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ndational Research for DB of Pattern Grading of Galot, Jeju Cultural Merchandise

제주 문화상품 갈옷의 패턴 그레이딩 DB를 위한 기초 연구

  • Published : 2007.01.30

Abstract

By examining the existing Galot products in the market, we aimed to discover areas for new development and lay out the foundational system for establishing a database(DB) of their pattern grading. For the analysis, the team focused mainly on Galot in forms of casual korean traditional clothes, since they have the largest market share. The main accomplishmen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adult females are the largest segment to consider in deciding the size system for grading, we selected three sizes that have to be compatible with the KS Clothing Standardized Sizing. Second, for basic pattern grading, we applied the reference size indicated in KS Clothing Standardized Size, and also used half dart sloper and dartless sloper. Third, we categorized design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art, the structure of closure, and the shape of the sleeve and neck. We indicated the grading points with numbers and body area in Korean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s to understand when using the computer system and doing manual work. To further increase the user convenience, we provided diagrams for categorized designs, pattern grading layout, and a table for calculated grading points vari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숙(2001). 여성 생활한복 디자인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희(1998). 풋감물 염색의 염색성과 색채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의숙(1991). 제주도 목자복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남윤자(1986). 제주도 갈옷의 위생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집, 15(-), 43-49
  5. 박덕자(1998). 매염제와 자외선을 처리한 직물의 감즙염색.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순자(2001). 갈옷. 서울: 경춘사
  7. 산업자원부(1999). 전통복식의 현대적 활용 연구(결과보고서)
  8. 산업자원부(2000). 전통갈옷제품개발보고서
  9.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2차년도 최종보고서)
  10.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2004). 의류제품 치수표준화 사업 최종보고서
  11.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2005). 3차원 형상자료를 이용한 2차원 평면 pattern 제도법 개발
  12. 산업평가원(1999). 1차공업기술개발사업과제: 고부가가치 전통갈옷의 상품다양화기술개발(공고번호991-39-01)
  13. 손원교(1999). 갈옷과 흰옷 및 그 의복형태의 차가 착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3(1), 30-41
  14. 유혜원(2001). 생활한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을 통한 대중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5. 윤성희(2004). '제주 갈옷' 사진 제작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형숙, 남윤자(2001). 여성복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17. 이혜선(1991). 제주도 갈옷의 유래 및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논문집 33(-), 164-174
  18. 이화영(1998). 갈옷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제민일보(1999). 갈옷 월드컵 전략상품으로, 6월 7일자
  20. 제주관광협회(1999). 갈옷 상품 디자인공모전, MBC방송 7월 10일방송
  21. 제주대학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센타(2000). 제주 갈옷의 관광상품화를 위한 상품기획 및 디자인 개발
  22. 제주일보(1999). 갈옷생산 6개업체 관광특화 공동판매, 3월 2일자
  23. 조영아(1999). 패턴 그레이딩. 서울: 교학연구사
  24.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1998). 제주도 민속 '갈옷'의 우수성탐구
  25. 홍희숙(2001). 관광기념 의류상품 패션이미지 추구에 따른 시장세분화 및 세분시장 특성 연구. 한국의류학회, 25(2), 303-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