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etencies of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in Korea

자동차 신제품개발 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 분석

  • 김주영 ((주)융택) ;
  • 임세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08.07.20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rceived criticalities and patterns of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y regarding the working activities of automative product development, manufacturing, etc by using questionnaires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were applied to the automotive professors, experts and professional engineers (vocational parties) by e/mail, etc.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 patterns, relevancy and perceived criticalities of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ies? Second, What are the ranked priority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ies? Are there any differency for each item, sub group of job, intelectual criterior of the competencies between relevancy and perceived critica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vocational parties, etc.? Accoring to the results; first, Professor group showed highest points among 3 groups per each item of the competencies by vocational parties Second, Chassis design group ranked top position among the 8 sub groups by vocational parties and, third, Problem Solving Knowledge ranked highest points than any others.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re found to be positioned as key members, leaders and managers on surveying market, product planning, designing product & components, developing component parts, establishing shop with production equipment, managing quality control & material handling, organizing relevant meetings, developing human resources by training and learning, to back up finance with law matters, cooperating with concerned partie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to coordinate projects. etc, identifying ethical issues and business skills in order to survive and win to be competitive in various kinds of the automotive industry battle fields.

차량기술사들은 자동차산업의 현장에서 신제품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제조 및 관리 등의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전문 기술역량은 기업과 조직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원동력이다. 이 연구는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적 업무역량 특성과 중요도를 규명하여 자동차 기술 분야의 자격검정과 공학교육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부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가(차량기술사, 자동차 관련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들은 추론된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별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차량기술사의 업무역량에 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응답자의 소속집단(차량기술사, 자동차공학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자들은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차량기술사 등 자동차 신제품 개발관련 전문가 협의 및 개인면담을 통해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을 추출한 다음, 차량기술사 108명, 자동차 및 기계공학전공 대학교수 49명, 기업체의 자동차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52명(72%)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에 대한 설문지는 영역 및 항목별로 빈도 및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제동장치설계, 프로젝트진행리더십, 미래예측과 변화관리, 디젤엔진설계, 환경대책, 제품기획과 안전에 대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사총무와 재무회계, 노무관리 등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업무영역평균의 집단별 중요도는 섀시설계영역, 엔진 변속기설계영역, 제품기획 마케팅영역, 자재 물류 품질관리영역, 디자인 차체 의장설계영역, 판매 정비 및 경영지원영역, 소재 및 엔진제조영역, 프레스 및 조립공장 제조 영역 순으로 나타냈다. 자동차개발업무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중 고객편익과 안전관련 신기술 응용력, 경쟁력 있는 신제품개발 능력의 중요도가 높았다. 응답집단별로는 교수집단이 타집단 보다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 평가 평균값이 높았고, 다음은 차량기술사, 차량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서(2006). 신경영론. 서울 : 무역경영사.
  2. 국무조정실(2005). 기술사제도 개선방안. (내부자료, 2005. 11. 10).
  3. 길경수(2005). 지식경영시스템 기능에 대한 인지적 중요도 연구 SI기업의 최종사용자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진홍(2000). 우리나라 자동차검사 서비스의 품질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남현(2007). 리더십. 서울 : 경문사.
  6. 김상진(2004). 자격검정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응서(2002). 자동차공학 시리즈1,2,3,4,5 엔진전기,섀시, 서울: 집현사
  8. 김현수(1998).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직무능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형섭 외(2004), 정석차량기술사, 서울: 골든벨
  10. 백지연.최윤정(2007). 멘토기능이 직무유형에 따라 조직적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0권(2).2007.8. pp. 51-72.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성태제.신기자(2007).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2.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1998), 자동차전기, 서울: 교육부
  1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4).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14. 신상문(1999). 지식경제시대 경쟁전략으로서의 학습조직: 유용성 검증과 국가수준으로의 확장.
  15. 신용하(2003), 기술경영론, 서울: 남양문화.
  16. 오헌석(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능력개발연구 제9권(2). 2006. 12. pp. 193-216.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유득환(1988). 자동차산업백서, 서울: 상공부
  18. 유병철(1988), 자동차공학, 서울: 야정문화사.
  19. 유현실(1998). 재능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체육재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순철(2001). 신제품개발과 연구개발의 경영전략.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1. 이환범(2004), 차량기술사 계속교육과정, 한국기술사회, 서울: 도서출판 기문당.
  22. 임세영(2006). 한기대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인력개발담당자, 실천공학기술자의 개념과 교육모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교육혁신센터 연구보고서(2006. 6.)
  23. 장재덕(2006), 차량기술사 시험준비자료를 위한 학습서, 서울: 골든벨
  24. 정연순(2003). 정보통신분야 지식노동자의 직업능력학습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정철영(2000), 직업기초능력강화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6. 조정윤(2004a). 우수 기술사 육성 .활용방안.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조정윤(2004b). 기술사 인력수급 현황 및 전망 수립.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28. 차영준(2004). MIT 경영의 미래. 서울: 국일증권경제연구소.
  29. 현대자동차(1993), 자동변속기 교육교재, 서울: 세종인쇄사.
  30. 현대자동차(1989), 신제품개발생산기술매뉴얼,구매가격결정매뉴얼 등, 부산: 종합발간사.
  31. 황안숙(2004). 혁신전략. 서울: 형설출판사.
  32. A Guide to Curriculum Revision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Bremen.
  33. Donald. A. Schön. (1983).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francisco : A. Wiley Imprint.
  34. Edgar H. Schein. (1972). Professional Education some new directions. Carnegie Commision on Higher Education omission Reports. California.
  35. K. Anders Ericsson, Neil Charness, Paul J. Feltovich & Robert R. Keenan,A. Newton,T.J. (1987), " Work difficulties and stress in young professional engineer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Great Britain.
  36. Hoffman. (2007).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Keith J. Holyoak & Robert G. Morrison. (2005). The Cambridge Handbook of Thinking and Reasoning . New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R. Keith Sawyer (2006).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 .New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R. L..Katz (1955). "Skills of an Effective Administrator", Havard Business Review.
  40. Rothman, Robert A., Perrucci, Robert. (1970), "Organizational Careers and Professional Expertis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Sep70,Vol. 15 Issue 3,p282,13p https://doi.org/10.2307/2391617
  41. Seager, Adrian M. (1974), "Training the professional engineer". Industrial & Commercial Training: Dec74,Vol.6 Issue 12 p567-573, 7p https://doi.org/10.1108/eb003437
  42. Tom Batley (2007), "Management Education for Professional Engineers"..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New Zealland.
  43. Zin, Razali Mat. (2004), "Percep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toward Quality of Worklif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ase Study". Gadjah Mad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Sep.04, Vol.6 Issue 3,p323-334, 12p,4 charts.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