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king at the Traditional Accessories of the Joseon Dynasty with Wide Opened Eyes - focusing on Norigae and Hair Ornaments for Ladies -

조선시대의 전통장신구를 보는 열린 눈 - 노리개와 여성 수식품을 중심으로 -

  • 장숙환 (이화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look at the history of traditional accessorie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hapes but to discern imitations £Tom authentic items by exploring imitations of traditional accessories-- many of which were made in the late 20th century -- from private museums and university museums in order to help scholars assess relics. Among many kinds of accessories in the Joseon dynasty, only norigae, one of the representative accessories, and women hair ornament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since many of the relics have been recovered to date. Given this, this study will consider firstly the general history of norigae and women's hair ornaments, and secondly, prove several examples as relics from the late 20th century while they are marked as relics from the Joseon dynasty by comparing authentic items. Thirdly, among the imitations of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find those so-called "original" imitations whose production origins are unidentified Fourthl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mita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influx of items and materials from China. It is important to discern low-quality relics as well as to correct the production time. Some producers exercised their creativity and made relics non-native to Korea. These relics shouldn't be presented at international exhibitions. Restored relics should be noted so and their quality should be equal to the authentic items. It is suggested that relics without the identity and quality of native Korean relics not baffle cultural interchanges and enhance national glory.

Keywords

References

  1. 이경자, 홍나영 (2002). 2003 이화사진일기(한국의 옛 노리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1
  2. 김용숙 (1987). 朝鮮朝 宮中風俗硏究. 일지사, p. 318
  3. 김용숙 (1987). 朝鮮朝 宮中風俗硏究. 일지사, p. 320
  4. 李瀷 (1976). (國譯) 星湖僿說 第二卷. 민족문화추진회, pp. 255-256
  5. 新編 經國大典 (1998). 권3. 禮典. 신서원, p. 254
  6.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개정판). 敎文社. p. 310
  7. 漢山居士, 朴晟義 (校註譯者) (1974). 漢陽歌. 韓國古典文學大系 第7卷. 民衆書館, p. 133
  8. 李德懋 (1980). 국역 청장관전서 VI. 제30권 士小節 第六. 민족문화추진회, p. 127
  9. 이경자, 홍나영 (2002). 한국의 옛 노리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5
  10.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2004). 한국 전통 매듭, p. 195
  11.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디 아모레 뮤지움 소장품 도록, p. 14
  12. (주)코리아나 화장품 (2006). 자연을 닮은 아름다움. 한국의 화장 문화, p. 59
  13.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16
  14.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15
  15.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01
  16.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20
  17.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48
  18.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40
  19. (주)코리아나 화장품 (2006). 자연을 닮은 아름다움. 한국의 화장 문화, p. 58
  20.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조선여인의 노리개. p. 198
  21.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63
  22. 국립박물관 (1988). 한국의 미, p. 56
  23.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28
  24.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29
  25. 전완길 (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p. 96
  26. 보나장신구박물관 (2006). 조선여인의 노리개. p. 101
  27. 금기숙 (1994). 한국복식미술. 열화당, p. 140
  28.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33
  29.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08
  30. 전완길 (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p. 77
  31. 금기숙 (1994). 한국복식미술. 열화당, p. 143
  32. 디 아모레 뮤지움 (2005).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21
  33.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6
  34.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7
  35. (주)코리아나 화장품 (2006). 자연을 닮은 아름다움. 한국의 화장 문화, p. 51
  36.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86
  37. 온양민속박물관 (2007). 여인의 향기, p. 106
  38.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90
  39.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2
  40.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94
  41.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0
  42. (주)코리아나 화장품 (2006). 자연을 닮은 아름다움. 한국의 화장 문화, p. 49
  43.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17
  44.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34
  45.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08
  46.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96
  47.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91
  48.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25
  49.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40
  50.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43
  51.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4
  52. 궁중유물전시관 (2002). 황실복식의 품위, p. 113
  53.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8
  54.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5
  55.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17
  56.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46
  57.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23
  58. 디 아모레 뮤지움 (2005). 멋-한국여성의 멋과 미, p.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