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for Narrative use of Visual Effects in Film

영화 비주얼 이펙트의 내러티브에 의한 분류체계 연구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Visual Effects have been revered as 'Spectacular' film elements for a long time, and once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that they destroyed the actual 'Story'. But, now they are becoming a valuable tool for storytellers. A film pursues a perfect narrative structure and visual reality so that the audience can believe the story as a real. Giving a narrative motif to the audience, they use Visual Effects that provide the technical solu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y create and preserve the diegetic world that Is either believable or no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analyze precisely and make a classified table of the narrative use of Visual Effec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f Shilo T. McClean. First, we can ask if the narrative motif would be there in front of the camera, From there, we then can get two desired answers. One is, if there is nothing to visually stand up, Visual Effects can intervene as an alternative tool for creating the diegetic world. The other is that Visual Effects can be used for preserving the diegetic world as a necessary tool. Then, in the latter, we can consider whether there is a storyteller's purpose to be added, so we can distinguish the details. This classified Visual Effects for the narrative is able to dispense proof that they can be worthy as to provide a 'Spectacuiar' aura as to create and preserve the diegetic world.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is research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 inter-progress of future studies for visual effects as well as for their amazing technological improvements.

비주얼 이펙트는 오랫동안 영화의 '볼거리 제공'에의 기여만을 인정 받아왔으며, 한때는 그 사용이 이야기를 파괴한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지만, 그 가치는 점점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는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영화는 관객들이 다양한 이야기의 '현실이 아닌 세계'를 현실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완벽한 내러티브의 구조와 시각적 리얼리티를 추구한다. 내러티브를 전달하기 위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도구를 사용하며, 여기에 사용된 비주얼 이펙트는 기술적 해결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러한 기술로 믿을 만하거나 혹은 믿을 수 없는 디에게시스 세상을 창조하고 그것을 보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쉴로 티 맥클린(Shllo T. McClean)의 비주얼 이펙트의 내러티브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명확한 분석을 시도하고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비주얼 이펙트의 내러티브에 의한 분류는 이펙트의 볼거리 제공의 기여뿐 아니라, 영화의 디에게시스 세상의 창조와 보호의 수단으로써의 그 가치를 한층 더 부각시키며, 이펙트 제작의 새로운 기준이 되어 기술의 발전에 못지 않은 내적 성장을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앞으로의 연구에 초석이 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