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Happiness of the Korean elderly residing in USA and Korea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appiness between Korean elderly residing in South Korea and those residing in New York City area in United States (Korean American elderly), and to investigat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ir happiness. We collected data from 1,988 elderly residing in Chuncheon and Seoul in South Korea and 173 elderly residing in New York City area. All samples were over 65 years old in 2005. In general, Korean American elderly seemed happier than Korean elderly. Our specific data analysis showed that Korean American elderly had higher scores in non-agitation, satisfaction for aging, and satisfaction for life than Korean elderly. And they showed secure attachment more and insecure attachment less than Korean elderly. Social support network,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 health, daily routines, and social background predicted happiness significantly for both Korean American elderly and Korean elderly. For American Korean elderly,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 predicted satisfaction for aging, satisfaction for life, and secure attachment significantly when social background, health, and daily routine were controlled. For Korean elderly,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 predicted all sub-factors of happiness significantly, and social support network also predicted happiness significantly when social background, health, and daily routine were controlled. Additional data analysis compared social support network,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 health, daily routine, and social background between Korean American elderly and Korean elderly. Korean American elderly seemed to have more solid social support network an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s than Korean elderly. Korean American elderly perceived themselves as healthier, and their life style related health was much healthier than Korean elderly. In social background, Korean American elderly had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than Korean elderly. Rol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satisfaction in psychological need for happy aging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theoretical explanation of successful aging.

본 연구는 미국거주 한인 노인과 국내 노인 간의 행복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결정 요인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2003년 현재 만 63세 이상이 되는 춘천과 서울에 거주하는 국내 노인 1,988명과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노인 173명을 인터뷰해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 노인 간의 행복감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미국 뉴욕거주 한인 노인이 국내 노인들보다 행복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편안감, 노화과정에 대한 만족, 인생에 대한 만족이 더 높았고, 안정애착자의 비율이 더 높고 회피애착자의 비율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사회적 지지망, 심리적 욕구의 충족, 건강 및 생활습관, 사회적 배경수준은 미국거주 노인이나 국내노인이나 모두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경과 건강 및 생활습관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욕구충족은 미국거주 노인의 경우 노화만족과 인생만족, 안전애착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노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배경과 건강 및 생활 습관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욕구충족이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소를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망 자체도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견고한 사회적 지지망을 갖추고 있었고, 대부분의 심리적 욕구 충족도가 높았다. 또한 건강에 대한 자기 평가가 더 양호 했고 건강에 유익한 습관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또한 미국거주 한인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지적 수준 및 경제적 수준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복한 노년을 결정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망의 구축과 심리적 욕구충족이 가지는 의미를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설명의 토대위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동 연구결과는 아산사회복지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고보선 (2004). 제주노인의 사회적지지 유형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145-162.
  2.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 김윤정, 최혜경 (2001). 가족부양이 장기요양보호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99-112.
  4.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 19(1), 61-81.
  5. 김태현, 전길양 (1997). 노년기 부부의 상호간 지지와 역할공유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2), 167-182.
  6.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1-24.
  7. 박기남 (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8. 손화희, 윤종희, 김덕성, 안령미 (2000). 거동불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한국노년학, 20(1), 93-112.
  9. 원영희 (1995).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2), 97-116.
  10. 윤진 (1982).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제작 연구. 한국 심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 한국심리학회, pp.26-30.
  11. 윤현숙 (2004).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3(3), 15-28.
  12. 이주일 (2004).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의 추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11-29.
  13. 이은희, 김금운, 한규석, 주리애 (2004).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생성감의 역할. 한국노년학, 24(3), 131-152.
  14. 이혜자, 김윤정 (2004). 부부관계(사랑과 성)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4), 197-214.
  15. 임주영, 전귀연 (2004).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71-87.
  16. 전귀연, 임주영 (2002). 노인의 애착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2(3), 173-191.
  17.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05). 고령사회교육센터 개관기념심포지움. 한림대학교 고령사회 교육센터/고령사회연구소.
  18. Antonuch, T. C. (1994). Attachment in Adulthood and Aging. In M. B. Sperling & W. H. Berman (Eds.), Attachment in Adult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 Antonuchi, T. C. & Jackson, J. S. (1987). Social support, interpersonal efficacy, and health. In L. L. Carstensen & B. A. Edelstein (Eds.), Handbook of clinical gerontology. Elmsford, NY: Pergamon Press.
  20.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e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22.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3.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 165-181.
  24.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 165-181.
  25. Cavan, R S., Burgess, E. W., Havighurst, R. J., & Goldhammer, H. (1969). Personal adjustment in old age.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26. Cherry, R. (1990). Middleman minority theories: their implications for Black-Jewish relations. Journal of Ethnic Studies, 17, 117-138.
  27. Cumming, E., Dean, L R., Newell, D. S., & McCaffrey, I. (1960). Disengagement: A tentative theory of aging. Sociometry, 23, 23-35.
  28.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29. Han, S. H. (1986). Social inter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american elderly. Unpublished dissertation, Saint Louis University, U.S.A.
  30. Hazan, C., & Shaver, P. R. (1990). Love and work: An attachment-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rycbology, 59, 270-280.
  31. Hauh, P (1999). Korean-American adolesants' perspectives on conflictual issues with their parents. Unpublishe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U.S.A.
  32. Hurh, W. M. & Kim, K. C. (1984). Adhesiv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n alternative strategy of minority adapt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18, 188-216.
  33. Kim, B. L. C. (1973). Asian-Americans: no model minority. Social work, 3, 44-53.
  34. Koh, Y. K. (1983). An exploratory study of fili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among the Korean aged in New York C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U.S.A.
  35. Lang, F. R. & Carstensen, L L. (2002).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17(1), 125-139.
  36. Langer, E. T., & Lodin, T. (1976). The effects of choice and enhanced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 aged: A field experiment in an institutional set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 191-198.
  37. Lawton, M. P. (1975). The Philadelphia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0, 85-89.
  38. Liang, J., & Bollen, K. A. (1983). The structure of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interpretation. Journal of Gerontology, 38, 181-189.
  39. Mroczec, D. K. & Kolarz, C. M.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5), 1333-1349.
  40.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8).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B.L. Neugarten(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Templer, D. I. (1970).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eath anxiety scal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48, 1184-1199.
  42. Yi. S. H. (1997). Help seeking bebavior of Korean Americans: Implications for Prychological adjus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A, U.S.A.
  43. Yim, S. (1989). Korean immigrant women in early twentieth-century America. Making Wives: An Ontology of writings by and about Asian American Women, 50-60, edited by Asian Women United of California. Boston:Beacon Press.
  44.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