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a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혈당 조절의 연관성

  • Yoon, Dae-Hyun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Jin-Ho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Min-Jeong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in, Chan-Soo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 Sang-Heon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Oh, Byung-Hee (Gangnam Center, Healthc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 박진호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 박민정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 신찬수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 조상헌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 오병희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및 헬스케어연구소)
  • Published : 2006.06.15

Abstract

Backgrounds : Depression has been prevalent in women and maintaining optimal glycemic control is an important goal of diabetes management. Although depression is common in adults with diabetes, its relationship to glycemic control remains unclear, espacilly in Korean wo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Methods :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HbA_{1c}$ as an index of long-term glycemic control, fasting glucose level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measured in sample of 4,567 women of whom 4.7%, 216 women had diabe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lycemic control was analyzed. BDI Scores of 16 and above is a cut off point to indicate possible clinical depression. Results The frequency of depressed women (p<0.001) and the mean score of BDI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women. The mean level of $HbA_{1c}$ (p<0.01) and fasting glucose (p<0.05) were higher in depressed women. There was a graded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ile of depressed women and a degree of glycemic control impairment (p=0.001).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foun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This relationship may be mediated by decreased self-care behaviors or by neurobiological dysregulation. Improving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women with diabetes might have favorable effects on diabetic outcomes.

연구목적 : 우울증상은 여성에게 흔하며 적절한 혈당 조절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상대적으로 흔히 발견된다. 그러나 아직 우울증과 혈당조절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우울증상 사이의 상호관계를 평가하려 한다. 방법: 여성 당뇨병 환자 216명을 포함한 연구 대상자 4,567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와 장기 혈당조절 지표인 $HbA_{1c}$ 수치를 측정하여 우울증과 혈당조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복 혈당 수치와 비만도 지표인 체질량지수도 함께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당뇨병 보유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군이 유의미하게 많았고(P<0.001), Beck우울 척도 평균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 여성군에서 $HbA_{1c}$, 평균치 (p<0.01)와 공복 혈당 평균치 (p<0.05)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혈당 조절의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당뇨병 및 혈당 조절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후 종적 연구를 통한 우울장애와 당뇨병간 상호작용에 대한 원인-결과론적 이해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