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의 복합 악취 및 악취 물질 평가

Evaluation of Complex Odor and Odorous Compounds in a Pilot-Scale Ultra Thermophilic Aerobic Composting Process

  • 박세용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대혁 ((주) 클립스) ;
  • 유의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김문일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전공)
  • 투고 : 2009.02.25
  • 심사 : 2009.05.14
  • 발행 : 2009.08.01

초록

본 연구는 정읍시에서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 축산 분뇨, 음식물 쓰레기를 대상으로 Pilot Scale($100m^3$) 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에서의 복합 악취 및 12개 지정 악취물질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대상 물질은 종균과 혼합하였고 1차 50일, 2차 60일 기간동안 운전하였다.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1차, 2차 퇴비화공정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약 $90{\sim}95^{\circ}C$가 되었다. 악취 분석을 위한 시료는 1차의 경우 퇴비상부에서, 2차의 경우 Pilot Plant 경계지점에서 채취하였다. 지정 악취 물질 12개 항목의 기기 분석에서 악취의 주요 원인으로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디메틸다이설파이드, 트리메틸아민이었다. 초기 복합악취의 농도는 퇴비화 공정이 끝난 후의 농도보다 높았지만 규제기준을 넘지 않았다. 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에서는 적절한 교반시점과 발효 온도가 악취 발생의 중요한 인자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duction of complex odor and 12 specific odorous compounds in a pilot-scale (capacity : $100m^3$) ultra thermophilic aerobic composting. There were three types input: municipal wasted sludge, livestock manure and slurry, and food waste produced in Jung-Eb city. Each raw material was mixed with seed material and operated for two periods (1st : 50 days, 2nd : 60days). During composting, the temperature hit $90{\sim}95^{\circ}C$ after every mixing in both period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ncreasing temperature also saves the time which required for composting and high reduction of organics and water contents. The primary odorous compounds were ammonia, methyl mercaltan, dimethyl disulfide and trimethylamine. The concentration of the primary compounds and complex odor during the oper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n final day and most compounds did not exceed the allowable exhaust standard for odor. Also, it was found that optimal mixing time and control of high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for odor control in ultra thermophilic aerobic composting.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주) 클립스

참고문헌

  1. 김기주, 공성호, 강혜련 (2002), 호기성 퇴비화 공정을 중심으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숙성퇴비의 적정성 연구, Bulletin Environmental Sciences, Vol. 23, pp. 39-46.
  2. 김기현, 김용휘, 임문순, 박신영, 홍윤정, 최병선 (2006), 음식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발생 특성 및 미생물을 이용한 부패악취저감 연구,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제9권 제2호, pp. 74-83
  3. 국립환경과학원 (2005),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5-4호 악취공정시험법, pp. 55-59.
  4. 대기환경 보전법 (2006), 생활악취 관련 법규.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5. 배재근 (2001), 유기성폐기물의 자원화 기술의 현황과 전망, 대한위생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pp. 3-20.
  6. 안상선 (2005), 음식물류 폐기물의 사료화 및 퇴비화 등 자원화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52-63.
  7. 악취방지법 (2005), 지정악취물질 관련 법규.
  8. 악취방지법 (2008), 지정악취물질 관련 법규.
  9. 이현희, 배재근 (2003), 생활폐기물의 호기성처리를 통한 유기물 분해안정화에 관한연구, 유기성자원학회, 제11권 제4호, pp. 79-89.
  10. 정준오, 안정희 (2001), 공기공급량이 음식물폐기물의 퇴비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3권 제6호, pp. 1013-1021.
  11. 환경부 자원순환국 생활폐기물과 (2006), 유기성오니 처리 종합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 센터, pp. 9.
  12. 황의영, 황선숙, 남궁환 (1995), 공정조절인자가 분뇨슬러지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J.Korean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Vol. 12, No. 5, pp. 58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