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화가 일자리 숙련구조에 미친 영향 - 인지적 숙련 및 상호적 숙련을 중심으로 -

Tertiarization and Changes in the Demand for Job-based Skills - Focusing on Cogni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

  •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 발행 : 2007.12.31

초록

우리나라는 2003년 '고용 없는 성장'을 경험한 이래 서비스 부문에서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고용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서비스 부문의 높은 고용 성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어 이로 인한 성장동력의 훼손을 우려하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서비스 부문의 노동의 질, 즉 숙련수요의 측면에서 서비스 부문 저생산성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숙련수요 변화를 정확히 포착하기 위하여 인적 특성으로 파악되는 통상적인 숙련 개념 대신 일자리 숙련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직업사전"의 정보를 이용하여 공통요인 분석(common factor analysis)을 통해 상호독립적인 네 개의 일자리 숙련 지표-인지적 숙련, 육체적 숙련, 미세 숙련, 상호적 숙련-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우리 서비스업에서의 숙련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2~2006년 기간 중 우리나라 상품 부문에서는 인지적 요소의 증가, 작업의 소프트화로 대변되는 고숙련화가 진전되고 있는 데 반해, 서비스 부문에서는 비록 고학력 취업자는 증가하였지만 일자리 특성으로 보면 일정한 탈숙련화의 경향이 발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탈숙련화의 경향은 전반적인 양상이기보다는 한편에서 고숙련 일자리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육체노동을 수반하는 저숙련 노동이 동시에 양산되는 복합적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Since Korea experienced a 'jobless growth' in 2003, creating jobs in the service sector has been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employment agenda. However, despite high employment outcomes in services, labor productivity remains stagnant in the service sector in recent years. A great deal of concern has been raised regarding newly created service jobs. Critics say low produ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will harm the engine of economic growth in our count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de of the demand for quality of labor, namely, the demand for skills as one of the main source of low produ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To analyze the changes of skills demand,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job-based skills instead of worker-based skills and presents the way of constructing measures of job-based skills. By means of common factor analysis using job information in the Korean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I extract 4 direct measures of job-based skills, such as cognitive skills, physical skills, fine skills, interactive skills. These skill measures are used to explore and to test how the skill structure changed in the service sector during 2002-2006.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hereas the goods sector makes progress toward upskilling being represented by increased cognitive elements and softenization of tasks, the service sector, although high-educated workers increased, exhibits trends of deskilling in the sense of job-based skills during 2002-2006 in Korea. The trend of deskilling however does not seem a general aspect in the overall service sector. Rather, it seems a compound process that high-skilled jobs are created, but, on the other hand low-skilled jobs requiring physical labor are produced at the same ti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