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f Costs for Chestnut Production in Main Cultivation Regions

밤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 Kim, Jae Sung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재성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이욱 (국립산립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Received : 2009.08.21
  • Accepted : 2009.09.24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cost of cultivation in chestnut tree (Castanea spp.) as a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of 227 farmers is as follows. In full-time farmer, average cultivation area was 5.5 hectares and average chestnut production was 1.6 tons per hectare. In chestnut sale type, more than 73% of total production was sold by Nong-hyup (7an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and intermediaries, and also proportion of nut size grade was 18% in special-large nut, following 49% in large nut, 25% in middle nut and 8% in small nu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cultivated regions in gross income, whereas total average gross income was 2,103 thousand KRW per hectare and 66.4% of it was used in management expenses. Finally the chestnut cultivated farmers have a yearly income of 706 thousands KRW (net income rate 33.6%). As peculiarity of regional production cost, a low tree farm in height and a labor intensive growing helped the improved quality of the chestnut so, on average, 2,161 thousand KRW per hectare of the income of the Chungnam was raised. However caused by an old-age of chestnut trees, there was a little input to management expenses and it resulted in low productivity in the Jeonnam and the Gyeongnam.

본 연구는 밤나무 재배의 생산비를 파악하기 위해 밤나무 재배농가 227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밤나무 재배 전업농가는 평균 5.5 ha의 면적을 재배하고 있었으며, ha당 1.6톤의 밤을 생산하고 있었다. 밤의 판매는 농협과 수집상에 73%이상을 판매하고 있었으며, 품등별 생산비중은 특대립과실 18%, 대립과실 49%, 중립과실 25%, 소립과실 8%로 나타났다. 밤 재배농가의 연간 조수입은 지역마다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전체 평균으로 볼 때, ha당 2,103천원의 조수입을 얻어 경영비로 66.4%를 지출하고 706천원의 농가소득을 올려 33.6%의 소득률을 나타내었다. 지역별 생산비 특성을 보면, 충남지역은 저수고 재배와 노동집약형 재배를 통해 품등이 높은 밤을 생산하여 ha당 평균 2,161천원의 높은 소득을 올렸으나 전남과 경남지역에서는 밤나무 노령화의 영향으로 경영비 투입비중이 낮아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의경, 윤여창. 1995. 밤의 수요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 산림경제연구. 3(1): 15-27
  2. 김의경 외 6인. 1999. 주요 임산물의 산지유통체계 및 표준화 등에 관한 연구. 산림청
  3. 김재성, 김의경. 1999. 주요 산과실류의 경제성 분석. 산림과학논문집. 60: 54-65
  4. 김재성, 정병헌, 주린원, 최수임. 2004. 밤 유통구조 및 경제성 분석. 산림경제연구. 12(1): 12-21
  5. 김재성 외 13인. 2007. 2006년 밤·표고 소득분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18호
  6. 산림청. 2001. 임업경영실태조사보고서. 15-29pp
  7. 산림청. 2008. 임업통계연보 제39호
  8. 산림청. 2009. 2008년 임산물 생산비 통계. pp. 17-24
  9. 산림청. 2009. 2008년도 임산물 수출입 통계. PP. 136
  10. 이상민, 장철수. 2006. 밤의 수급 전망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R528
  11. 장우환, 장철수, 석현덕, 소철호, 민경택. 2003. 밤나무 재배실태와 정책방향 연구. 산림청
  12. 정병헌, 이성연, 주린원, 김의경. 2004.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수급 및 유통구조.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4- 09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임업관측(밤)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