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iguing Review of Embroidery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warrot and Screen -

활옷과 병풍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자수의 재조명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In this paper, embroidery works with a certain date are divided by a category, and they are reviewed in terms of original fabrics, embroidery patterns, the form of an artwork, embroidery techniques, and etc with the aim of the understanding of the Joseon period embroidery. In the second part, I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embroide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written records and extant embroidery works. The third part, Joseon embroidery revealed by the analysis of the remaining embroidery works, divides Joseon embroidery by two kinds, bridal robe and rank badge as well as an embroidery scree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se extant works, I try to rediscover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Joseon embroidery, and also hope to help people to gain an expert opinion on Joseon embroidery.

Keywords

References

  1. 李鶴 (1990). 한수연구(韓繡硏究). 韓國刺繡文化協議會.
  2. 정영양 (2005). Silken Threads. New York: Harry N. Abrams, p. 68
  3. 沈從文 編著 (1997). 中國古代服飾硏究. 上海書店出版社, pp. 3-4
  4. 李鶴 (1986). 韓繡文化. 韓國刺繡文化協議會, p. 316
  5. 繡林苑 (1974). 李朝의 刺繡. 昌震社, p. 245
  6. 진수(陳壽). 삼국지(三國志). 위지 권30
  7. Chinese and Central Asian Textiles (1998). Orientations Magazine. Ltd, p. 161
  8. Shelagh Vainker (2004). Chinse Silk. London: British Museum Press; New Brunswick, N.J.: in association with Rutgers University Press
  9. 古典刊行會 (1957). 增補文獻備考 中. 서울: 동국문화사, p. 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p. 16
  11. 北村哲郞 (1999). 日本服飾史. 李子淵 譯. 경춘사, p. 33
  12. 齊臟聲 (1970). 일본자수교과서. 일본: 보그사
  13. 繡林苑 (1974). 李朝의 刺繡. 昌震社, p. 17
  14. 김부식. 삼국사기(三國史記) 33권. 잡지 색복조
  15. 심연옥 (2006). 한국 직물 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42
  16. 심연옥 (2006). 한국 직물 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46-147
  17. 심연옥 (2006). 한국 직물 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00-101
  18. Zhao Feng (2002). Recent Excavations of Textiles in China. 藝紗堂, p. 18
  19. 繡林苑 (1974). 李朝의 刺繡. 昌震社, p. 76
  20. 고복남 (1986). 한국 전통복식사 연구. 일조각
  21. 서긍. 高麗圖經. 귀부조
  2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11
  23. 柳喜卿 (1980). 韓國服飾史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484
  24. 정영양 (2005). Silken Threads. New York: Harry N. Abrams, p. 360
  25. 태종실록(太宗實錄). 권23, 12년조, 6월 14일(정묘) 4번째 기사
  26. 유희경 (1982). 韓國服飾文化史. 敎文社, p. 311
  27. 李鶴 (1986). 韓繡文化. 韓國刺繡文化協議會, p. 245
  28. 劉頌玉 (1991). 朝鮮王朝 宮中儀괘服飾. 修學社, p. 359
  29.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02). 한국자수의 어제와 오늘.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p. 37
  30. 劉頌玉. 朝鮮王朝 宮中儀괘服飾. 修學社, p. 359
  31. 고복남. 한국 전통복식사 연구. 일조각, p. 255
  32. 정영양. Silken Threads. New York: Harry N. Abrams, p. 365
  33.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p. 260
  34. 클리브랜드 미술관 홈페이지 참조
  35. 고부자 (2001). 우리 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355
  36. 정영양. Silken Threads. New York: Harry N. Abrams, pp. 362-363; p. 366
  37. 서울역사박물관 (2006). 환생. 서울역사박물관, p. 53
  38. 손경자 (1977). 활옷의 형태와 문양에 관한 연구. 복식, p. 54
  39. 정영양 (2004). 동양자수의 근원과 역사. 정혜란 편저. 숙명여자대학교출판국, p. 126
  40. 정영양 (2004). 동양자수의 근원과 역사. 정혜란 편저. 숙명여자대학교출판국, p. 360
  41. 李鶴 (1986). 韓繡文化. 韓國刺繡文化協議會, p. 220
  42. 동아대 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donga.ac.kr/)
  43. 허동화 (1978). 한국의자수. 삼성출판사, p.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