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 and Management of the Laboratory Notebooks in the Research Record

연구기록물 중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관리 제도화

  • Kim, Sang-Jnu (Library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 김상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도서관)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laboratory notebook's record characteristics through getting a line on the importance of the notebooks which have record,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proof functions. To improve the research ethics and cultures, this study was examined and investigated by literature references and survey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notebooks in part of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of the R&D institutes, paper notebooks for laboratory records management, and the introduction of ELN for digital record. For the notebook's institutionalization, more review is needed to the possibility of involvement in the conflict, evidential requisite and signature by inspector, the limitation of autonomous policy for the notebook's operation, the difficulty of preservation for 30 years, the introduction of ELN and utilization for the notebooks. To improve manage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notebooks, it is needed to the notebook's record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evidential values, support and budget for the notebook's management department, researcher's recognition conversion for the notebook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technology transference, the record method train for the notebooks from the university classes, and the introduction of ELN related to the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r project management system.

본 연구는 기록 정보 커뮤니케이션 증거적 기능을 보유한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연구기록 물적 성격을 규명하여 연구윤리와 연구문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올바른 연구노트 관리 제도화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설문분석으로 국내외 연구기관의 연구노트 제도, 서면 연구노트와 기록물관리, 전자 연구노트의 도입과 디지털 기록물로 나누어 국내 연구노트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연구노트가 법적 분쟁에 말려들 가능성, 증거적 요건 구비와 점검자의 서명, 자율적인 연구노트제도 운영의 한계, 30년간 보존의 어려움, 전자 연구노트 도입과 활용도 제고 등에 대해서는 연구노트 제도화를 위해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연구기관의 지식관리와 증거적 가치를 위한 연구노트 제도화, 관리부서의 예산확보는 물론 홍보 및 교육과 함께 공동 협력 대응, 특허나 기술이전과 관련시켜 연구노트에 대한 연구원들의 인식 전환, 지속적인 연구노트 작성 교육을 대학교에서부터 실시, 전자 연구노트를 연구실업무전산화시스템이나 연구과제관리시스템과 연계해 도입해야만 바람직한 연구노트 관리와 제도화가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명숙. 2007. 지식의 가치창출을 위한 연구노트 작성법. 2007년 제13차 R&D 인력교육: 혁신적 연구노트 기법, 2007년 8월 28-31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BT분야 혁신기반 실태분석 및 선진화 방안.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6. 지식재산활용 극대화 방안연구.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 김미순. 2007. R&D성과의 효율적 창출.보호.활용을 위한 연구실 단위의 지식재산권 관리 전략. 지식재산21, 통권 제98호: 177-199.
  5. 김상준. 2007. 연구성과와 연구기록물 관리 사례: 생명(연)의 논문 관리와 연구노트 제도화를 중심으로. 제44회 전국도서관대회, 2007년 10월 10-12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6. 김선현. 2005. 기타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 실제. 2005년도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학술 세미나, 2005년 7월 7-8일. [원주: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7. 김승군, 고명숙. 2007. 지식재산의 관리 측면에서 본 연구성과 지향형 연구개발을 위한 제언. Journal of Toxicology and Public Health, 23(2): 115-121. https://doi.org/10.5487/TR.2007.23.2.115
  8. 김해도. 200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적재산권 관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특허협동과정.
  9. 노시경. 2007. 과학기술 대학의 프로젝트 연구 개발기록관리분석 - KAIST를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수료 논문.
  10. 박재학. 2006. 정부출연연구소의 기록물관리 실태와 운용 방안 - H 연구소 기록물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보존학과.
  11. 서광식. 2006. 지식경영 기반 조성을 위한 기록물관리시스템 구축 - A 연구원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보존학과
  12. 여상아. 2007.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관리 개선 방안 - K 연구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기록관리학 협동과정.
  13. 정세영. 2007. 연구개발기록물 관리체계분석 및발전방안연구 - K연구소를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보존학과.
  14. 조은희. 2003. 볼티모어 사건을 통해 본 실험기록의 중요성. 분자세포생물학뉴스, 18(1): 64-66.
  15. 조은희, 김건수, 이상욱, 이준호, 정인실. 2007. 실험실 생활 길잡이.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16. 특허청. 2005. (연구자 및 연구기관을 위한)국가 R&D 특허전략 매뉴얼. 대전: 특허청.
  17. 특허청. 2006.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를 위한 특허정책 동향 및 연구개발 지식관리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대전: 특허청.
  18. 특허청. 2007. 한미 과학기술자 특허관리 실태 비교.분석. 대전: 특허청.
  19. 한국. 과학기술부. 2005. 과학기술 정책자료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록관리 강화방안. [과천]: 과학기술부.
  20. 한국. 과학기술부. 2007a. 실천 연구 윤리. [과천]: 과학기술부.
  21. 한국. 과학기술부. 2007b. 연구노트 제도개선을 위한 표준가이드라인 개발. [과천]: 과학기술부.
  22. 한국. 과학기술부. 2007c. 연구노트 제도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과천]: 과학기술부.
  2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7. 연구노트 관련 설문조사결과 분석. [내부자료 2007. 8. 3].
  24. 한국원자력연구원[편]. 2007. 연구노트 편람.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
  25. Butler, D. 2005. “Electronic notebooks: A new leaf.” Nature, 436(7047): 20-21. https://doi.org/10.1038/436020a
  26. Drake, D. J. 2007. “ELN implementation challenges.” Drug Discovery Today, 12(15/16): 647-649. https://doi.org/10.1016/j.drudis.2007.06.010
  27. Du, P. and J. A. Kofman. 2007.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s in pharmaceutical R&D: on the road to matur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Laboratory Automation, 12(3): 157-165. https://doi.org/10.1016/j.jala.2007.01.001
  28. Elliott, M. H. 2007. “The state of the ELN market.” Scientific Computing World. [cited 2008.4.30]. .
  29. Nature. 2007. “Share your lab notes.” Nature, 447(7140): 1-2.
  30. Rabin, R. 2005.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 systems : Cross disciplinary ELNs help maximize R&D efficiency.” Genetic Engineering & Biotechnology News, 25(19). [cited 2008.4.30]. .
  31. Robson, D. 2007. “ELNs in action.” Scientific Computing World. [cited 2008.4.30]. .
  32. Scientific Computing World. 2007. “Worthy of note - all the latest launches in the world of electronic lab notebooks.” Scientific Computing World. [cited 2008.4.30]..
  33. Trigg, J. 2007. Getting started with an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 Cambridge: Scientific Computing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