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ology"> A Study on the Clothing Styles of Renaissance and Baroque Focused on H. $W\"{o}lfflin's$ Methodology

뵐플린의 양식사적 관점에서 르네상스와 바로크 복식의 양식비교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H. $W\"{o}lfflin's$ methodology created viewpoint of art history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of art, and proposed formal analysis as an academic methodology specific to art history. H. $W\"{o}lfflin's$ expressed the see-form a as the five pair concepts which are summarized by 'linear-painterly' 'the plane-the deep'. 'closed form-open form', 'multiplicity-unity', 'absolute clarity-relative clarity'. His methodology is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and architecture but also clothing because during the same period have a relative tendency of thought, culture, politics and economics each other.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naissance of 16 century, the style of dress was enormous and dignified by body support outfit, hard puffs, slashes, padding and expansive jewels. It make appearance of man and woman absolute clarity because Classicism styl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is geometrically perfect form and symmetry and restrained harmony, magnificent. Baroque of 17 century, the style of dress was vigorous mobility and subtle balance by abundant and free silhouette, soft collar, magnificent ribbon loop and tassel without body support outfit. It make appearance of man and woman comfortable and natural because Baroque styl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is extraordinary degree of originality and creativity that was evident in the devising of new styled.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I. 서울: 교문사, pp. 75-87
  2.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3. Johansen R. B. (1968). Body and Clothes. London: Faber and Faber Limited, p. 133
  4. 김현지 (1996). 복식에 표현된 르네상스.바로크의 양식비교. 중앙대 대학원 석사논문
  5. 주명희 (1999). 뵐플린의 양식사에 따른 Renaissance와 Baroque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생활과학지, pp. 43-57
  6.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31
  7. Tatarkiewicz W. (2006). (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개념사. 서울: 미술문화, (원서출판, 1980)
  8.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39
  9. 막스 폰 뵌 (2004). (이재원 역). 패션의 역사-중세부터 17세기 바로크 시대까지. 경기: 한길아트(원서출판 1996), p. 209
  10. H. 뵐플린.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113
  11. 진중권 (2003). 미학오디세이 I. 서울: 휴머니스트, p. 301
  12. Tatarkiewicz W. (2006). (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개념사. 서울: 미술문화, (원서출판, 1980), p. 253
  13.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179
  14. E. H. 곰브리치 (1995). 백승길, 이종숭 역(2004). 서양미술사(개정판), 서울: 예경, p. 288
  15.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p. 210-211
  16.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p. 219-224
  17. 조요한 (2003). 예술철학. 서울: 경문당, p. 145
  18.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260
  19. Wolfflin H. (2004). (박지형 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사, (원서출판, 1945), p. 275
  20. Tatarkiewicz W. (2006). (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개념사. 서울: 미술문화, (원서출판, 1980), p. 257
  21. 김현지 (1996). 복식에 표현된 르네상스.바로크의 양식비교. 중앙대 대학원 석사논문, p. 14
  22. Tortora P. G., Eubank K. (1994). Survey of Historic Costum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132
  23. 이순흥 (1996) 르네상스시대의 복식 유형과 그 발생 배경에 관한 연구. 복식, 30호, p. 283
  24. Francois B. (1987). 20,000 Years of Fashion.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277
  25. Jamies Laver (1996). Costume & Fashion. New York: Thames and Hudson, p. 94
  26. Francois Boucher (1987). 20,000 Years of Fashion.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224
  27. R. Turner Wilcox (1958). The Mode in Costume. New York: Charlkes Scribner's Sons, p. 82
  28. Carl K. (1963). A History of Costum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287
  29. Jamies Laver (1996). Costume & Fashion. New York: Thames and Hudson, p. 110
  30. Carl K. (1963). A History of Costum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303
  31. Turner Wilcox. R. (1958). The Mode in Costume. New York: Charlkes Scribner's Sons, p. 161
  32. Carl K. (1963). A History of Costum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316
  33. 정흥숙 (2000).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206
  34. Francois B. (1987). 20,000 Years of Fashion.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219
  35. 송수원, 김민자 (1999). 후기 르네상스 궁정복식에 나타난 매너리즘 양식. 복식, 42(1), p. 71
  36. Tortora P. G., Eubank K. (1994). Survey of Historic Costum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181
  37. 막스 폰 뵌 (2004). (이재원 역). 패션의 역사-중세부터 17세기 바로크 시대까지. 경기: 한길아트(원서출판 1996), p. 333
  38. 윤장섭 (1969). 서양건축사, 서울: 문운당, p. 250
  39. 김영자(1982). 17세기 건축공예에 나타난 바로크 양식과 복식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0(1). p. 38
  40. 정현숙 (1985). 복식판화의 변천과 서구패션발달. 숙명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19
  41. Roach, M. Musa, K. (1980). New Perspectives on the History of Westen Dress. New York: Nutriguides Inc, p. 47
  42. 최수현, 김민자 (1994). 복식의 미적 범주-르네상스.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복식, 23, p. 203
  43. 김성곤 (1990). 서양건축 양식론. 서울: 기문당, p. 295
  44. 김현지 (1996). 복식에 표현된 르네상스.바로크의 양식비교. 중앙대 대학원 석사논문, p. 78
  45. 막스 뵌 핀 (2004). (이재원 역). 패션의 역사-중세부터 17세기 바로크 시대까지. 경기: 한길아트(원서출판 1996), p. 366
  46. 막스 뵌 핀 (2004). (이재원 역). 패션의 역사-중세부터 17세기 바로크 시대까지. 경기: 한길아트(원서출판 1996), p.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