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ression and Reader Cognition of Japanese Comics Character

일본 만화 캐릭터의 표정과 독자 인지

  • 윤장원 (동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As for comics and animation, the specific gravity came to become still larger in all the art fields together with the importance in various image media now which is useful and goes the time of the 21st century new media. Especially the demand of users to the vision culture which develops day by day, Sensitivity Engineering Department is trying to realize the necessity for a sensitivity design acutely together. The influence of the comics which have toxicity most also in Japanese culture in a geographical position like South Korea on it, and animation is the actual condition in the reason which has reached from youth universally to the layer for years, to be inquired systematic to a Korean comics languag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we thought sufficient study on various situations are required, and among them for the research of expressions of cartoons's characters, we've divided the expressions of characters that comes out in Japanese cartoons into categories of 'happiness, anger, sadness, pleasure' and 'fear, astonishment and dislike' and based on these categories, we've drawn out the minimum elements to express emotions in cartoon and prepared image-map by relating them with languages that express emotions of people and based on this, we've made a calculating tools on how our readers would recognize the expression languages. Samples of Japanese cartoons of which we've chosen for the purpose of drawing out the elements of expressions were limited to only published cartoons and we've made a foot steps for expression analysis of animation characters in the future.

21세기의 새로운 뉴미디어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만화 및 애니메이션은 각종 영상매체에서의 중요성과 더불어 모든 예술분야에서의 그 비중은 갈수록 커지게 되었다. 특히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 시각문화에 대한 유저들의 소구는 감성공학과 더불어 감성디자인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닫게 해주고 있다. 더군다나 한국과 같은 지리적인 위치에서 일본 문화중에서도 가장 중독성이 있는 만화, 애니메이션의 영향은 청소년부터 장년층 까지 두루 미치고 있는 이유로 한국적인 만화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다 생각되어 그중에서도 만화 캐릭터의 표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일본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표정을 크게 '희(기쁨), 노(분노), 애(슬픔), 락(즐거움)'과 공포(무서움), 놀라움, 혐오(역겨움)으로 나누고 이것을 기준으로 만화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최소한의 도식적인 표정 요소들을 도출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들과 연관시켜 이미지맵을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자들이 만화의 표정언어를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만들어보았다. 표정 요소 도출을 위해 선택된 일본 만화의 샘플들은 우선 출판만화로 한정하였으며, 차후에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표정분석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 P. Hamrison,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p.54, 1994.
  2. 한재현, 정찬섭, "얼굴표정에 의한 내적상태 추정" 한국감성과학회지, 제 1권, 제1호, p.42, 1998.
  3. 박여성, "얼굴의 행태학 표정의 문화기호학적 연구를 위하여", 기호학연구, 제 19권, p.209, 2006.
  4. 김영아, 김진관, 박수정, 오경자, 정찬섭, "정서관련 어휘 분석을 통한 내적 상태의 차원 연구", 한국감성과학회지, p.145, 1998.
  5. P. Ekman and W. V. Friesen,"Th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Palo Alto," CA:Consult Psychologist Press, 1978.
  6. 이혜진, 3차원 얼굴표정 애니메이션을 위한 근육모델기반의 모텔링,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 p.82, 2002.
  7. J. A Russell,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m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ogy," pp.1161-1178, 1980
  8.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정서의 구조.한국어 정서단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Vol.7, No.1, pp.118-138,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