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파 인식에 미치는 효과

  • Yoo, Tae-Myu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Jeong (Singal Middle School) ;
  • Chae, Jung-Hy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Thomas(1986) categorized six alternative views of home economics as education for women, manual training, application of science, household management, family development, and an intervention. This study carried a quasi-experiment research with an independent variable of types of instru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of views of home economics. The experiment was carried with the sample of 137 8th grade students in Gwangju area for ten class hours.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test-posttest differences of each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mproved level of the view of home economics as an intervention, and decreased level of the view of home economics as manual train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 can be made that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is effective in changing to the appropriate views of home economics. Also it is expected that current Korean home economics textbook can lead to the views of home economics as household management and as family development.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가정 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은 Thomas(1986)가 분류한 시대에 따른 여섯 가지의 견해, 즉 전통적 여성역할, 수공훈련, 과학지식의 응용, 가족관리, 가족발달,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육으로서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수업방식(실험집단은 실천적 추론 수업 비교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 종속변수는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으로 하여 의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실천적 추론 수업'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가정과 교과서를 위주로 한 수업'을 각각 10차시씩 진행하였다.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대응표본 t-test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가정과교과에 대한 인식 가운데 수공 훈련을 강조하는 교과라는 인식을 감소시켰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과라는 인식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실천적 추론 수업은 가정교과를 전근대적 교육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수업이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의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한다고 해도 가정교과를 가족관리나 가족발달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시킬 수 있어 앞으로 가정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