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orea with Respect to Latitude and Altitude

위도와 해발고에 따른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고정량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6.02.20
  • Accepted : 2006.04.05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 respect to latitude and altitude. Study sites were located in Mt. Joongwang, Pyeongchang-gun, Gangwon-do (altitude 1,300 m, 1,000 m, 800 m), Mt. Taehwa, Gwangju-gun, Gyeonggi-do (altitude 350 m), Mt. Wolak, Jecheon-si, Chungcheongbuk-do (altitude 300 m), Mt. Baekwoon, Gwangyang-gun, Jeollanam-do (altitude 800 m), and Mt. Halla, Jeju-do (altitude 1,000 m) by northern and southern aspect. Total energy content and annual energy fixation of Q. mongolica stands were 2,916-6,550 GJ/ha and 250-440 GJ/ha,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Lower latitude (NE) stands of Q. mongolica showed more energy contents and annual energy fixation than higher latitude stands. Energy content and annual energy fixation of Q. mongolica stands were increased in low altitude. Energy content of Q. mongolica stands were higher in northern aspect than southern aspec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nual energy fixation between the aspects. Annual energy fixation of Q. mongolica stands was highly correlated with warm index and followed by descending orders: altitude, stand age, aspect, annual solar radiation and latitude.

본 연구는 위도와 해발고에 따른 우리나라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고정량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해발 1,300 m, 1,000 m, 800 m),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지역(해발 350 m),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지역(해발 300 m),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지역(해발 800 m),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은 2,916~6,550 GJ/ha이고,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250~440 GJ/ha이다.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과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가 낮을수록 신갈나무림의 에너지량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연간 에너지 고정량과 환경 인자간의 상관관계는 온도, 해발고, 임령, 사면 등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동훈. 1991 월악산 삼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연구-사면방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pp
  2. 권기철. 1998. 천연갱신을 위한 월악산 천연림의 군집생태학적 무육방안. 충북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85pp
  3. 김성덕, 김윤동. 1995. 점봉산 신갈나무림의 갱신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4): 447-455
  4. 박봉규, 이현순. 1981. 도봉산의 사면에 따른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원 논총 제27집. 81-94pp
  5. 박은숙. 1987. 황학산 천연활엽수 이차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과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6-47
  6. 박인협, 서영권, 김동엽, 손요환, 이명종, 진현오.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생산. 한국임학회지 92(l): 52-57
  7. 신현철, 이강영. 1990. 금산의 남북사면에 따른 삼림樹 보고. 한국임학회지 79: 245-254
  8. 이돈구, 고영우, 윤종화, 권기원, 김갑태, 마상규, 김지홍, 김수인, 황재우, 신만용. 1995.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협동 실연 연구 (XI). 산림청
  9. 이돈구, 권기철. 2005. 산림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 p.29-92
  10. 한상돈. 1995. 다중회귀 및 경로분석에 의한 참나무류 입지요인 평가. 충북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173pp
  11. 吉良龍夫. 1971. 作物の光合成と物質生産. 養賢堂. p.225-243
  12. 芝本武夫. 1954. 森林土壞學. 朝倉書店. 439pp
  13. Finney, H.R., N.H. Holoway and M.R. Heddleson. 1962. The influence of microclimate on the morphology of certain soils of the Allegheny Plateau Ohio. Soil Sci. Soc. Ann. Proc. 26: 287-292
  14. Lag, V. 1990. Forest increment and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in relation to forest soil condition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rest Soils, July 22-27, 1990. Harbin, China
  15. Lieth, H. 1973. Primary production: Terrestrial ecosystems. Human Ecol. 1: 303-332 https://doi.org/10.1007/BF01536729
  16. Minckler, L. 1961. Silviculture considerations in the challengers for forestry, State U. of New York, College of For., Syracase, N.Y
  17. Ovington, J.D. and D. Heitkamp. 1960. The accumulation of energy in forest plantations in Britain. J. Ecol. 48: 639-646 https://doi.org/10.2307/2257339
  18. Satoo, T. and H.A.I. Madgwick. 1982. Forest Biomass. Martinus Nijhoff/Dr.W. Junk Publishers. 152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