개선, 민자사업의 유도 등 사업대상자 및 범위 확대, 국유림경영제도를 전담할 수 있는 비정부 전문기관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4. IPF/IFF 실행권고안의 국내이행 평가. pp. 244
  2. 산림청. 2004. 새로운 국유림 영림계획. pp. 190
  3. 안종만 외 7인. 2007. 산림경영학. 향문사. 서울. pp. 49- 51
  4. 이용기, 정남호, 이충기. 2006. IP 분석을 통한 수안보 온천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호텔경영학회 15(1): 291-308
  5. 이중화, 이시경. 2007. IP분석을 활용한 주민 만족도 평가: 대구 달서구청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1(4): 59-79
  6. 임업연구원. 2003. 21세기 국유림의 역할 및 관리강화 방안. pp. 145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국유림의 효율적 경영관리방안. 수탁연구보고 C2000-26. pp. 81
  8. 日本林業調査會. 1999. 國有林野事業の拔本的改革. pp. 439
  9. 林野廳a. 2003. 國有林野事業の管理經營に關する基本計劃. pp. 18
  10. 林野廳b. 2003. 平成17年度國有林野の管理經營に關する 基本計畵の實施狀況(要約) pp. 9
  11. 企業森林整備活動に關する檢討會. 2006. 企業の森林整備· 保全活動の促進について(素案). pp. 15
  12. Hermann Ilaender. 2007. Wald-Wirtschaft-Wachstum. 15/ 2007 AFZ-DerWald. pp. 788-789
  13. Michael Gerst. 2007. New Public Management im Landesbetrieb Hessen-Forst. 15/2007 AFZ-DerWald. pp. 802-803
  14. USDA Forest Service. 2004. USDA Forest Service Strategic Plan for Fiscal Years 2004-08. pp. 40
  15. USDA Forest Service. 2006. Forest Service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Report Fiscal Year 2006. pp.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