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Alexithymia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공황장애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연구

  • Choi, Young-Hee (Mettaa Institute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
  • Jang, Hyuck-Ji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anggye-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 Kim, Min-Soo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anggye-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최영희 (메타 인지행동치료연구소) ;
  • 장혁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민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6.06.15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difference of the alexithymia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by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alexithymia construct and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7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110 normal controls. They drew up symptom checklists and self-rating scales, and were measured by Anxiety Disorders Interview Schedule-Panic attack & Agoraphobia(ADIS-P & A), Korean version of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te & Trait (STAI-S & 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R). For statistical analysis, we performed t-test to compa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cores of self reported scales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between TAS-20K and it's subfactors, STAI-S & T, ASI-R and BDI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reformed to explain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alexithymia. Results: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significant alexithymic (p<0.001), more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 (p<0.001) and describing feeling (p=0.001) than normal controls. Futhermore, panic patients were more significant anxious,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depressive than normal controls. Moreover, the alexithymia of panic patients was explained by trait-anxiety $({\Delta}R^2=0.255)$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62)$, that of normal controls was predicted by depression $({\Delta}R^2=0.144)$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33)$ Conclusion: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anxious and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these symptoms predict alexithymia in panic patients. However, the alexithymia of normal controls was explained by depression more than anxiety sensitivity, and such a result isn'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may b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the homogeneity in object of the studies.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표준화된 한국판 20항목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을 이용하여 공황장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영향을 주는 불안과 우울 수준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아 이들 환자군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이 정상군에서와 어떤 다른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공황장애 클리닉에 방문하여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DSM-IV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진단한 공황장애 환자 167명, 일 대학 병원 직원 및 직장인, 대학원생 등을 포함하는 1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공황장애 환자군 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감정표현불능증과 그 하위 척도,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 및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나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감정표현 불능증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공황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해서 감정표현불능증,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감정표현불능증의 총점(p<0.001) 및 하위척도의 요인 1(p<0.001)과 요인 2(p=0.001)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요인 3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변수는 특성불안$({\Delta}R^2=0.255)$과 불안 민감도$({\Delta}R^2=0.062)$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우울$({\Delta}R^2=0.144)$과 불안 민감도$({\Delta}R^2=0.033)$였다. 결론: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감각이 위험한 결과를 일으킨다고 믿는 정도를 측정하는 불안 민감도가 높으며 이러한 불안 민감도는 특성 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불안 민감도와 특성 불안이 공황장애 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적합한 변수가 됨을 알 수가 있었다. 반면, 정상 대조군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 민감도보다는 우울이 좀 더 많은 설명 변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와 기존 연구간의 대상군의 균질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로 반복 확인이 필요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