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Psychological Self-regulation and Arousal Variation of Actors on Performance

공연 시 배우의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 홍길동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 이홍식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 이형국 (상명대학교 산업대학) ;
  • 오진호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
  • 이기호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lf-regulation about changing heart rate and perceived arousal variation when actors start their performance. Object of this study were 5 actors who belong to the theater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d a measuring instrument of heart rate to measure arousal status, used behavior observation paper to observe and record self-regulation behavior and executed personal consultation after ending performance. There was graph mad by variation transition which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bout variation of heart rate each time of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 variation of awake level that actor's heart rates were rising before starting performance and the most high level of arousal was from 20minutes to 5minut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Second, there were self-regulation behaviors appeared such as deep breathing, breath controling, self talking, talking with other actors, concentrating an script, going to toilet, smoking, checking closes before starting performance. Third, when performance start, actors used psychological self-regulational method such as relaxation, self concentration, confidence reinforcement, coping with state or accommodation for controling raised arousal status.

본 연구는 공연 시 배우의 심박수의 각성변화와 유발된 각성상태에 대한 심리적 자기조절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극 전문극단에 소속되어 있는 배우 5명을 목적적 표본추출하였다. 각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심박수 측정기를 활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으며, 공연종료 후 개인별 심층상담을 실시하였다. 심박수 변화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공연 시간대별 변화 추이를 그래프화 하였으며, 자기조절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들은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심박수의 각성수준이 높아지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공연 시작 20분 전부터 5분 전까지 가장 높은 각성상태를 보였다. 둘째, 공연 시작 전 심호흡, 호흡 가다듬기, 자기대화, 배우들과의 대화, 대본연습에 집중, 화장실 가기, 흡연, 복장점검 등의 자기조절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공연 시 높아진 각성상태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완기법, 자기집중화, 자신감강화, 상황대처 및 적응 등과 같은 심리적 자기조절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은, 무대 위의 얼굴, 서울: 도서출판 시민, 1990.
  2. 김종구, 한국 연기자의 무대공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1998.
  3. 박준희, "댄스스포츠 활동이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 송미경, "명상을 통한 호흡법이 무용수의 스트레스 해소와 공연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제6권 제1호, pp.86-95, 2005.
  5. 유진, 장덕선, "스포츠 극대화 수행을 위한 심리적 자기 조절과 연구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6권, 제1호, pp.65-78, 1995.
  6. 유진, 정의권, 이석인, 장덕선, "우수 사격 선수의 극대화 수행을 위한 심리적 프로화일 개발과 자기 조절적 작용의 효과 검증", 스포츠 과학 연구 논총, 체육부, pp.101-141, 1994.
  7. 정청희, 홍길동, 황진, "뇌파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집중력 훈련이 양궁 경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54-165, 2004.
  8. 홍길동, 오진호, 이기호,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한국콘텐트학회지, 제9권, 제6호, pp.212-213, 2008.
  9. 홍길동, 양궁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0. 홍성은, 무대에서의 긴장감 나는 이렇게 푼다-피아노 음악, p.64, 1991.
  11. 김수진, 배우들의 신체훈련에 있어서의 긴장이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2. 한규은, 정서조절 방식과 사회적 환경이 자기 조절 자원의 고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G. A. Goodspeed,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training on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of female gymna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1983.
  14. L. D. Zaichkowski and C. Z. Fuchs, Biofeedback applications in exercise and athletic performance. In K. Pandolf(Ed.), Exercise the Sport Sciences Reviews. 381-422. New York: Macmillan, 1998.
  15. R. F. Baumeister, A. L. ZELL, and L. E. Williams, How emotions Facilitate and impair self-regulation In J. J. Gross(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pp.408-42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