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ythological Imagination in Animation - Focusing on Animation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 조미라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기획/창작 아카데미)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When reviewing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the mythical imaginary power has been dependent only on audio visual senses thereby resorting to a fantasy nature regardless of reality, or there has been too much emphasis on an educational message and animation has been utilized as a conflicting composition between good and evil. Therefore, this thesis reviewed 1) whether the author's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animation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mythical imaginary power and 2) whether the author included an internal meaning of a universal subject by having a short animation that was produced by actively utilizing a mythical motive as a text. Also,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educed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i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reinterprets the theme of 'universality'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before expressing the mythical objects through the senses such as by a brilliant image and sound. The products of such an analysis are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 over how mythical factors need to be applied and utilized in creating animation.

그동안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신화적 상상력을 시청각적 감각에만 의존하여 현실과는 무관한 환상성에 기대거나, 계몽적 메시지를 지나치게 내세워 선과 악의 대립 구도로 활용해온 측면이 강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신화적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오늘이>를 텍스트로 하여 1) 신화적 상상력의 현대적 해석에 따른 작가의식의 반영 여부 2) 인류 보편의 주제화에 대한 내적 의미의 포함 여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토대로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화적 소재의 이미지와 소리 등의 감각적 구현에 앞서 신화적 소재가 가진 '보편성'의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작가의식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물들은 앞으로 신화적 요소들이 애니메이션 창작에 어떻게 접목, 활용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구, 김종태, 장은석, 운화콘텐츠와 인문학적상상력, 글누림, p 100, 2005.
  2. Stuart Voytilla, 김경식 역,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2005.
  3. Christopher Vogler, 함춘성 역,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수, 2005.
  4. 김완준, "엽기문화에 나타난 신화와 이데올로기연구" 성균관대학교, pp.1-134, 2003.
  5. 얀종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신화적 기능"Preview, 제 1호, pp.521-229,2005.
  6. 장덕순, "口陣文學漸說" 일조각, pp.2-9, 1971.
  7. 조동일, 한국문학통샤, 지식산업사, 제3권, 제2판,pp.11-15, 1989.
  8. 신동흔, 살아있는 우리신화, 한겨레 출판, p.123, 2006.
  9. 이정우, 샤건의 철학 철학아카데미, p423, 2003.
  10. 장파, 유중하, 백승도, 이보경, 양태은, 이용재 역,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p.81, 2004.
  11. 김선자, 중국 변형 신화의 세계, 범우사,pp.47-50, 2002.
  12. l\!Iircea Eliade, 이은봉 역,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31, 1998.
  13. 이성강, 마리 이야기, 안시 애니메이션 페스티발 장편 애니메이션 대상 수상작, 한국, 2002.
  14. 宮崎騎 "不思議の町の千尋-二の映畵のぁなぃ "The art of spirited away, 德間書店スタジオジブリ 事業本部, p.13, 2001.
  15. T. S. Eliot, Seleded Essays, Faber and Limited, p.21, 1980.
  16. Ismail Kadare' ' 박철화 역 , H서류, 문학동네,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