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Volume 11 Issue 1
- /
- Pages.49-57
- /
- 2006
- /
- 1229-3741(pISSN)
A Study on the Measuring Model of Productivity Using DEA in Container Terminal
DEA 기법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
- Choi Hyung-Rim ;
- Park Nam-Kyu ;
- Kwon Hae-Kyoung ;
- Yoo Dong-Ho ;
- Lim Sung-Taeck ;
- Lee Sun-Yong ;
- Jung Bong-Jin
- 최형림 (동아대학교 경영정보과학부) ;
- 박남규 (동명대학교 유통경영학과) ;
- 권해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 유동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 임성택 (동아대학교 대학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 이선용 (한국물류정보통신(주)) ;
- 정봉진 ((주)아이콘트롤스)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port against calling for the huge vessel and reducing the shipping service time,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 must be improved. This productivity variously results according to the kinds of productivity evaluation model, input elements like yard, equipment, employee, facility, etc,. But, it is discussed that the productivity is measured by partial productivity evaluation model or general input elements. Therefore, we measured for the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using the Developed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hich is develop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 it's difficult to clear cause and effect between input and output. We measured the whol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 in Busan according to decision of the correct input elements. And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productivity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input elements, presents more accurate productivity evaluation model in container terminal.
현재 선박의 대형화 및 선박의 운항시간 단축 요구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은 어떠한 생산성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측정하는지와 투입요소인 장치장, 장비, 종업원, 시설 등의 개별적인 투입요소에 따라 서로 다른 측정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단순히 부분적인 생산성 평가 모델이나 기존의 일반적인 투입 요소만으로 생산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평가 모델에 관한 분석 및 투입과 산출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의사결정단위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을 활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더불어 투입요소의 변화에 따라 생산성의 측정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생산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