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College Students' Acquisition of English Tense through Reading

한국 대학생의 독해지문을 활용한 영어시제 습득

  • Published : 200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acquire an understanding of English tenses. To research this, we proposed two research questions of study as below. Firstly, what difference is there in English tense acquisition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Secondly, what difference is there in the English tense acquisition according to English proficiency? The subject of a sample survey was a 39 student experimental group and a 38 student control group, total 77 students, who take English courses as a required subject at 'C' university in Gwangju.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wa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40 questions about the English tense. The data analyzing method was t-test through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2.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tense acquisition ability and the control group's, even though low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tense acquisition ability. Studying English tense through reading led the students to be present in classes with interests, 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academic accomplishments than the control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생들의 영어 시제습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영어 시제습득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차이가 있는가? 두 번째, 영어 능숙도에 따라 영어 시제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주소재의 C 대학교 교양 영어를 수강하는 77명의 학생들이며 실험집단 39명이고 통제 집단은 38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는 영어 시제에 관한 40문제를 제시하였고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t 검정 방법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비록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독해지문을 활용한 영어시제 학습을 함으로써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 하였고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미,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시제 습득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 이유경,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시제와 상에 관한 인식 및 사용능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3. 문용, 영문법 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4. 조성식, 영문법 개관 II, 서울: 신아사, 1983.
  5. W. Chafe, Meaning and Structures of Langua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6. B. Comrie, Ten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7. G. O. Curme, Parts of Speech and Accidence, Boston: D.C. Heath & Company, 1931.
  8. G. O. Curme, Syntax, Boston: D.C. Heath & Company, 1935.
  9. G. O. Curme, English Grammar, New York: Barnes and Noble Inc, 1947.
  10. E. Hinkel, "L2 tense and time reference," TESOL Quarterly, Vol.26, No.3, pp.557-572, 1992. https://doi.org/10.2307/3587178
  11. O. Jespersen, The Philosophy of Grammar,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Ltd, 1924.
  12. O. Jespersen, A Modern English Grammar on Historical Principles, Part IV, Syntax,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31.
  13. G. N. Leech, A Communicative Grammar of English, London: Longman Group Ltd, 1994.
  14. J. Lyons,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5. H. Poustma, A Grammar of Late Modern English, Groningen: Noordhoff, 1926.
  16. R. Quirk, S. Greenbaum, G. Leech, and Startvi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New York: Longman, 1985.
  17. H. Reichenbach, Elements of Symbilic Logic,New York: Dover Publications, 1947.
  18. R. M. Weist, H. Wysoka, and P. Lyytinen, "Crossilnguistic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emporal system," Journal of Child Language, 18, pp.67-92, 1991.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13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