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iodization of Men's Coat(Peonbokpo)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Excavated Costumes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basic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pants and jackets were not particularly distinctive over the period in comparison to po. The coat that was worn over pants and jacket, however, had different forms in the course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changing style of pyeonbokpo, the daily costumes of Joseon man, which were excavated in recent years. Changes in the collar style were the most distinctive of joseon pyeonbokpo such as cheolik, dapho, aekjueum, jikryeong, daechangyeui, jungchimak, and juyeui. Although pyeonbokpo had double colla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y disappear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a straight line also replaced by a curve for the collar perimeter. Front-adjusting of pyeonbokpo was very dee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ront-adjusting became si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sulting in the central positioning of a ribbon. The rectangular form of a gusset(mu) was stitched to the bodice through various pleats. Gusset patterns changed greatly into various forms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long with the ladder gusset form. The long vest(dapho) was half-sleeved and had a deep front adjust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it did not have collars and sleeve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The waist line of cheolik had the ratio of 1.2 to 1 for the bodice to skirt. But the length of skirts grew gradually into the ratios of 1 to 1, 1 to 2, and 1 to 3.8 while the waist line moved upwards to the chest line. Sleeves of all po had a straight form but they gradually developed the tendency to widen towards the wrists. Later, sleeves changed again, having a wide rectangular form starting from the armpits. Cheolik was widely wor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worn less in later years. Instead, clothes that had slits such as dopo, daechangeui, and jungchimak were greatly available.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men's costumes enable us to measure the time period of excavated findings despite the lack of records for Joseon graves.

Keywords

References

  1. 宣祖實錄, 25年 4月 庚寅
  2. 李銀珠 (1989). 철릭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3(4), pp. 326-327
  3. 宣祖實錄, 30年 9月 癸巳
  4. 仁祖實錄, 26年 10月 甲辰
  5. 孝宗實錄, 8年 1月 癸丑
  6. 금종숙 (2003). 조선시대 철릭 연구. 韓國服飾, 21, p. 24
  7. 英祖實錄, 2年 10月 丙寅
  8. 英祖實錄, 19年 3月 戊辰
  9.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 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국립민속박물관
  10.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민족역사문화도감 : 의생활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국립민속박물관
  11. 李銀珠 (1999). 16세기 전기 철릭의 구성법 일례 -김흠조(1641-1528) 분묘 출토의 철릭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2)
  12. 박성실, 김향미 (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
  13.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星州李氏 大司憲 彦忠(1524-1582)墓 복식 고찰. 韓國服飾, 20
  14. 김동욱 (1979). 임란전후기의 복식 구조: 최근 출토유의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2
  15.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晋州康氏(대호, 1541- 1624)유물 연구. 韓國服飾, 23
  16.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충주박물관
  17. 李銀珠,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 흉배와 함께하는)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18. 담인복식미술관 (2006). (최원립 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 홍나영 (1996).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pp. 527-537
  20.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21. 유송옥 (1984). 조선시대 출토복식을 통해 본 남자포연구. 대동문화연구
  22.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3. 경기도박물관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 안동김씨 문온공파. 경기도박물관
  24. 李銀珠 (1998).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 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2-111
  25. 박성실 (1998). 坡州 金陵里 慶州鄭氏 유물 小考. 韓國服飾, 16
  26. 박성실, 고부자 (1991). 高陽 陵谷 茂院 出土 羅州丁氏 月軒公派 出土遺物 小考. 韓國服飾, 9
  27. 고부자 (1999). 日迎 出土 高靈申氏 遺物 小考. 韓國服飾, 17
  28. 박성실 (1989). 城南出土 東來鄭氏 出土遺物에 관한 小考. 韓國服飾, 7
  29. 서울역사박물관 (2003). (豊壤趙氏寄贈)趙儆墓出土遺依. 서울역사박물관
  30.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31.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고찰. 韓國服飾, 22
  32. 이순원, 유효선, 조우현 (2000). 이석명(李碩明)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33. 경기도박물관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사당동 흥곡공파 일가. 경기도박물관
  34.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38
  35. 李銀珠 (1998).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 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3
  36. 李銀珠 (1998).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 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03-205
  37. 李銀珠 (1998).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 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9-161
  38.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고찰. 韓國服飾, pp. 100-101
  39. 純祖實錄, 34年 4月 甲子
  40. 장인우 (1995). 조선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2
  41. 홍나영 (1996).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p. 535
  42. 윤미화 (1982). 앞의 논문
  4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5).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圖錄 제23권 '服飾',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44. 윤미화 (1982). 창의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95
  45. 국립민속박물관 (2004). 남오성 묘 출토복식. 국립민속박물관
  46. 李銀珠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남자묘에서 출토된 복식류.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