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Recognitions on Experiment and Practice for Home Economics area of 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중 가정 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 Lee, Joo-He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Shin, Hye-W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of laboratories for experiment and practice, and analyzed teachers' recognitions on experiment and practice for Home Economics area of 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majors of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middle school teachers who taught home economics part and they answered on the web. 220 repl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s of laboratories for home economics area were inferior, especially, for clothing and textiles part and housing part. Second, teachers recognized necessity to conduct experiment and practice highly. Food life part scored the highest, while housing part scored the lowest. Teachers who majored in home economics recognized more necessities of experiment and practice than teachers who didn't majored in home economics. Third, they recognized level of experiment and practice to be suitable to students, but 'maintenance and repair of housing' section was relatively less suitable than other sections. Fourth, 'making clothes and recycling' section was recognized to have the least suitability in quantities and hours of experiment and practice lesson, because of too much contents and lack of lesson hours. Fifth, teachers recognized that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basis of food preparation and practice' section, but they are less interested in 'maintenance and repair of housing' section. Sixth, teachers recognized that contents of experiment and practice were very useful to the real life. 'The basis of food preparation and practice' section was the most useful, while 'maintenance and repair of housing' section was the least useful. Seventh, experiment and practice lessons for food life part were put in practice very well, followed by the order of clothing and textiles part and housing part. Teachers who majored in home economics usually took more experiment and practice lessons than teachers who didn't major in home economics.

기술 가정 교과를 위한 실험 실습실의 여건을 살펴보고, 기술 가정 교과 중 가정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교사의 전공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전국 중학교를 대상으로 기술 가정 교과 교사에게 메일을 발송하여 웹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 220명의 응답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와 던컨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학교에 가정 실험 실습실이 있지만 그 시설 및 교구 설비 상태는 열악하며 특히 의생활과 주생활영역의 실험 실습실 시설 및 교구 설비는 실질적인 실험 실습을 위해 보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식생활 영역의 필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했고, 주생활 영역의 필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가정 전공 교사가 타 전공 교사보다 가정 영역 실험 실습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의 수준이 학생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왔으며 식생활 영역에 대한 실험 실습 내용 수준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한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알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 분량과 수업 시수에 대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옷 만들기와 재활용'은 교사의 전공과 상관없이 수업 분량과 수업 시수의 적절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정 전공교사가 타 전공교사에 비해 실험 실습 내용의 분량과 수업시수의 문제점을 크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관심정도는 보통보다 높다고 교사가 인식하고 있었으며 '조리의 기초와 실제'에 대해 가장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에 대해서는 학생이 흥미와 관심을 가장 적게 보인다고 생각하였다. 여섯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이 실생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식생활 영역이 가장 높게 주생활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시행정도는 보통으로 식생활 영역>의생활 영역>주생활 영역 순으로 실험 실습이 시행되고 있었다. 가정 전공교사는 비전공 교사 보다 실험 실습을 더 많이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영역의 실험실습은 매우 중요한데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설 및 교구 설비 상태를 개선해야 한다. 또한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의 실험 실습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실험 실습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요구되며 이에 앞서 가정 영역 내에서의 교과과정 정비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통해서 실험실습 분량의 과다와 수업시수의 부족이라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교사의 전공에 따라 실험실습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정영역은 가정전공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