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aisal of the Period and the Place of Production for Earrings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한국 고대 귀걸이 감정을 위한 착안점 - 제작지와 연대를 중심으로 -

  • Lee, Han-Sang (Dept. of Korea History & Culture, Daejeon University)
  • 이한상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People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liked golden earrings. The Royal Family or the nobility wanted to make more splendorous golden earrings in order to display their high-ranking positions. However, appearances or production methods of golden earrings differ a little by countries, for example, Goguryeo, Silla, Baekje, Gaya, etc. Therefore, by closely examining articles discovered from tombs, we can know which country they were from. In particular, earrings of Goguryeo and Silla are similar to each other while those of Baekje and Gaya are similar. This would be closely related with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hape of golden earrings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D. is relatively simple. However,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golden earrings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changed in the direction of long length or significantly splendorous surface decoration. Accordingly, we can estimate the period of production by analyzing golden earrings discovered from a tomb. In addition, the above trend was common all the earrings i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which implies that each nation closely exchanged reciprocally at that time.

Keywords

References

  1. 東潮 (1988). 高句麗文物に關する編年學的一考察.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10
  2. 리일남 (1991). 고구려 귀걸이의 형태와 기법. 조선고고연구, 91-3
  3. 三木ますみ (1996). 朝鮮半島出土の垂飾付耳飾. 筑波大學先史學.考古學硏究, 7
  4. 리광희 (2005). 고구려유물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5. 이한상 (2005). 고구려장신구문화의 흐름과 특색. 고구려의 사상과 문화. 고구려연구재단
  6. 吉林省博物館輯安考古隊. 吉林輯安麻線溝1號壁畵墓. 考古1964-10, pp. 520-528
  7. 박영복, 김성명 (1990).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창산 김정기박사 화갑기념논총, p. 585
  8. 김재원, 윤무병 (1962). 의성 탑리고분. 국립중앙박물관, p. 38
  9. 국립경주박물관 (2001). 특별전 신라황금, p. 118
  10. 문화재연구소 (1985). 황남대총북분 발굴조사보고서, pp. 80-90
  11. 중원문화재연구원.국립청주박물관 (2007). 중원의 새로운 문화재. p. 61
  12. 박영복, 김성명 (1990).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창산 김정기박사 화갑기념논총, p. 586
  13.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90). 조선유적유물도감, 4, p.277
  14.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3). 대성산의 고구려유적
  1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외 (2002). 洞溝古墓群1997年調査測繪報告. 科學出版社, 도판 22-4
  16. 김영관 (2006). 고구려의 청주지역 진출 시기. 선사와 고대, 25. 한국고대사학회, pp. 669-670
  17. 주경미 (1997). 삼국시대 이식의 연구-경주지역 출토 수하부이식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11, 한국미술사학회
  18. 이한상 (1998). 5-6세기 신라 태환이식의 분류와 편년. 고대연구, 6. 고대연구회
  19. 권향아 (2002). 삼국시대 신라이식의 제작기법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한상 (2002). 6세기대 신라 태환이식의 제작기법과 편년. 경주문화연구, 5. 경주대학교 문화재연구소
  21. 伊藤秋男 (1974). 武寧王陵發見の金製耳飾について. 백제연구, 5.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2. 권향아 (2002). 삼국시대 신라이식의 제작기법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주진옥 (2004). 황남대총 남분 출토 태환이식의 제작기법과 그 특징.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2). 백제조각공예도록, p. 145
  25. 李學來 (2002). 積石封土葬王魂. 二十世紀中國百項考古大發現. 中國社會科學出版社, p. 321
  26. 이한상 (2008). 5-6세기 일본열도와 한반도의 교류양상. 고고학탐구, 3. 고고학탐구회, p. 69
  27. 문화재관리국 (1974). 천마총 발굴조사보고서, pp. 96- 97
  28. 穴澤咊光 (2007). 慶州路西洞'ディヴィッド塚'の發掘-梅原考古資料による硏究-. 伊藤秋男先生古稀記念考古學論文集, p. 39
  29. 국립경주박물관 (2001). 특별전 신라황금, p. 102
  30. 이한상 (2001). 무령왕릉 장신구의 국제적 성격.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외, p. 160
  31. 문화재연구소 (1993). 황남대총 남분 발굴조사보고서(도판.도면), 도면36.38.39
  32. 문화재연구소 (1994). 황남대총 남분 발굴조사보고서(본문), pp. 83-87
  33. 국립경주박물관 (2001). 특별전 신라황금, p. 100
  34. 有光敎一, 藤井和夫 (2000). 朝鮮古蹟硏究會遺稿|-慶州皇吾里第16號墳 慶州路西里215番地古墳發掘調査報告書 1932-1933. 유네스코東아시아문화연구센터 財團法人 東洋文庫, p. 13
  35. 辛勇旻 (2000). 昌寧桂城古墳群(上). 湖巖美術館, p. 71
  36. 沈奉謹 (1991). 梁山 金鳥塚.夫婦塚. 東亞大學校博物館, p. 38
  37. 朝鮮總督府 (1922).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大正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冊 本文, 제31도-6
  38. 국립경주박물관 (2001). 특별전 신라황금, p. 107
  39. 穴澤咊光․馬目順一 (2007). 慶州瑞鳳塚の調査-梅原考古資料と小泉顯夫の回想にもとづく發掘狀況の再現と考察. 石心鄭永和敎授停年退任記念 天馬考古學論叢, p. 649
  40. 국립경주박물관 (2001). 특별전 신라황금, p. 80의 사진58
  41. 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42. 최병현 (1988).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p. 377
  43. 최종규 (1992). 제라야의 문물교류. 백제연구, 23.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p. 68
  44.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p. 102
  45. 이한상 (2007). 5-6세기 금속장신구의 연대론. 고고학탐구, 1. 고고학탐구회, p. 54
  46. 이한상 (2000). 백제이식에 대한 기초적 연구. 호서고고학, 3. 호서고고학회, pp. 23-45
  47. 이한상 (2007). 5-6세기 금속장신구의 연대론. 고고학탐구, 1. 고고학탐구회, pp. 32-35
  48. 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4-5世紀 百濟遺物 特別展 漢城에서 熊津으로, p. 89
  49. 이남석 (2000). 천안 용원리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 p.230
  50. 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4-5世紀 百濟遺物 特別展 漢城에서 熊津으로, p. 91
  51. 이남석 (2000). 천안 용원리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 p. 454
  52. 이남석 (2000). 천안 용원리고분군. 공주대학교 박물관, p. 105
  53. 박영복.김성명 (1990).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창산 김정기박사 화갑기념논총, p. 586
  54. 경상대학교박물관 (1997). 합천옥전고분군VI, pp. 155- 157
  55. 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pp. 28-29
  56. 경북대학교박물관 (2000). 경북대학교박물관 유적발굴40년, p. 20
  57. 장정남 (1995). 경주 황남동 106-3번지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p. 28
  58. 이희준, 이재환 외 (2003). 대구 화원 성산리1호분. 경북대학교 박물관, pp.51-53
  59. 本村豪章 (1991). 古墳時代の基礎硏究稿-資料篇(II)-. 東京國立博物館紀要 26, p. 244
  60. 菊水町史編纂委員會 (2007). 菊水町史 江田船山古墳編, pp. 150-151
  61. 梅原考古資料 제10267호
  62. 이한상 (1997). 공주 송산리분묘군 출토 금속제 장신구. 고고학지, 8. 한국고고미술연구소, pp. 5-7
  63. 森下章司, 高橋克壽, 吉井秀夫 (1995). 鴨稻荷山古墳出土遺物の調査. 琵琶湖周邊の6世紀を探る. 京都大學文學部考古學硏究室
  6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998). 부여능산리공설운동장 신축예정부지 백제고분1․2차긴급발굴조사보고서, pp. 166-168
  65. 국립중앙박물관 (1999). 특별전 백제(도록), p. 157
  66. 강인구 (1973). 백제옹관묘의 일형식. 백제문화, 6.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pp. 107-108
  67. 鎌木義昌 (1967). 口繪解說 岡山市八幡大塚古墳. 考古學硏究, 13-4. 考古學硏究會, p. 38
  68. 鎌木義昌․龜田修一 (1986). 八幡大塚2號墳. 岡山縣史18. 岡山縣
  69.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4-5世紀 百濟遺物 特別展 漢城에서 熊津으로, p. 88
  70. 송의정, 윤형원 (2000). 법천리I. 국립중앙박물관, p. 42
  71. 국립경주박물관 (1995). 국립경주박물관(도록), p. 119
  72. 조영제 외 (1993). 합천옥전고분군IV. 경상대학교박물관, pp. 40-41
  73. 조유전, 윤근일 (1989). 익산 입점리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연구소, p. 48
  74. 이한상 (2006). 이식으로 본 대가야와 왜의 교류. 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부산고고학연구회, pp. 670-671
  75.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4-5世紀 百濟遺物 特別展 漢城에서 熊津으로,p. 75
  76. 林留根. 江蘇鎭江東晋紀年墓淸理簡報. 東南文化1989-8, 南京博物院
  77. 이정인 (2000). 중국동진청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8. 南京市博物館. 江蘇南京仙鶴觀東晋墓, 文物2001-3, 文物出版社
  79. 박순발 (2005). 공주 수촌리고분군 출토 중국자기와 교차연대문제. 충청학과 충청문화, 4. 충청남도역사문화원
  80. 浙江省文物管理委員會. 抗州鎭興寧二年墓發掘簡報. 考古, 1961-7, pp. 459-460
  81. 華國榮, 張九文. 南京南郊六朝謝溫墓. 文物1998-5, p. 16
  82. 성정용 (2003). 백제와 중국의 무역도자. 백제연구, 38.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pp. 36-37
  83. 石本淳子 (1990). 日韓の垂飾付耳飾についての一考察. 今里幾次先生古稀記念 播磨考古學論叢
  84. 谷畑美帆 (1993). 日本及び朝鮮半島出土の垂飾付耳飾について. 考古學硏究, 40. 考古學硏究會
  85. 이경자 (1999). 대가야계고분 출토 이식의 부장양상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 24. 영남고고학회
  86. 이한상 (2003). 가야의 위세품 생산과 유통.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87. 高田貫太 (2005). 일본열도 5, 6세기 한반도계 유물로 본 한일교섭.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8. 경남고고학연구소 외 (2000). 도항리.말산리유적, p. 22
  89.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9). 함안 도항리고분군II, p. 44
  90. 조영제 외 (1993). 합천 옥전고분군IV. 경상대학교박물관, p. 10
  91. 조영제 외 (1998). 합천 옥전고분군VII. 경상대학교박물관, p. 69
  92. 조영제 외 (1992). 합천 옥전고분군III. 경상대학교박물관, pp. 153-155
  93. 고령군 (1979). 대가야고분 발굴조사보고서, pp. 217- 218
  94. 조영제 외 (1995). 합천 옥전고분군V. 경상대학교박물관, pp. 30-32
  95. 조영제 외 (1990). 합천 옥전고분군II. 경상대학교박물관, pp. 96-97
  96. 이한상 (2003). 가야의 위세품 생산과 유통.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pp. 683-685
  97. 高田貫太 (2005).일본열도 5, 6세기 한반도계 유물로 본 한일교섭.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1
  98. 이희준 (2005). 4-5세기 창녕지역 정치체의 읍락구성과 동향. 영남고고학, 37. 영남고고학회, p. 32
  99. 이한상 (1994). 무령왕릉 출토품 추보(2)-동제용기류-. 고고학지, 6. 한국고고미술연구소, pp. 8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