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한부모가족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 Published : 2009.02.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group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making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higher by expressing their thought, and feelings better and having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group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ity of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by showing better performance in relationship with peer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group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students' affirmative feelings according to each stage. That is, the students' feelings became more affirmative after this art therapy activities. Fourth, this study proved that K-HTP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Fifth, this study proved that KFD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In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had th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정(1999).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자기표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정자(2003). 한부모가정의 문제와 복지대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논문집, 29, 277-302
  3. 공선영(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동연.이성희(1997). 결손가정 아동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연구, 4(1), 1-24
  5. 김동연.공마리아(1995). 인물화 및 집.나무.사람에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법. 한국미술치료학회 편
  6. 김성숙(2003). 미술교육의 통합과 전망. 한국미술교육학회편. 서울: 학지사
  7. 김승권.양옥경.조애저.김유경.박세경.김미희(2004).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9. 김아영.차정은. (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51-64
  10. 김유경.박정환.전순영(2006).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 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1), 73-93
  11. 김은영(2003).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현(2004).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국(1995).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국민학교 독립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대인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노호은.박경자(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자녀양육 태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기종(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적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수현.전순영(2004).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족의 모-자 자아존중감 및 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1(3), 427-453
  17. 박영아(2005).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2(3), 635-653
  18. 변화순.송다영.김영란(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9.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사회복지정책, 27, 171-199
  20. 송다영.성정현(2003). 가족구조와 형태에 대한 사회의 차별적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가족과 문화, 15(2), 81-113
  21. 송인숙(1999).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아동의 위축행동과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여성가족부(2007a). 모.부자복지사업안내
  23. 여성가족부(2007b). 한부모가족생활지원사업안내
  24. 이미숙(1994). 자기효능감이 수학 불안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미애(2001).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위환(1994). 아동의 가정특성에 따른 사회성발달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장혜경.송다영.김영란.김정훈(2001).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서울: 여성부
  28. 전미향(1997).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금란(2004).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증진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집단미술치료학회(1997). 정신건강과 예술치료 연수자료집 1
  31. 차정은(1996).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외선.이영석.전미향(1996). 아동의 부적응행동개선에 미치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3(1), 83-99
  33.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www.nso.go.kr)
  34.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35. 한국아동복지학회(2003). 건강가정기본계획
  36. 한기숙(1994).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수행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윤경(2006).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3(1), 49-71
  38. 현정환(1998).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관한 연구 동향과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2(1), 81-97
  3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0. Bandura, A, Hardy, A. B, & Howells, G N. (1980). Tests of the generality of self-efficacy theor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 39-66 https://doi.org/10.1007/BF01173354
  41. Bandura, A, & Schunk, D. H.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68-598
  42. Bums, R. C.(1987). Kinetic-House-Tree-Person Drawings. N.Y.: Brunner/Mazel
  43. Erickson, E.(1963). Childhood and society. N.Y.: Norton
  44. Greenberg, E(1989). Healing the borderline. The Gestalt Journal, 12(2), 11-55
  45. Jeffer, L.(1997). Understanding parenting. Boston, MA : Allyn & Bacon
  46. Kauffman, J. M.(1970).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5th ed.). N.Y.: Macmillan
  47. Vealey, R. S. (1986).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2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