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study of New Weaving Structures b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 Focus on Tteoksal Patterns -

한국 문양을 활용한 직물 구조 디자인 개발 - 떡살무늬를 중심으로 -

  • 유현아 (상명대학교 예.체능대학 조형예술학부)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Weaving design which is to be designed based on the machine words threading and treading is characterized by its strong limitation of expression. The concept of design has been set based on the patterns on the wooden rice-cake mold which arechosen from man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since the expressions of patterns limited by the wooden rice-cake mold is easy to be grafted upon each other. Particularly, literal patterns and geometrical patterns contain religious desire and wishes that are generated from man's fear and wonder about Nature rather than from the pursuit of beauty which i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terns. Based on these images, the twill technique, especially threading of Sally Nielson's rosepath which is easy in formal expressions is used to design Korean style patterns into the weaving struc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Korean style patterns to the weavers of the world and that the weaving designs will actively be utilized in the Korean industries so that they can acquire high value-added assets and commercialize our superior culture, thus being of great help to developing our cultural industr.

기계적 명령어인 정경 (Threading)과, 트레들링(Treadlings)을 토대로 디자인해야 하는 직조 디자인은 표현의 한계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연구되어진 많은 한국 전통문양 자료들 중에서도 특히 떡살에 의해 한계 지어지는 떡살문양의 표현이 서로의 접목을 용이하게 하여 떡살문양을 선택하여 디자인의 컨셉을 잡았다. 특히, 문자문양과 기하학문양은 문양의 일반적 특징인 아름다움의 추구보다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과 경이로움을 토대로 하여 생겨난 종교적 갈망과 기원을 담고 있어 이러한 이미지들을 토대로 트윌(Twill)기법, 특히 그 안에서도 형태적 표현이 용이한 샐리낼슨(Sally Nielsen)의 로즈펫(Rosepath)의 정경을 중심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문양을 직조구조로 디자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세계의 위버(weaver)들에게 우리의 문양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고 우리나라 산업에서는 이러한 직물디자인이 산업체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어 고부가가치의 자산을 획득하고 우리의 우수한 문화를 상품화 하고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석, 아름다운 떡살무늬, 미술문화, 2005.
  2. 김현태, 직조, 태학원, 1996.
  3. 권명광, 명승수(공저), 근대디자인사, 미진사, 1992.
  4. 권오정, 텍스타일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미진사, 1995.
  5.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2006.
  6.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문양디자인 '떡살과 다식판, 2001.
  7. 남철균, 문양의 의미, 태학원, 2005.
  8. 이건호 저, 디자인 통론, 유림문화사, 1996.
  9. 오근재, 한국문양의 전개, 미진사, 1990.
  10. 안영무저, 섬유학, 학문사, 2000.
  11. 정민, 와당의 표정, 열림원, 2002.
  12. 한화교, 직물구조학, 형설출판사, 1998.
  13. 장지혜, 권영아(공저), 직물학, 신광출판사. 1996.
  14. 황호근, 한국문양사, 열화당, 1987.
  15. 한선주(역), 수직, 월간디자인, 1987.
  16. 한선주(역), 수직의 기초, 디자인하우스, 1987.
  17. 허균, 전통문양, 대원사, 1995.
  18. S. Carol, A Weaver's Book Of 8-Shaft Patterns, Interweave Press Pub, 1991.
  19. M. David, Tricia Guild on Color, Rizzoli Pub, 1970.
  20. C. Hilart, The Weaver's Workbook, St. Martin pub. 1988.
  21. S. Joyce, The Thames and Hudson Manual of Dyes and Fabrics. The Thames and Hudson Pub 1978.
  22. P. D. Marguerite, A Handweaver's Pattern Book, Marguerite P. Davison Pub, 1999.
  23. G. Marylyn, Fabric Structure Basic Weave Design, Philadelphia University Pub, 1994.
  24. E. B. Marry, The Key To Weaving, Macmillan Pub, 1980.
  25. G. Osma, The Joy Of Hand Weaving, Tod./Dover Publication,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