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obable Snowfall Depth in Korea

우리나라의 확률적설량 산정에 관한 연구

  • 이재준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정영훈 (㈜효명 기술부) ;
  • 이상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able snowfall depth by the point frequency analysis and to draw the map of probable snowfall depth in Korea. The 14 probability distribution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are applied to the annual maximum depth of snowfall data. The parameters of each probability distribution are estimated by method of moments,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method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checked by parameter validity conditions of each assumed probability distribution. Four tests that are $X^2-test$, Kolmogorov-Smirnov test, Cramer von Mises test and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are us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of the distributions. Mostly the 2-parameter gamma distribution was determined as appropriate distribution for the annual maximum new snowfall depth. The probable snowfall depth were obtained from appropriate distribution for the selected return periods and the maps of probable snowfall depth were presented. It will be useful to specify the snowfall load for the design of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vinyl house and cattle shed.

국내의 경우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해서는 많은 분석과 대비를 하고 있지만, 겨울철 폭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52개 관측지점의 30년 이상의 최심신적설량 자료를 수집하고 각 지점별 적설량의 최적분포형을 결정하여 확률적설량을 산정하였으며, 지역별 확률적설량의 분포를 파악하기 쉽게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도를 작성 제시하였다. 지점별 최심신적설량의 적정분포형으로는 2모수 gamma분포가 우세하였고, 과거 주요폭설기록의 재현기간은 약 500년 내외를 보인 2005년, 재현기간 약 200년 정도를 보인 2004년의 확률적 규모를 볼 때 설하중에 대한 설계기준의 확립이 긴요하다. 우리나라의 확률적설량은 남부지방인 영 호남 지역 보다 중부지방으로 올라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경계로 서쪽과 동쪽의 편차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만, 임혁건, 권형중, 김성준 (2005), 'NOAA/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한 적설분포 및 적설심 추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948-952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7), 물과 미래-지구촌의 물부족 극복, 제15회 세계 물의 날 자료
  3. 국립방재연구소 (2002), 강우분석프로그램 FARD 2002
  4. 국립방재연구소 (2005), 2004 중부지방 폭설피해 조사
  5. 동아일보 (2001), 폭설 관련 기사, 02.16
  6. 이재준, 이정식 (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2권 제4호, pp. 403-415
  7. 이재준, 이정식, 박종영 (2001), '계획강우량 설정을 위한 권역별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1권 제1-B, pp. 1-10
  8. 이훈, 이태영 (1994), '영동지방의 폭설 요인' 한국 기상학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1-22
  9. 중부일보 (2006), 폭설 관련 기사, 12.06
  10. 한국수자원학회 (2004), 'FARD를 이용한 강우통계 분석' 제12회 수공학 웍샵 교재, pp. 3-87
  11. 허준행 (1996-1997), 수문통계학의 기초(1)-(5), 한국수자원학회지 기술강좌
  12. Filliben, J.J. (1975), 'The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for Normality', Technometrics, Vol.17, No.1, pp. 111-117 https://doi.org/10.2307/1268008
  13. Fisher, R.A. (1922), 'On the Mathematical Foundations of Theoretical Statistic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Vol.222, pp. 309-368 https://doi.org/10.1098/rsta.1922.0009
  14. Vogel, R.M. (1986), 'The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for the Normal, Lognormal, and Gumbel Distributional Hypothes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22, No.4, pp. 587-590 https://doi.org/10.1029/WR022i004p00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