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Evaluation about Formal Style of Salesmen

남성 판매사원의 정장스타일에 대한 시각적 평가

  • Je Ki-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ar salesman to present formal style in suggesting Good-Bad formal style as well as in examining a meaning structure and valuation differences of visual valuation. Stimulus pictures has been chosen consequently 76 pieces through the preliminary inquiry who are working at department store, franchise salesman, car salesman, insurance staff and other salesmen. The tool for visual valuations about suit style is composed of 7 points of Likert type by making 21 questionnaires from the preliminary study. Collecting data is 512 pieces are used to analyse. The duration to collect data was from August 5th to 20th in 2004 and SP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has been used. At first, main factors according to the visual valuation of formal style are Attractiveness, Having abilities, Uncomfortableness. In second, Good formal style shows more attractive and looks having more abilities than Bad formal style and less uncomfortable. In third, in the relations of Good-Bad formal style and demographic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alary. In fourth, in the relations of a purchase purpose and visual valuations of formal style, for Good-Bad valuation, the first impress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it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urchase purpose, on the other hand, the purchase purpose has related to impression the most. It has presented that Good-Bad valuation and purchase purpose have an influence on the factor of Attractive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753-768
  2. 김민정, 임숙자, 임숙희. (2004).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제1보)-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2), 320-331
  3. 김유진, 이경희. (1997). 상반되는 의복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297-1306
  4. 김유진. (2002). 패션감성과 감정에 대한 의복조형성 연구.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 . 톤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7(3), 395-406
  6.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61-872
  7. 김은정, 이선재. (2002). 고객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의류점포 판매사원 속성.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70-1581
  8. 김재희, 정삼호. (1995). 유행스타일을 중심으로 한 사무직 남성의 의복태도와 성역할 태도와의 상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129-141
  9. 노지영. (2001). 직장 남성의 이미지 컨설팅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류숙희, 김보연. (2002). 라이프스타일이 의복스타일 이미지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2), 227-238
  11.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성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69-378
  12. 신명진. (1998). 남성 수트(Suit)에 나타난 복고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관이. (2004). 이상적 여성미와 패션디자인의 관계.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이선경. (1993). 남성복 유형과 얼굴 매력성이 직업 특성 및 인상추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이선경, 고애란. (1995). 남성 의복착용자의 의복유형과 얼굴의 매력성이 인상이 미치는 영향 (제1보)-직업 추론 및 의복 인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2), 565-579
  16. 이은미. (1992). 남성 정장착용자의 연령 및 의복단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이인자. (1996). 남성의 매력성, 성공성 및 직업적 추론이 가능한 의복과 인물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29, 127-142
  18. 이지영, 김미영. (2001). 의류상품 판매원의 서비스 차원과 의류상품 유형별 중요도. 한국의류학회지, 25(5), 933-944
  19.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대전지역 남 . 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312-320
  20. 최유진. (2003). 남성의 재킷, 셔츠, 넥타이 색의 변화가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최혜옥, 손희순. (2000). 성인 남자의 수트 디자인 선호도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8(5), 79-90
  22. Damhorst, M. L. (1990). In a search of a common threa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dr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12
  23. Sear, D. O., Freedman, J. L., & Pepleau, L. A. (1985). Social Psychology (5th ed.). Englewood Cliffs, N.J.: Pra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