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한복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19초

한복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중화 방안모색 연구

  • 이병화;심화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1-51
    • /
    • 2004
  • 한복시장은 90년대 이후부터 생활한복이 출시되면서 전통적인 맞춤형태의 한복시장이 점차 기성복형태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많은 기업이 생활한복 시장에 참여하였으나 디자인, 가격, 소재, 제조 방법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IMF를 겪으면서 소규모 영세기업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중략)

  • PDF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의 측정과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Emotions Felt by Each Type of Hanbok)

  • 박은정;정상훈;서종환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33-44
    • /
    • 2022
  • 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한복 교재 분석을 통한 성인 여자 저고리의 패턴제작에 대한 소고

  • 이영혜;강순제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33
    • /
    • 2003
  • 우리 민족의 고유 의복인 한복은 민족의 의생활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우리의 전통 복식으로서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상복이라기보다 예복 및 행사용 의복으로 입혀지고 있다. 이처럼 한복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줄기는 하였으나 과거 경험과 눈대중에 의했던 한복제작에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실제로 한복구성을 위해 출간된 교재들은 최근까지 수십 종에 이르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겸한 패턴 제시와 함께 자세한 바느질 방법까지 설명되어 있어, 우리 옷의 구성에 문외한이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PDF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구조와 선호도에 따른 디자인연구 (A first study of designing Practical Korean costum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taste)

  • 고정민;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4-666
    • /
    • 1999
  • Korean Costume has long history and functional aesthetic valu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ostume of other contries. But nowadays korean Costum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stant from the people in the world wide current. To domiciliate and spread out the Practical Korean Costume which the goverment selected as CI symbol representing Korean culture in the trend of times.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systemically the consciousness of customers and the details of design. This study consist of theoritical study and positive study. Theoritical study has the esthetic characteristic(structure characteristic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or) As the conciousness of people change in modern life which everything change in high spee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have changed in structure.

  • PDF

생활한복 디자인 교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지이미지와 만족도

  • 양정화;황춘섭;이영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44-146
    • /
    • 2004
  •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에 의해 실행되었으며, 현재 생활한복 디자인 교복을 착용하는 2개 고등학교 학생과 양장교복을 착용하고 있는 2개 고등학교 학생 56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2003년 10월 조사 당시 모든 조사대상자는 7개월 이상의 교복 착용경험기간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때 의해 분석되었다. (중략)

  • PDF

생활한복의 형성 배경과 그 내용적 특성에 대한 고찰 (The Background and the Pursuits of Saenghwal Hanbok)

  • 정혜경
    • 복식
    • /
    • 제51권2호
    • /
    • pp.27-42
    • /
    • 200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give a definition and to find out the background and the pursuits of Saenghwal Hanbok. Conclus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 1. Saenghwal Hanbok and Gaeryang Hanbok are used together at the same tome, but they are different the background and the pursuits. Gaeryang Hanbok was pursued practical aspects - activities, simplification, sanitation, courtesy, economy, and diversity. And then Saenghwal Hanbok was added the pursuits of Minjung's image, traditional image, modern esthetic. 2. The background of Saenghwal Hanbok is divided into two group. One is the Minjung Hanbok in University, and the other is the recreated Hanbok in mass fashion. The former was effected to youth culture, political quarrel of culture movement, anti-government group. The Latter was a tendency toward reviving the tradition. 3. The characters of Saenghwal Hanbok were a national tradition, a resistance. the image of poor Minjung, a revival of the tradition, and a diversity and negotiation of post-modernism.

  • PDF

여성 생활한복을 위한 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for Activation of Women s Hanbok)

  • 조오순;전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378-1385
    • /
    • 2001
  • Texti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for activation of women s hanbok focused on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on keeping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n to produce them. As a result of these explorations, I have reach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jackets and skirts are mainly limited to partial change in elements of the dress design-width and length of a jacket string and the upper strip on the outside of a jacket, change in width, and granting of symbolic meaning. Second, aesthetic features and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hanbok that the harmonization of mainstream colors and highlighting colors and curved silhouettes evoke were mental by products created as our people wished to become friendly to and to harmonize with nature. Third, grounded upon study of lines form and survey on brands, I have developed designs that maintain hanbok’superiority and at the same time incorporat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to fit modern life. I believe that the outcome of these of these explorations will contribute greatly to carry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dresses to the maximun, and to developing and popularizing functional and practical living-fitted Korean dresses.

  • PDF

현대 착용한복의 색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1999년과 2001년 비교

  • 유혜경;김찬주;홍나영;이주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04
  • 한복은 우리 고유문화의 중요한 양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으며, 현대에서도 한복은 시대를 반영하며 변화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생활 속에서의 한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색을 중심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한복 현황 및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lasticity of Practical Korean Costume)

  • 안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5-102
    • /
    • 2002
  • This research surveys the forming process of Practical Korean Costume and its social factors and examines Hanbok reformation. The international mode of '86 Seoul Asian Games and '88 Seoul Olympic Games in the 1980's called for the modernization of Hanbok. It is necessary for us to inherit modernized Hanbok which is endowed with the traditional beau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Practical Korean Costume design for focused on functionality as well as on keeping the traditional beauty This study consist of theoretical study and positive study. Theoretical study has the esthetic characteristics(structure characteristic,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or). Grounded upon survey on brands, I have suggested designs that maintain Hanbok's superiority and functionality to fit modern life. Mos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shops could not fractionalize customer. So it need to subdivide and specialize customer and investment to improvement of design. Practical Korean Costume will have to be made to maintain dignity by using high quality materials and a coordinate goods will have to be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