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figuration of the Comprehensive Suitability Values and Suitability Grading Method for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Lee Jong-Yong (Land Information Center, Korea Land Corporation) ;
  • Lee Hee-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종용 (한국토지공사 토지정보센터)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Land suitability assessment(LSA) is a useful method to assess l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ts physical, loc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n to classify it into several categories based on its usability and the necessity for conservation. Therefore, the credibility of this assessment result depends on the rationality of assessment method such as computation of suitability values and the criteria of ranking the land grad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problems in current LSA method by critically reviewing it, and aimed to suggest a suitab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land suitability. As a alternative method in this study,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was used for scoring factors instead of critical values and the weight for each assessment factor. and all values of those factors were added to produce comprehensive suitability values. Those values were ordered and categorizied with suitability level based on the ratio of square measure. After comparing existing LSA method to the suggested alternative method, it is concluded that the alternative method was more suitable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 than existing LSA method. This method was also suitable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ssessment factors. Field survey using satellite image clearly revealed the suitability of the alternative method compared to an existing method of land assessment. Furthermore, the alternative method of grading the land suitability improves the problem of using standardiZiation method and gives more flexibility, which makes this method very rational.

토지적성평가는 토지가 가진 물리적 특성, 공간입지적 특성, 주변환경 특성들을 토대로 토지의 이용가능성과 보전 필요성에 따라 등급을 평가$\cdot$구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성값의 산정과 등급 부여 기준 등의 평가방법이 얼마나 합리적인가에 따라서 평가결과의 신뢰성이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행 토지적성평가의 평가방법을 비평적으로 검토하여 평가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보다 적정한 종합적성값 산정방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각 평가지표에 대한 임계치 설정과 가중치를 적용하는 대신에 선형변환법을 적용하여 지표들을 점수화하고, 모든 평가지표 점수를 합산하여 종합적성값을 산정한 후, 이를 서열화하여 면적비율을 기준으로 적성등급을 구분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현행 지침에 따른 평가방법과 대안에 따른 평가방법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대안에 따른 결과가 현행 지침에 의한 결과보다 평가지표 의 측정치 분포패턴을 보다 잘 반영해주는 점수로 변환하며, 종합적성값 산정 결과도 현실성을 더 잘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무엇보다도 위성영상을 통해 판독된 현지의 토지이용 현황을 참조해본 결과 대안적 평가방법에 따른 적성등급 부여가 칠씬 더 적정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대안에 따른 적성등급 부여방식이 표준화지수로 변환시켜서 등급을 부여하는 현행 지침의 문제점을 개선해주고 보다 유연성을 부여해주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길, 2004, '토지적성평가결과를 이용한 도시관리계획 수립방안,' 토지적성평가와 도시관리례획의 연계 방안 워크샵 자료집,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 건설교통부, 2004, 도시관리계획수립지침
  3. 건설교통부, 2004, 토지적성평가지침
  4. 건설교통부 . 국토연구원, 2002, 지속기능한 국토이용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5. 국토연구원, 2001,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 평가에 관한 연구
  6. 국토연구원, 2003, 토지적성평가 매뉴얼
  7. 김영숙, 2003, 보전성을 중심으로 한 토지적성명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항집, 2004, '토지적성명가의 한계와 개선방안,'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4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429-441
  9. 박봉철 . 오규식, 2004, '토지적성평가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4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23-132
  10. 여홍구 . 임종훈, 2004, '토지적성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45-50
  11. 오용준 . 황희연 2004, '토지적성명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도서지역의 고유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5), 73-85
  12. 이인성, 1998,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른 계층분석과정(AHP)의 일관도 및 정확도의 분석,' 국토계획, 33(3), 347-362
  13. 이종용 . 이용범, 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99-112
  14. 이희연 . 임은선, 1999, '쓰레기 소각장 입지선정에 있어서 퍼지집합과 AHP 이론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7(2), 223-236
  15. 임종훈, 2004, 토지적성명가의 명가단위와 지표임계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채미옥 . 김정훈, 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7. 채미옥 . 오용준, 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8(5), 725-740
  18. Dyer, J.S., 1990 'Remarks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6, 249-258 https://doi.org/10.1287/mnsc.36.3.249
  19. Vegas, L.G., 1990, 'An Overview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Its Ap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2-8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6-H