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Electoral TV-Public Space: Paradox of the Mythical Structure Manipulated by the Technical Institutionalization

TV 선거 공론장 구조 연구: 기계적 제도화의 역설(Paradox)

  • Park, Tae-Soun (Det. of Communication & Journalism, Chung 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11.14

Abstract

The aim of the this study is to observer paradoxal phenomenon in media election. The media, especially Television, was traditionally a journalistic operation representing political events on the outside of political camp. But recently, it intervenes to 'the political camp'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election campaign. A centripetal of electronic medias making the dominant political space offer an alternative plan which get over the modern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Even though, to the production of the political symbol and the operation of symbol which constitute substantial system of political action, the human being subject is excluded and the technical system of communication make up a govern structure. So it makes the contradictory situation. TV broadcast for election campaigning show well this paradoxal situa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ectoral broadcasting oriented by the State strengthens an immensification, an economical and political efficiency and a transparency of electoral campaign. But the means which controls the mind of public is also strengthened. It relate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political symbol and the symbolic image restricted by dominator.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media election is institutionalized by the instrumental reason(procedural rationality of politics and technological rationality of broadcasting), therefore the candidate take a fragment roles for the production of transcendental political symbol and the voters accommodate to the symbolic images which are foreseen and they judge.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선거가 제도적으로 발전하면서 파생하고 있는 선거 공론장의 역설적 현상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오늘날 TV방송은 방송 저널리즘 차원을 넘어서 정치적장의 중심에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중요한 정치적 실천 기제가 되었다. TV방송과 대의 민주주의 체제의 융합은 미디어크라시(Mediacracy) 혹은 텔레크라시(Telecracy)라 일컬어지는 새로운 정치 구조를 생산하고 있다. 이 두 분야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정치 현상은 무엇보다도 선거에서 잘 나타난다. TV방송은 선거 후보자들에게 다양한 정치적 상징들을 생산하고 무수한 대중에게 시,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TV선거방송은 후보자들에게는 가장 유효하고 영향력 있는 선거운동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력의 확대에 따라서 국가는 이 선거 공론의 장에 대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국가 중심의 제도화는 TV선거방송을 표준화,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후보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유권자들에게는 보다 명확한 판단의 기준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 제도화가 시민 공론장으로서 방송의 역할을 국가적 행정체계와 방송의 기술체계에 종속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심의 기계적 제도화는 선거방송을 정치적 상징의 생산과 상징적 이미지의 작동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체제로 구조화시키고 있다. 결국, 도구적 합리성과 기술적 관리 체계에 바탕을 둔 제도화는 선거방송에서 정치적 인간(Homo politicus)의 주체성을 후퇴시키고 행정 및 방송 기술을 정치적 상징을 생산하고 작동하는 주체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프랑켄슈타인적 전도는 TV선거방송을 신화적 공론장으로 귀결시킨다. TV선거 공론장의 역설(paradox)은 미디어 선거 시대에 유권자의 탈정치화, 정치의 픽션화 그리고 그에 따른 선거의 무관심을 고조시킴으로써 미디어와 정치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치적 인간 주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중심의 제도체계를 벗어나 시민들이 TV선거 공론장의 주체적 참여자가 되도록 개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