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eedling Survival Rate and Growth among 8 Different Tree Species in Seosan Reclamation Area

서산 간척지에서 8개 교목 수종의 묘목 생육 비교

  • Park, Pil Su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 Yo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ang, Woongso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Ahreum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o, Jaechang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Beom (Hyundai City Corporation) ;
  • Kim, Jee-han (Hyundai City Corporation)
  • Received : 2009.08.12
  • Accepted : 2009.09.1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Reclamation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 soil salinity and high ground water table that are not favorable environment for tree growth. However, the increasing demand to convert the reclamation area from rice cultivation fields to industrial or residential complex, or parks accompanies the idea of introduction of trees in the area. This study aimed to suggest better performed tree species for the tree planting in the Seosan reclamation area, Chungchungnam-do. Seedlings of 8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hionanthus retusus, Cornus kousa, Prunus sargentii, Quercus acutissima, and Zelkova serrata) were planted in 4 types of 10 m ${\times}$ 10 m experimental plots. The survival rate and the height growth of seedlings were measured from April 2006 to November 2008 on an annual basis. The experimental plots were constructed using 2 different soil material (dredged sand and dredged sand + forest soil), and 2 soil covering depth (1.5 m and 2.0 m). The tree species showed different survival rates for 3 years since planting (F = 9.632, P < 0.001). C. kousa, Q. acutissima, and P. sargentii showed high mortality rate while P. thunbergii, M. glyptostroboides and Z. serrata showed lower mortality rates. The seedling height growth for 3 year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ecies (F=4.749, P=0.002). Most of seedlings showed lower height growth in the second year, and the growth began to recover in the third year after transplanting. The survival rate and the growth of the seedlings were better in higher soil covering depth and forest soil material plots regardless of species. The combination of rank orders in survival rate and relative height growth indicates that P. thunbergii, M. glyptostroboides and Z. serrata would perform better than other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while C. retusus, C. kousa and P. sargenti may not adapt well to this area.

간척지는 높은 토양 염도와 지하수위로 인해 수목의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과거 농경지로 사용되던 간척지가 최근 들어 산업단지, 주거단지, 또는 공원으로 전환되면서 이 지역에 수목 식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농경지에서 다른 용도로 전환되는 지역 중 하나인 충남 서산 간척지에 도입할 수 있는 내염성 수종을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복토 재료(준설토, 준설토+산토)와 복토 높이(1.5 m, 2.0 m)를 이용하여 시험 포지를 조성한 후 8개 수종-소나무(Pinus densiflora), 곰솔(Pinus thunbergii), 메타세콰이어(Metasequoia glyptostroboides),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산딸나무(Cornus kousa),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느티나무(Zelkova serrata)-의 묘목을 대상으로 2006년 4월에서 2008년 11월까지 매년 고사율과 수목 생장을 조사하였다. 3년간 묘목의 생존율은 수종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632, P<0.001).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산벚나무는 50%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고사율을 보였으며, 해송,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가 각각 3년 평균 고사율 6.4%, 2.3%, 24.7%로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았다. 묘목의 수고 생장 역시 수종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749, P=0.002). 메타세콰이어와 느티나무가 절대생장과 식재 당시 대비 상대 생장 모두를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고 생장을 보였다. 대부분의 수종들이 이식 다음해에는 낮은 생장을 보였으며, 이식 2년 후부터 생장이 회복되었다. 수종에 관계없이 복토 높이가 높을수록, 준설토보다는 산림토양을 복토하였을 때에 수목의 생존율과 생장이 높게 나타났다. 해송,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가 타 수종에 비해 높은 생존율과 생장을 보여 이 지역에 상대적으로 적합한 수종으로 나타났으며, 이팝나무, 산딸나무와 산벚나무는 이 지역에서 적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현대건설,현대도시개발(주)

References

  1. 구본학, 강제선, 장관순. 1999. 임해매립지내에서 식재지반 조성을 위한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3(1): 90-94
  2. 국립산림과학원. 2009. 주요조림수종. http://tree.kfri.go.kr/ kor/forest/forestation/trees_52.aspx?topmenu=3&menu=3 &submenu=1 (2009. 7. 20)
  3. 기상청. 2008. 기후자료/과거자료 검색: 서산(129). http://www.kma.go.kr/gw.jsp?to=/weather_main.jsp(2008. 12. 5)
  4. 김도균, 장병문, 김용식. 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솔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조경학회지 28(4): 9-20
  5. 김성환. 2005. 간척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생분포와의 관계 연구. 지리학연구 39(3): 337-345
  6. 농어촌진흥공사. 1995. 한국의 간척. 농어촌진흥공사, 경기. pp. 316
  7. 농업기술연구소. 1998. 토양화학분석법(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수원. pp. 450
  8.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5.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선정 및 식재방안 연구- 매립지별 식재지반 생육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주택공사, 경기
  9. 박현수, 이상석, 이상철. 2003.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식재 수목의 고사율. 한국조경학회 31(2): 94-101
  10. 변재경. 1996. 임해매립지 실태 및 토양의 특성. 임업정보 11(67): 30-32
  11. 변재경, 김영걸, 성주한, 김춘식, 유정환, 이충화, 최 경,류택규, 김기환, 임채철. 1997. 임해매립지에서 복토 높이가 수목의 고사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임업정보 78: 55-62
  12. 산림청. 200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2009. 4. 10)
  13. 새만금사업단. 2009. 내부개발계획. http://www.isaemangeum. co.kr/biz_is/biz01_9.html (2009. 4. 30)
  14.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1998.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조성 학술연구용역 2차년도 최종보고서. 신공항건설공단, 인천. pp. 339
  15. 송호경, 박관수, 박혜림, 서은경, 소순구, 김무열. 2005.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6): 59-68
  16. 송호경, 박관수, 이 선, 이미정, 지윤의. 2000. 안면도 및 태안군 근홍면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토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69-75
  17. 유의열. 1991. 임해 매립지의 조경식재와 활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pp. 51
  18. 윤석용. 2005. 서산A·B지구 간척지 영농사업 소개. 한국 작물학회 2005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작물학회. pp. 100-118
  19. 이경재, 한봉호, 조 우. 1997.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아파트단지 내 조경수목 선정 및 적정 성토높이-상계동 쓰레기매립지를 중심으로-. 환경생태학회지 11(2): 137-148
  20. 이경준. 1993.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504
  21. 임경빈. 1992. 조림학 본론. 향문사, 서울. pp. 347
  22. 조 우. 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보고서 2000-03. 인천발전연구원, 인천. pp. 151
  23. 최 경, 변재경. 2000. 특수지역의 생태적 산림조성 및 관리기술개발 연구보고서- 임해매립지의 토양관리 및 식재기술 개발- 농림부, 경기. pp. 346
  24. 최일홍, 황경희, 안상욱. 2000. 임해매립지 식재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경기. pp. 87
  25. 최일홍, 황경희, 이경재. 2002.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피해 현황 및 요인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21
  26. 홍성만. 2006. 우리나라 대규모 간척지 간척지 영농사례-서산 A, B 지구. 농어촌연구원 뉴스레터 2006년 9월 14일
  27. Kelsey, P. and Hootman, R. 1990. Soil resource evaluation for a group of sidewalk street tree plants. Journal of Arboriculture 16: 113-117
  28. Koller, G.L. 1977. Transplanting stress-a view from the plant's perspective. Arnoldia 37(5): 230-241
  29. Neumann, P. 1997. salinity resistance and plant growth revisited. Plant, Cell and Environment 20: 1193-198 https://doi.org/10.1046/j.1365-3040.1997.d01-139.x
  30. Plaster, E.J. 2003. Soil science and management, 4th ed. Delmar Learning, New York, U.S.A. pp. 384
  31. Ramoliya, P.J. and Pandey, A.N. 2003. Effect of salinization of soil on emergence growth and survival of seedlings of Cordia rothii.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6: 185-194 https://doi.org/10.1016/S0378-1127(02)00271-2
  32. Shalhevet, J. 1993. Plants under salt and water stress. pp. 133-154. In : Fowden, L., Mansfield, T., and Stoddart, J. eds. Plant adaptation to environmental stress. Chapman and hall Ltd., London
  33. Singh, H. and Bajwa, M.S. 1991. Effect of sodic irrigation and gypsum on the reclamation of sodic soil and growth of rice and wheat plant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20: 163-171 https://doi.org/10.1016/0378-3774(91)90014-A
  34. Thomas, D.S., Heagney, G.A. and Harper, P. 2008. Nursery transplant practices determine seedling root quality of two subtropical eucalypts. New Forests 36(2): 125-134 https://doi.org/10.1007/s11056-008-90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